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4.3. 젖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우리말 ‘자리’를 언제 곰곰이 생각했는가 하고 되새기면, ‘곳·데·자리·터’가 비슷하면서 다른 낱말이라고 느끼던 무렵입니다. 처음은 아마 열 살 무렵이고, 열여덟 살 즈음 얼핏 다시 생각하다가 잊은 뒤, 스물다섯 살에 새롭게 짚어 보았고, 서른아홉 살에 가만히 가누다가 마흔여덟 살에 이르러 갈무리를 마칩니다. ‘자리’를 알려면 ‘자’를 알아야 했고, ‘자다’를 알아야 했으며, ‘잠그다·잠기다’를 알아야 했는데, 돌고돌아 ‘자주·자꾸’에 ‘잦다·젖다’를 지나 ‘잣·젓’까지 알아야 매듭을 짓는구나 하고 느낍니다. 아기를 살리는 밥은 ‘젖’이라는 ‘물’입니다. 따로 ‘자리’랑 ‘젖’을 놓고 보면 둘은 그저 동떨어질 뿐이지만, 말밑을 하나씩 짚으면 둘은 만날 수밖에 없습니다. ‘사람’은 ‘살’을 입고서 ‘살아’가는데, ‘사랑’이 아니고서는 아이를 못 낳습니다. 참 수수께끼이지 않을까요? 그러나 사랑은 ‘사르는’ 불꽃이지 않아요. ‘살리는’ 길일 적에 사랑이요 사람입니다. 사람이 사람다우려면 모든 말하고 마음하고 몸짓은 ‘산들바람’처럼 ‘산뜻’할 노릇이면서 ‘생생·싱싱·시원’할 노릇인데, ‘시원’이나 ‘시골’은 ‘심다·심·힘’으로 맞물립니다. ‘심다·심’은 ‘기르다·기운·기름’하고 비슷하면서 다르지요. ‘기르다’는 ‘자라다·잠·잠기다·자리·젖’하고 비슷한 결이 있으나 다릅니다. 하나를 보아야 하나를 알 수 있되, 하나만 보아서는 하나조차 알 길이 없습니다. 그래서 모든 말은 다 다르면서 하나이고, 수수께끼이면서 실마리이자, 노래이면서 놀이입니다. 이 얼거리를 알아차릴 수 있다면, 순이돌이(남녀)는 겉몸이 다른 하나인 숨빛인 사랑인 줄 깨달을 테고, 모든 사람은 저마다 다르게 새로운 하늘빛(하느님)인 줄 눈뜰 만합니다. 종교·교육은 사람들이 저마다 스스로 눈뜨는 길을 가로막는 굴레입니다. 굴레는 바퀴 사이에 이어서 굴리면 부드러이 굴러가는 바탕이지만, 아무렇게나 끼우면 못 굴러가게 가로막는 틀입니다. 틀은, 사랑으로 세우면 새롭게 틔우는 튼튼한 자리이되, 억지로 붙잡으면 꽉 막힌 고약한 고린내일 뿐입니다. 좋음하고 나쁨은 있을 수 없습니다. 좋음하고 나쁨을 가르려 하면서 “저놈은 나빠. 이쪽이 좋아.”하고 갈라치기를 하는 모든 짓은 우리가 저마다 스스로 사랑스러운 사람인 줄 못 보도록 억누르는 고약한 우두머리 뒷짓입니다. 왜 “쉬운 말”이 모든 사람을 깨울까요? 아이들은 어버이한테서 “쉬운 말”을 듣고 자라면서 눈을 뜨고 마음을 가꾸거든요. 아이들한테 “어려운 말”을 집어넣어 자꾸자꾸 졸업장을 들이밀려는 이들은 ‘어른’이 아닌 ‘늙은 권력자’입니다. ‘쉽다 = 수수하다 = 숲’입니다. ‘쉬운말’은 ‘숲말’이고, ‘숲말’은 ‘사람말·사랑말’입니다. 쉬운 말을 안 쓰는 이들은 스스로 사람답지 않게 갇히면서, 이웃도 사람빛을 잃고 나란히 갇힌 종(노예)으로 나뒹굴기를 바라는 괘씸한 짓일 뿐입니다. 다만, 스스로 종인 줄 잊은 채 이웃을 종살이에 가두는 짓을 하더라도 나쁜놈은 아닙니다. ‘나쁜놈’이 아닌 ‘철이 들지 않아 눈을 뜨지 않은 몸’일 뿐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넋 /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72 놀이



  어린이 누구나 집·골목·마을을 비롯해 들숲바다하고 멧골하고 냇물에서 놀던 무렵에는 아무도 걱정하지 않았습니다. 어른은 어른대로 기쁘게 일하고, 어린이는 어린이대로 신나게 놀면서 어우러졌어요. 어린이 누구나 어디에서도 뛰어놀 틈이 사라진 오늘날에는 그야말로 거의 모두라 할 사람들이 걱정투성이입니다. 이제는 어른이며 어린이가 나란히 걱정꾸러기입니다. 어린이로서는 실컷 뛰놀 터전을 몽땅 빼앗기고, 어른으로서는 이웃하고 기쁘게 얼크러지며 땀흘리던 삶터를 잃었어요. 빈터를 차지하고 잡아먹는 부릉이입니다. 빈터에 들어서는 끝없는 가게입니다. 빈터마다 빼곡하게 박는 갖은 알림판(광고판)입니다. 눈을 느긋이 둘 틈이 없고, 숨을 가벼이 돌릴 틈이 없습니다. 서울도 시골도 온통 부릉부릉 시끄러워 멧새가 노래하고 바닷새가 춤추는 모습을 눈여겨볼 틈새가 없다시피 합니다. 예부터 어른들은 “책 좀 그만 읽고 놀아라” 하고 말씀했습니다. 아무리 종이꾸러미에 담은 줄거리가 알차더라도 먼저 몸뚱이를 바람한테 맡기고 들꽃한테 띄우고 해랑 눈비한테 보낼 적에 깊고 넓게 삶을 익혀 사랑에 눈뜬다고 여겼어요. 아이어른 모두 한 손에 책을 쥐려 한다면, 다른 손에는 신바람으로 놀이를 누릴 숲을 놓아야지 싶어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3.30. 시골버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아이들이 무럭무럭 자라 주기에 곧잘 짐꾼 노릇을 합니다. 저잣마실을 할 적에 짐을 나누어 들어요. 두 아이가 어릴 적에는 아이살림까지 짊어진 채 저잣마실을 다녔으니 요새는 무척 홀가분합니다. 이러구러 오늘 낮에 15시 시골버스를 타고서 저잣마실을 다녀오려 했는데, 오늘 따라 시골버스가 ‘일찍’ 지나갑니다. 여느 때에는 12∼18분쯤 가볍게 늦는데, 고작 7분 늦게 들어오는 바람에 눈앞에서 놓쳐요. 그러려니 하다가, 마당에 누워서 책을 읽다가, 밀린 일을 좀 할까 싶어 ‘격세지감·적반하장·적대적·간헐천·업계·루저’ 같은 말씨를 더 손질하다가 ‘백래시’라는 영어를 굳이 왜 쓰는가 하고 돌아보다가 ‘백허그’라는 뜬금없는 말씨를 우리말로 풀어내고 뜻풀이를 붙이다가, ‘건전’이란 한자말을 차곡차곡 가다듬다가 “어라, 17시 버스를 타려 했는데 그만 19시를 지나 20시에 가깝네.” 하고 깨닫습니다. 뭐, 이곳은 시골이니 이튿날 저잣마실을 다녀오면 될 테지요. 벌써 해는 지고 별이 돋으려고 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넋 /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71 삶책



  삶이 있기에 말이 태어납니다. 삶이 있어 사랑을 짓습니다. 삶을 누리면서 살림을 가꾸는 길을 찾고, 삶이라는 오늘을 보내면서 사람으로서 사람다이 노래하는 빛을 폅니다. 삶이 없으면 말이 태어나지 않고, 말이 태어나지 않는 곳에는 이야기가 없어요. 삶하고 말하고 이야기는 한동아리입니다. ‘산다(살다)’고 할 적에는 “오늘을 간다”는 뜻이지 싶습니다. ‘어제 = 사랑’으로, ‘오늘 = 살다’로, ‘모레 = 생각’이란 얼거리로 만난다고 느껴요. 그저 오늘을 오늘대로 바라보면서 살면 되고, 살아온 어제는 살아온 자국으로 사랑하면 되고, 살아갈 모레는 살아갈 앞길로 생각하면 되지 싶어요. 냇물하고 바람이 흐르듯이 살고, 걸어온 모든 우리 모습을 사랑하고, 앞으로 맞이할 꿈을 그리는 마음이기에 새롭게 바라보는 생각이 샘솟지 싶습니다. 삶이 무엇인지 깨달으려 애써도 나쁘지 않으나, 오늘을 새롭게 그리면서 고스란히 받아들이는 동안, 늘 다 다른 하루가 우리한테 찾아오는 줄 느낄 만하다고 봅니다. 오늘을 살기에 태어나는 말을 엮으니 이야기로 피어나고, 이 이야기를 갈무리하니 말꾸러미(책)가 나와요. 누구나 삶을 누리니, 누구나 이 삶을 그대로 옮길 적에 다 다르면서 빛나는 삶책 한 자락을 얻어 서로 곱게 나누겠지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3.21. 내 자리는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하나를 차분히 매듭짓고서 이다음에 더 꾸리자고 여기면 될 텐데, ‘자리’라는 낱말 하나랑 얽힌 수수께끼를 매듭짓는 일을 한 해 넘게 가만히 지켜봅니다. 그래도 어제까지 7/10은 매듭을 지었고, 3/10만 채우면 됩니다. ‘자리’라는 낱말하고 얽힌 여러 우리말을 짚고 헤아리다가, 어제는 ‘나락·별별·천장’ 같은 한자말을 더 손보는 길을 갈무리했고, ‘노동운동’ 같은 일본말씨를 어떻게 어린이한테 쉽게 들려줄 만한가 하고 생각해 보았습니다. 몇몇 어른한테 익숙하더라도 고치거나 풀어낼 말씨는 거침없이 손질할 노릇입니다. ‘운동·시민단체’ 같은 일본말씨가 안 나쁘지만, 이제는 이런 일본 한자말이 아닌 ‘어린이랑 어깨동무하는 쉬운 우리말’로 이 삶과 살림과 사랑을 그려서 나눌 줄 알아야지 싶어요. 그래서 ‘인문·인문책·인문학’ 같은 일본말씨도 되도록 줄이거나 걷어내면서 어린이 곁에서 새로 나눌 만한 ‘삶·살림’을 이야기할 노릇이라고 봅니다.


  ‘밸런타인데이’는 일본에서 퍼뜨린 장삿길입니다. 이런 뿌리를 알거나 짚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요? 뿌리를 알거나 짚은 뒤에는 이름을 곰곰이 생각해서 고쳐쓰고, 그날도 다시금 바라보자고 여기는 사람은 얼마나 있을까요?


  이제 몇 가지를 더 추스르고서 셈틀을 끌 생각입니다. 오늘 저녁에는 ‘자위·노른자위·무자위·잣다’에 ‘자국·자취’에 ‘잘·잘못·절·절하다’를 거쳐 ‘장사·장난·재미’를 지나 ‘잣나무·젖·잦다·젖다’로 마무리를 짓자고, 이제는 다음 낱말로 건너가자고 생각합니다. 열두띠하고 얽힌 열두 짐승을 가리키는 이름 이야기는, 그야말로 다음 꾸러미(사전)에서 짚고 풀어내어 싣자고 생각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