숲노래 삶읽기 2022.7.4.

아무튼, 내멋대로 18 누리책집 알라딘



  나는 누리책집에서 느즈막이 책을 샀다. 늘 마을책집에서만 책을 샀는데, 2003년 9월부터 충북 충주 멧골에 깃든 이오덕 어른 옛집에 머물면서 ‘이오덕 어른이 남긴 글을 갈무리’하는 일을 하다 보니, 책집마실을 할 틈이 없었다. 그래도 이레마다 서울마실을 하면서 책집을 돌았고, 이틀이나 사흘쯤 책집에서 장만한 책을 바리바리 싸서 충주 멧골로 땀빼며 실어날랐다. 이러다가 너무 벅차 2005년에 드디어 ‘누리책집 알라딘’에 들어가서 책을 샀다. 시골에는 책집이 없기에 누리책집을 쓸 수밖에 없었고, 그래도 되도록 발길이 닿는 여러 고장 마을책집에서 책을 사려 했다. ‘누리책집 알라딘’은 거의 만화책을 사는 데로 삼았다. 그동안 만화책을 사던 곳은 서울 홍대앞 〈한양문고〉였다. 이곳은 어느 날 불쑥 가게를 접고 말아 그야말로 만화책은 ‘누리책집 알라딘’에서 살 수밖에 없더라. 이러구러 2022년 6월에 이르도록 ‘누리책집 알라딘’에서 산 책은 그리 안 많다고 생각하지만, 그래서 “상위 0.062%”에 든다고 한다. 다만 “상위 0.062%”는 ‘누리책집 알라딘’에 쓴 책값으로 어림한 자리매김이고, 책은 ‘6021자락’을 샀다고 한다. 나보다 책을 훨씬 많이 사서 읽는 벗님이 있다. 2022년 7월 1일에 서울 마을책집 〈책이는 당나귀〉에서 책벗님을 만나 이 얘기를 했는데, “100살까지 알라딘에서 64260자락을 더 사겠네” 하는 말이 뜨더라고 말했더니 “그것밖에 안 돼? 100살까지 살 책인데 그대한테는 너무 적잖아?” 하더라. “책을 알라딘에서만 사지 않으니까 적게 나오겠지요.” 했다. 누리책집에 이름을 걸고서 책이야기를 올린 지 제법 된다. 처음에는 아무 누리책집에도 책이야기를 안 띄웠으나, 아무래도 책을 살펴서 읽을 이웃님한테 길동무 노릇을 하자면, 내 누리글집(블로그)에만 올리지 말아야겠다고, 누리책집에 바로 걸쳐 놓아야 이바지하리라 여겼다. ‘누리책집 알라딘’에 모든 책이야기를 걸치지는 않았으나, 2005∼2022년 사이에 걸친 책이야기(서평·리뷰)는 7022꼭지라고 나온다. 그동안 쓴 책이야기는 2만 꼭지를 가볍게 넘기니 좀 적게 걸친 셈일 텐데, 숲노래가 서울마실을 하던 2022년 7월 1일, ‘알라딘서재 담당자’가 숲노래한테 누리글월을 하나 띄웠다. 숲노래가 쓴 느낌글에서 ‘철바보’라는 우리말을 쓴 대목이 “비방성 명예훼손”이라서, 숲노래 느낌글을 “블라인드 처리”를 했다고 알려주더라. “비방성 명예훼손”으로 쓴 ‘철바보’라는 우리말을 고치면 “블라인드 처리 해제”를 하겠다더구나. 한자말 ‘철부지’를 썼다면 “비방성 명예훼손”이라고 안 여겼을는지 모른다. 한자말로 “부족한 부모”쯤으로 쓸 적에도 “비방성 명예훼손”이라고 안 볼 만하리라 느낀다. 그만큼 우리나라는 우리말을 얕본다. 쉽게 우리말을 쓰면 낮춤말로 여긴다. 한자말이나 영어를 써야 높임말로 여긴다. “그림책 다독이(토닥이·달래기)”라 말하는 사람이 누가 있는가? 죄다 “그림책 테라피”라고 영어를 쓴다. 아무튼 이제 슬슬 ‘누리책집 알라딘’을 끊을 때일 수 있겠다고 생각한다. ‘교보문고·영풍문고·예스24·반디앤루니스’가 벌인 몇 가지 씁쓸짓을 본 뒤로 이런저런 책집에서는 아예 책을 안 산다. 그래도 책이야기는 걸쳐놓는다. 생각해 보면, 구태여 알라딘을 떠나기보다 알라딘에서는 책을 이제 안 사면 될 만하다. 그들한테는 책장사가 첫째요, 책이야기를 찬찬히 읽고 스스로 살림빛을 배워서 저마다 사랑으로 숲빛을 짓는 오늘을 누리는 길은 막째에나 있을는지 모른다. 알라딘·예스24·교보문고가 책장사가 첫째가 아니라면, 돈·이름·힘이 아닌, 오직 삶·사랑·숲으로 모든 책을 아우르는 길을 갈 테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문득 찾아보니

'철바보'라는 낱말을

어느 책 하나뿐 아니라

다른 책이야기에도

더 썼는데

'철바보'란 우리말을 쓴

다른 글은 "블라인드 처리"를

안 하셨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2022.7.1.

아무튼, 내멋대로 17 욕



  어린이일 적에도 푸름이일 적에도 막말(욕)을 쓴 일이 없다. 또래나 언니나 동생은 툭하면 ‘x새끼’ 같은 말을 썼으나, 나는 싸움판(군대)에 끌려가서 열여덟 달째(상병 6호봉)에 이르도록 아무 막말을 안 썼다. 열두 살 무렵으로 떠오르는데, 하도 괴롭히고 놀리는 마을 언니가 있어, 한 오십 미터쯤 떨어진 데에서 언니한테 “야, 이 돼지야!” 하고 한 마디를 하고 스스로 부끄러웠다. 돼지가 무슨 잘못인가. 어린배움터를 다니는 동안 막말을 안 쓴 사내는 나랑 ㄱ이라는 동무 둘뿐이었다. 푸른배움터를 다닐 적에 막말을 안 쓴 사내는 나랑 ㅈ이라는 동무 둘뿐이었다. 싸움판에서 스물여섯 달을 지켜보는 동안 막말을 안 쓴 ㅈ이라는 사람이 생각난다. 어느 날 ㅈ이라는 뒷내기하고 밤지기(불침번)를 설 적에 넌지시 물었다. “ㅈ상병님은 왜 막말을 안 씁니까?” “님이라니요, 최뱀(최 병장님) 말 낮추세요.” “둬 달이면 ㅈ상병님도 병장이 될 테고, 그때엔 저도 이 무시무시한 데를 떠날(쩐역) 텐데요, 저보다 세 살 위이니 이제는 님이라 해도 되지 않겠습니까.” “음, 다들 막말을 해도 나까지 하면 내 입이 더러워지잖아요. 막말을 쓰면 앞에서는 후임병이 따라오거나 고분고분한 듯해도 얼마 안 가 똑같아요. 그러면 하나 마나이기도 하잖아요. 그냥 처음부터 부드럽게 타이르면서 같이 잘 하자고 하고 싶어요.” “그런데 혼자만 막말을 안 쓰잖아요.” “하긴 그렇지요. 그래도 한 사람부터 안 쓰면 앞으로는 다르겠지요.” 스물한 살까지 막말을 안 쓰고 용케 살아왔으나 스물두 살로 넘어가는 고갯마루에서 꺾여, 그날(상병 6호봉)부터 그곳(군대)을 떠나는 날까지 날마다 입에 막말을 달고 살았다. 주먹이나 발길을 안 썼으나, 다들 내 입에서 나오는 막말이 허벌나게 무시무시해서 소름이 돋고 섬찟했단다. 나는 때리기나 얼차려는 시키지 않고 말로 볶았다. 싸움판을 떠나 삶터로 돌아오고 보니 툭하면 싸움판 때 버릇이 불거지고, 그곳에서 내뱉던 막말이 문득 흐르면 둘레가 싸했다. ‘아차, 큰일을 저질렀구나.’ “잘못했습니다. 싸움판에서 죽지 않고 살아남으려고 용을 쓰다가 그만 마음도 입도 더렵혔습니다. 주둥이를 다물겠습니다. 아니 ‘주둥이’가 아니지요, ‘입’이지요.” 물든 입에서 물을 빼기는 버거웠다. 어쩌면 앞으로도 쉽지 않을는지 모른다. 곁님을 만나며 막말질이 섣불리 튀어나오지 않도록 다독였고, 두 아이를 낳아 돌보면서 어버이가 어버이다우려면 아무 말이나 내뱉지 않는, 아니 늘 사랑으로 말할 줄 아는 사람으로 서야겠다고 생각했다. 아이를 재우며 밤마다 한나절(네 시간)씩 노래를 했고, 아침부터 저녁까지 틈나는 대로 노래(동요)를 불렀다. 밥을 차리면서, 빨래를 하면서, 자전거에 아이를 태우고 달리면서, 아이를 업거나 안으며 거닐면서, 그냥 가만히 앉아서 늘 노래를 불렀다.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는 길에 큰아이한테 우리글(한글)을 알려주려고 노래꽃(동시)을 처음으로 썼다. 2009년이었지 싶다. 이제 돌박이인 큰아이는 숲노래 씨가 늘 쓰는 글을 저도 쓰겠다고 숲노래 씨 붓을 가로채어 바닥이고 책이고 신나게 그렸다. 적어도 여덟 살이나 열 살에 글을 알려주려 했으나 돌 무렵부터 우리글을 알려주면서 ‘아이한테 알려줄 글’을 노래로 불렀다. 이때부터 어느새 막말은 자취를 감추어 간다. 노래꽃쓰기(동시쓰기)란, 삶말로 돌아가면서 살림말을 돌아보고 사랑말을 새롭게 찾는 ‘마음빛닦기’라고 느낀다. 싸움판에 안 끌려갔으면 아마 막말을 쓸 일이 없었을 텐데, 그러면 아이를 낳고서도 노래꽃을 쓸 일이 없었으려나? 곰곰이 생각하니 그렇다. 좋은 일도 나쁜 일도 아닐 테지. 싸움을 물리칠 수는 없으나, 싸움을 사랑으로 녹이자면 ‘노래를 꽃으로 부르면’ 되는 줄 아이들한테 날마다 새록새록 배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배움빛 2022.6.30.

숲집놀이터 274. 퉁퉁



아이를 안고 업으며 돌아다니면 다리가 퉁퉁 붓는다. 뼈마디도 시큰거린다. 문득 몸을 바라보면 안 아프거나 안 쑤시거나 안 결리거나 안 고단한 데가 없다고 할 만하다. 이때마다 늘 생각을 새롭게 추스르면서 빙긋 웃는다. “아하, 천기저귀를 쓰고, 유리병을 쓰고, 아이 도시락이랑 장난감이랑 그림책이랑 그림종이랑 붓이랑 부채랑 이모저모 잔뜩 챙겨서 등짐으로 메고 다니면 이렇구나.” 하고 깨닫는데, “우리 어머니는 어떻게 혼자 이런 살림을 다 건사하면서 지내셨으려나?” 하고 돌아본다. 그리고 “우리 어머니를 낳은 어머니에, 우리 어머니를 낳은 어머니를 낳은 어머니에 …….” 하고 끝없이 생각을 잇는데, 어느 때에 이르러 하나도 안 아프고 안 쑤시고 안 결리고 안 고단하게 살림을 사랑한 어버이를 만난다. 아주 멀잖은 어느 무렵 우리 옛 어버이는 나즈막히 속삭인다. “얘야, 네가 스스로 짐을 짊어진 채 힘들다고 생각하니 힘들단다. 네가 스스로 사랑을 품고서 아이한테 빙그레 웃음짓는 노래를 들려주면 무엇이 힘들겠니? 모든 하루가 기쁨이자 웃음꽃이 아닐까?” 가시어머니(장모님)가 혀를 끌끌 찬다. 우리 어머니도 혀를 끌끌끌 찬다. “너, 돈 없어서 그래? 차(자가용) 사줄까?” “어머니, 저는 차를 살 돈이 없기도 하지만, 차를 살 돈이 있어도 안 사고 싶어요. 아이를 안고 업으면서 이 짐을 짊어지며 다니는 하루가 대단히 즐거운걸요. 아이도 이렇게 즐겁고 웃고 노래하다가 잠들잖아요.” “그러니까 힘들잖아.” “어머니는 저를 낳아 돌볼 적에 힘드셨어요?” “나? 왜 그렇게 물어? 안 힘들었다면 거짓말이지만, 힘들기만 했겠니?” “거 봐요. 어머니도 사랑을 느끼셨잖아요.” “아니, 왜 사서 고생을 하냐구?” “사서 고생이 아니라, 기쁨을 날마다 누리는 길이에요.” “에그, 잘났어!” “그럼요, 어머니가 낳아 주었는걸요.”


ㅅㄴㄹ


2008년 여름에 큰아이를 낳고서 2011년에 작은아이를 낳은 다음, 2014년까지 어머니한테서 자주 듣던 핀잔을 그대로 옮겼습니다. 어머니, 어머니 핀잔을 그대로 옮겼습니다만, 너그러이 봐주시기를 바랍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6.29.

숨은책 701


《趣味의 科學, 아마츄어 實驗室》

 Kenneth M.Swezey 글·사진

 한보섭 옮김

 탐구당

 1964.5.25.



  모든 책은 돌고돕니다. 다만, 책 한 자락을 아끼는 사람 손길을 탈 적에 돌고돌 뿐입니다. 책을 안 아끼는 사람 손길을 받으면 낡고 닳다가 찢어지고는 종이쓰레기터에 버려져요. 이때에 숱한 책은 말 그대로 종이쓰레기가 되어 되살아날 길을 찾는데, 몇몇 책은 헌책집 일꾼이 먼지를 뒤집어쓰면서 캐내어 ‘책으로 새빛’을 봅니다. 《趣味의 科學, 아마츄어 實驗室》은 1964년에 처음 태어나고서 ‘1993.5.18.’에 ‘광고·편집 전문회사 진화기획’에 깃들며 새삼스레 살아났다가 헌책집에 나왔습니다. 저는 이 책을 1998년에 서울 독립문 곁 헌책집에서 만났는데요, 이날 다른 책손님이 책집지기랑 책값으로 실랑이하던 일을 귀퉁이에 적었습니다.


“5000원 하는 놈을 500원으로 달라고 말할 때 값어치는 바닥에 긴다. 책이 지닌 금으로 매긴 값어치만이 아니라, 읽어 얻을 수 있는 값어치도 설설 긴다. 값어치는 주어진 대로나 있는 그대로 고이 받아서 쓰거나 살릴 일이다. 지은 이는 가만히 있는데 살 이가 아득바득 나서는 꼴은 보기 좋지 않다. 4331.6.26.쇠. 독립문 골목책방”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6.29.

숨은책 717


《實用 麥作增收圖解》

 竹上靜夫 글

 養賢堂

 1956.3.25.첫/1958.5.15.2벌



  한때 우리나라 어디에나 ‘농고(농업고등학교)’에 ‘수산고’가 있었으나, 이제 이러한 배움터는 가뭇없이 사라졌습니다. 흙살림을 배우는 곳은 손가락으로 꼽을 만큼 겨우 남고 죄다 배움수렁(입시지옥)으로 치닫는 얼거리로 바뀝니다. 시골에 ‘시골배움터’가 없다면 시골에서 나고자라는 어린이·푸름이는 제 삶터인 시골을 사랑하는 길을 배울 틈이 없겠지요. 시골은 어린배움터부터 시골일을 나누고 숲살림을 돌아보는 얼거리로 거듭나야 하지 않을까요? 오늘날 서울에만 열린배움터(대학교)가 잔뜩 쏠렸는데, 모든 고장(시·군)에 한둘만 있을 노릇이라고 봅니다. 전남 고흥군에도 경북 영양군에도 열린배움터가 있되 시골스럽게 시골일하고 숲살림을 배우고 헤아리는 자리로 가꿔야겠지요. 《實用 麥作增收圖解》는 일본에서 나왔으되 1960년(四二九三.一一.一五.) 어느 날 어느 분이 장만해서 읽었습니다. 보리짓기를 다룬 배움책이니, 보리밭을 일구는 분이 읽었을 테지요. 이 나라에서는 딱히 배울 곳이 없을 만한 지난날이니 일본책으로 배우려 했구나 싶습니다. 그러면 이제는 우리 나름대로 ‘우리 보리짓기’를 다루는 책을 우리 손으로 쓰는지 궁금해요. 일본 한자말 아닌 우리말로 흙살림말(농업용어)을 풀어내었으려나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