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2.17. 탄광 침수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날마다 몇 낱말을 놓고서 새롭게 풀어내다가 가늘게 한숨을 쉬고는 자리에서 일어나 하늘바라기를 하고 나무바라기를 합니다. 오늘은 새벽부터 ‘몸’하고 얽힌 수수께끼를 거의 풀 듯하다가 ‘모두·다’ 두 낱말이 얽힌 실타래를 풀려다가 멈추었습니다. 그냥 밀어붙여도 되지만, 마음에서 김이 몽글몽글 피어나면 모든 일을 멈춥니다. 더 돌아보고서 배울 대목이 있기에 마음에서 김이 나거든요.


  뒤꼍에 올라 푸릇푸릇 올라오는 풀을 살피다가 여린쑥을 보았고, 한 포기를 톡 뜯어서 혀에 얹으니 사르르 녹는 겨울맛에 봄내음입니다. 모든 나물은 늘 그곳에서 바로 훑어서 날로 누릴 적에 가장 싱그러운 빛이에요. 오래 두려고 말려서 묵나물로 삼기도 하는데, 이때에는 해바람빛을 물씬 담아놓습니다. 묵나물을 건사할 수 있는 나날이란, 해바람빛을 담아낸 동안이라고 할 테지요.


  저녁에 문득 한자말 ‘침수’를 갈무리하다가, 두 가지 ‘침수(沈水·浸水)’가 있는데 자칫 하나로 뭉뚱그릴 뻔했다고 느낍니다. 헐레벌떡 둘을 갈라놓다가 ‘침범·범람’을 갈라놓고, 이윽고 ‘탄광·광산’이란 한자말을 그냥 쓸는지, 새말을 지을는지 생각하다가 잠자리에 들기로 합니다. 등허리를 펴고 한동안 누웠더니 ‘돌’이란 낱말을 “그저 단단히 뭉친 것”으로뿐 아니라 ‘광물·광석’을 가리킬 적에도 예부터 으레 쓴 줄 깨닫습니다.


  ‘돌밭’이라고 하면 돌이 많아서 쓰기 어려운 땅을 흔히 가리키지만, 새롭게 살려쓰는 돌이 많이 나는 곳을 가리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돌밭 ㄱ = 돌무더기·자갈밭’으로, ‘돌밭 ㄴ = 돌기름밭’으로 가를 만해요. 다른 곳에 붙이는 ‘-밭’은 넉넉히 가꾸어 누리는 곳을 가리키는데, ‘돌밭’만 “돌이 많아 못 쓰는 땅”으로만 쓰기에는 아쉬워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2.12. 밤낮 대가리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전남 고흥군 고흥읍에 있는 〈카페 보아즈〉에서 2023년 2월 28일까지 ‘노래그림판(동시그림판)’을 내겁니다. 2월 11일에 작은아이하고 새삼스레 찾아가서 노래그림판 23자락을 갈았습니다. 늘 커피콩을 받는 곳인데, 어제는 ‘쑥 라떼’를 처음으로 마셔 보았습니다. ‘코코아’만 마시다가 문득 마셔 보는데 쑥처럼 향긋하면서 살짝 핑 돌도록 즐거운 맛입니다. 쑥잎을 보름쯤 햇볕을 듬뿍 먹이고서 뜨거운 물에 우리면 피어나는 내음을 얼핏 느끼면서 즐거웠습니다.


  우리말 ‘모·몸’이 얽힌 실타래를 오늘은 풀어내야지 하고 생각하다가, 그만 ‘밤낮’하고 ‘대가리’ 말밑을 먼저 풀었습니다. 스스로 우리말을 차근차근 익히면서 생각을 갈무리하는 분이라면 얼핏설핏 다 알 텐데, ‘밤 = 밝다’로, ‘낮 = 낮다’로 얽히는 얼개입니다. 어떻게 ‘밤’이 ‘밝음’을 가리키는지 알쏭하거나 궁금한 분들은 그저 수수한 우리말을 하나하나 짚어 보면 누구나 스스로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낮’도 매한가지입니다. ‘밤낮·별해’가 나란히 맞물려 돌아가는 우리말입니다.


  대숲은 대나무숲입니다. 대나무는 봄철 싹을 밥살림으로 사람한테 이바지한다고 여기는 분이 많은데, 이보다는 대숲이 한 해 내내 들려주는 바다노래 같은 숲바람노래가 사람한테 더없이 이바지합니다. 그렇기에 예부터 보금자리나 마을을 대숲으로 둘러 왔습니다. 이 수수께끼를 차근차근 짚는 시골살림을 곁에 둔다면, 왜 ‘대단하다·대수롭다’라는 우리말이 있고, ‘대머리·대가리·바지랑대’하고 ‘대다·댕기’가 맞물리는지 깨닫고는 눈을 번쩍 뜰 만합니다.


  이럭저럭 말밑을 추스르고 보니 《새로 쓰는 삶말 꾸러미 사전》은 어느새 글종이(원고지) 2000자락을 넘길 만큼 글을 모았습니다. 마음 같아서는 4000자락쯤 추슬러서 내놓고 싶으나, 몇 꼭지만 더 매듭지어서 철수와영희 펴냄터로 보내려고 합니다. 그야말로 거의 끝나가는 큰일 하나입니다. 새롭게 꾸러미(어원사전) 하나를 내놓으면 나라 곳곳 마을책집을 사뿐사뿐 마실하면서 우리 말밑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겠구나 싶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2.3. 예스 펀딩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누리책집 〈예스24〉에서 《나무의 어두움에 대하여》라는 책을 ‘도르리(북펀딩)’로 미리장만을 한다. 잘 태어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책은 줄거리로 읽기는 할 텐데, 책이름은 “나무가 들려주는 어두움”이나 “나무한테서 읽는 어두움”처럼 우리말씨로 붙이면 훨씬 나으리라 생각한다. ‘-의 + -에 대하여’는 ‘일본말씨 + 옮김말씨’이다.


http://www.yes24.com/product/goods/117106570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넋 2023.1.31.

책하루, 책과 사귀다 164 김연경 남진 사진


2023년 1월 30일, 난데없는 글(신문기사)이 떴습니다. ‘배구선수 김연경’하고 ‘노래하는 남진’ 두 사람이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김기현’하고 꽃다발을 든 채 함께 찰칵 찍은 탓이라는데, 오늘날은 지난날하고 달라 고작 하루가 지나지 않아 민낯이 환하게 드러납니다. 지난날이라면 며칠 아닌 몇 달이나 몇 해 동안 거짓글에 속아 ‘김연경·남진 손가락질’을 하는 사람들이 있을 테지요. 김연경 님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온누리 으뜸별(최고선수)입니다. 누리집(인스타) 벗만 160만이 훌쩍 넘지만, 길에서 문득 스치는 사랑이(팬)가 있어도 기꺼이 찰칵 찍히면서 ‘엄지척’을 해준다고 널리 알려졌습니다. 김연경 님은 지난 스무 해 동안 따로 ‘벼슬길(정치색)’을 밝힌 적이 없이 오롯이 배구만 판 삶입니다. 왼오른이 없이 한길을 파는 사람한테 “이쪽이냐 저쪽이냐 갈라치기”를 하려 든다면, 시커먼 꿍꿍이를 노리는 무리이거나, 시컴둥이한테서 뒷돈을 받은 놈일 테지요. 글꾼(작가)도 읽님(독자)이 책에 손글씨(사인)를 적어 달라면 누구라도 다 적어 주고 함께 찰칵 찍습니다. 읽님이 왼오른이든 따질 일이 없어요. 우리는 모두 다른 숨빛인 사람이거든요. 허울은 눈가림·거짓말로 터지고, 참빛은 살림·나눔으로 피어납니다.

.

ㅅㄴㄹ

.

숲노래 씨는 ‘이름글꾼(유명작가)’은 아니나

책하고 사전을 몇 써낸 사람으로서

숲노래 책과 사전을 사읽은 분이 누구이든

다 손글씨랑 동시를 적어서 건네고

사진도 함께 찍는다.


‘김연경·남진 사진’은

김기현이란 놈팡이가 거짓장난을 친

민낯이 드러나기는 했되,


정치성향이 이러하든 저러하든

어느 쪽을 밀든 말든

그저 ‘다 다른 사람’으로 바라보면서

우리 스스로 ‘다 다른 한길’을

즐겁게 걸어가면서

이 푸른별을 아름답게 가꾸는 일에

온마음과 온사랑을 쏟을 노릇 아닐까?


‘다음 사이트 덧글’을 보고서

이렇게 깜깜이가 많나 싶어

조금 놀랐으나

우리 눈높이를 고스란히 드러냈을 뿐이라고

느낀다.


그래도

민낯이 다 드러난 1월 31일 저녁부터는

깜깜이로 김연경 선수를 깎아내리던 덧글이

모조리 사라진 듯싶다.


김연경 선수는

소속구단 흥국생명이 막질을 벌였어도

학교폭력 칼둥이 자매가 막짓을 일삼았어도

모든 민낯이 드러날 때까지

조용히 지켜보고 연습·운동만 하면서

꽃등이라는 자리를 가꾸어 왔다.


2004년부터 2023년 오늘까지

김연경 선수 경기를 거의 다 본 사람으로서

글 한 조각 남긴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63 슬램덩크 표절



  어릴 적에 곧잘 ‘AFKN’을 틀었습니다. 제가 살던 인천은 ‘2’에서 ‘주한미군방송’이 나왔습니다. ‘새서미 스트리트·The Little Mole·스타 트렉·심슨 가족’에 ‘WWF·NFL·MLB·NBA·NCAA·NHL’도 보았어요. 어릴 적에는 뭔 소리인지 몰라도 우리나라에서는 안 보여주는 여러 이야기를 누릴 수 있었고, 이웃나라에서는 저런 이야기를 보는구나 하고 헤아렸습니다. 1990년 여름에는 ‘이탈리아 월드컵 대회’를 주한미군방송으로 보았어요. 이해에 《슬램 덩크》 몰래책(해적판)이 떠돌았습니다. 동무들은 《북두의 권》하고 《드래곤 볼》 몰래책도 글붓집(문방구)에서 300∼500원에 사서 돌려읽는데 ‘주한미군방송 NBA(미국프로농구)’를 빼다박은 몸놀림 그림이 영 시원찮아 “난 안 볼래” 하고 손사래쳤습니다. 《슬램 덩크》는 그때나 이제나 널리 읽힙니다. 2022년 겨울에 〈더 퍼스트 슬램덩크〉가 나오며 다시 바람을 일으키는 듯한데, 이제 웬만한 사람들이 다 아는 ‘미국프로농구 몸놀림 따라그림(표절)’을 놓고 이노우에 다케히코 씨가 딱히 무슨 말을 밝히지는 않은 듯싶습니다. 새로 선보이는 그림은 지음삯(저작권)을 제대로 치렀을까요? 아니면 무슨 뒷배가 있을까요? 그분은 베낌질(표절)로 여민 그림이 안 창피할까요?


ㅅㄴㄹ


이노우에 다케히코 씨는 여러모로 뒷배가 있었으리라. 아무 뒷배가 없이 ‘저작권을 깐깐하게 따지는 미국’에서 손놓거나 봐줄 수 없는 노릇이니까. 문득 허영만 씨 《퇴색공간》이 떠오른다. 우리나라 허영만 씨는 전두환·노태우 우두머리가 판치던 무렵, 안기부 뒷배를 받았구나 싶은 그림꽃을 꽤 펴냈다. 《오! 한강》만 아는 사람이 많으나, 《퇴색공간》이 버젓이 있다.


(독재부역 만화 퇴색공간 이야기) https://blog.naver.com/hbooklove/6006418373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