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두레 #북펀드
#시금치출판사 #도도가 있었다


54째 두레벗이 된다.
아직 마감이 제법 있으니
책두레를 하는 동무님을
100을 만날 수 있기를 빌어 본다.
#숲노래 #숲노래책읽기

https://www.aladin.co.kr/m/bookfund/view.aspx?pid=1852

이곳으로 가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넋 / 숲노래 책빛 2023.3.13.

책하루, 책과 사귀다 170 도서정가제



  책나라(출판왕국) 일본에서는 책을 살 적에 ‘책에 찍힌 값’대로 돈을 내지 않습니다. 일본은 ‘책에 찍힌 값 + 낛(세금)’입니다. 일본은 ‘책을 사는 사람’이 ‘책에 붙는 낛(세금)’까지 더 치릅니다. 이와 달리 우리나라는 ‘낛’조차 안 낼 뿐 아니라, ‘적어도 10% 에누리’를 받아야 한다고 여기고, 덤(적립금)까지 있어야 한다고 여깁니다. ‘책에 붙은 값 + 낛’을 치를 노릇인데, ‘낛’조차 안 내면서 에누리까지 바라는 마음이라면, 책을 왜 읽을까요? 두고두고 읽을 아름다운 이야기를 묶기에 비로소 책입니다. 싸구려로 팔아치워서 떼돈이나 목돈을 벌어들이려는 뭉치에는 ‘책’이란 이름을 붙일 수 없습니다. 우리는 아직 ‘책’이 아닌 ‘책 시늉을 하는 종이뭉치’를 싸구려로 사들여 ‘빨리 훑고 얼른 팔아치우는’ 굴레에 스스로 사로잡혔다고 여길 만합니다. 모름지기 ‘책’이란 이름을 붙이려면, 책집에서 1벌 읽고, 사서 집으로 들고 와서 1벌 더 읽고, 틈틈이 다시 들추며 끝없이 되읽으면서 마음을 살찌우는 빛살이어야겠지요. 두어 벌조차 못 읽는다면 불쏘시개나 그릇받침을 산 셈입니다. 마음빛을 살 적에 에누리를 바라는 마음이 불쑥불쑥 튀어나온다면, 아름다운 책을 읽는들, 마음을 가꾸는 길하고 멀 테지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넋 / 숲노래 책빛 2023.3.13.

책하루, 책과 사귀다 169 동업자 정신



  책마을을 망가뜨리는 길 가운데 하나는 ‘동업자 정신’입니다. 이른바 ‘암묵적 룰’이라 하면서 ‘좋게좋게 봐주자’고 하는 울타리(카르텔)가 있어요. 아끼려는 마음이 나쁠 까닭은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 책마을은 오래도록 ‘꼰대 술꾼’을 ‘어른으로 모시’면서 ‘술 따르는 젊은 아가씨 붙이기’를 일삼았어요. 예전에 나온 ‘창비시선’을 보면 책끝에 붙은 ‘풀이(해설)’에 글꾼(시인·소설가·평론가·기자)이 모여 질펀하게 술판을 벌인 뒷얘기가 참 자주 나오는데, 하나같이 엉큼하고 다랍습니다. 사람들은 ‘고은’ 하나만 알 테지만, 누가 고은한테 술을 사주고 함께 밤새워 술지랄을 떨었을까요? 요새는 예전처럼 술판은 안 할는지 모르나 ‘서로 치켜세우는 서평·추천’이라는 ‘동업자 정신’이 넘실거립니다. 아니, ‘좋게 서평·추천하기’는 무척 오래되었습니다. 어느덧 ‘서평단’을 대놓고 할 뿐 아니라 ‘서평단 클럽’까지 목돈을 들여 꾸립니다. ‘두레’가 아닌 ‘동업자 정신’입니다. 끼리질(문단 카르텔)을 쌓을수록 사람들은 책하고 등질 텐데, 가만 보면 ‘책다운 책하고 등지는 사람이 늘수록, 엉터리 장사책이 판치는 셈’이지 싶어요. 돈·이름·힘을 쳐다보고 바라면서, 살림·사람·숲을 짓밟는 책판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3.11. 요로원야화기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예전에도 ‘을유문고’를 보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한겨레싸움(한국전쟁)을 마친 뒤에 나온 을유문고는 제법 만날 수 있으나, 한겨레싸움이 터지기 앞서 나온 을유문고는 아주 드문 책입니다. 이제 막 수렁에서 벗어난 때이기도 하고, 온나라가 뒤죽박죽 다툼질이 끊이지 않던 1949년에 나온 작은 《乙酉文庫 2 要路院夜話記 外 十一篇》을 서울 길음 헌책집 〈문화서점〉에서 만났습니다. 묵직한 등짐에 이 작고 얇으며 바스라지는 책을 고이 품으면서 시외버스에 탔고, 서울에서 고흥으로 돌아가는 길에 살살 넘겼습니다. 1949년 그무렵 사람들은 어떤 마음으로 ‘그때로서는 반들반들했을 새책’인 이 작은책을 손에 쥐고 펼쳤을까요? 이 작은책은 어떻게 싸움판에서 살아남고, 서슬퍼런 나날을 견디다가, 오늘날까지 이어올 수 있었을까요?


  남겨 놓기에 모두 글(기록)이나 책(자료)이 되지는 않습니다. 손길을 탈 뿐 아니라, 살림하는 마음이 깃들어야 비로소 글이며 책이 됩니다. 읽히기에 글일 수 없습니다. 널리 읽힌다고 하더라도, 숲빛으로 푸르게 일렁이는 사랑을 어린이 곁에서 어린이 눈망울로 나눌 수수하며 상냥한 말씨로 가다듬지 않았으면, 무늬는 글일 테지만 속살로는 허울이라고 느낍니다. 오늘 이 나라에는 ‘글 아닌 허울’이 수두룩하게 넘치지 않나요? ‘글 아닌 허울’을 읽고서 ‘책을 읽었다’고 여기는 마음이 끔찍하도록 가득하지 않나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68 빛날책



  이제 ‘케익’이란 이름인 먹을거리를 살짝 먹을 수 있습니다만, 싸움판(군대)에 끌려간 스물한 살 때까지 아예 못 먹었습니다. 싸움판에 끌려간 첫해 한겨울에 눈밭을 하염없이 걸으며 멧골을 끝없이 넘는데요, “이 눈은 케익이야. 난 이 눈케익을 즐겁게 먹으면서 마지막까지 걸어내고 말 테야.” 하고 생각했어요. 뜨거운물도 그릇에 담자마다 식어버려 이내 얼어붙던 강추위에 눈을 훑어먹고서 여덟 달 뒤에 비로소 말미(휴가)를 얻어 밖에 나왔어요. 동무한테 “나 케익 사 줘.” 하고 얘기했고, 커다란 ‘생크림케익’ 두 판을 혼자 먹어치웠습니다. 다만 그 뒤로 케익을 따로 먹지는 않아요. 제 몸에서 안 받거든요. 아마 아홉열 살 무렵일 텐데, 우리 아버지가 작은아들 태어난날이라며 거나한 채 케익을 사오셨고 어머니는 “에그, 그 아끼는 작은아들이 케익을 먹으면 배앓이를 하고 게우는데, 또 사왔네.” 하며 혀를 차셨어요. 이날도 어김없이 배앓이를 하고 게우며 눈물범벅이었어요. 저한테 ‘태어난날(생일)’은 눈물투성이입니다. 누가 난날을 기리자고 하면 “어느 하루만 아닌, 모든 날이 아침에 새로 눈뜨니 빛날(생일)이에요.” 하고 말해요. 하루를 기리는 빛날책도 좋을 테지만, 저는 ‘온날책’이 한결 마음에 듭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