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지붕에 살며시 쌓인 눈

 


 지난가을 끝무렵, 남녘땅 고흥으로 보금자리를 옮기고 나서 처음으로 지붕에 살며시 쌓인 눈을 봅니다. 밤에 잠자리에 들 무렵은 지붕에만 살짝 쌓이더니, 새벽에 내다보니 마당에도 살짝 쌓입니다. 그러나 이 눈을 밟아도 발자국이 나지 않습니다. 하늘을 올려다보니 구름이 거의 없습니다. 아침에 해가 뜨면 언제 눈이 나려 살짝 쌓였느냐는 듯이 모두 녹아 말끔히 마르겠습니다.

 

 눈이 없어 눈을 쓸 일이 없습니다. 눈이 없이 물이 얼 근심이 없습니다. 눈이 없어 보일러 기름 끌탕이 적습니다. 눈이 없으니 눈싸움 눈사람 눈놀이 모두 없습니다. 꽁꽁 얼어붙는 냇물이나 논바닥에서 지치기를 할 수 없습니다. 눈이 없는 만큼 눈으로 즐기는 삶은 없습니다.

 

 영화로 나온 〈말괄량이 삐삐〉를 들여다보지 않더라도, 그리 멀지 않던 예전 사람들은 누구나 겨울날 얼굴이랑 손이랑 발이랑 몸뚱이랑 발갛게 얼어붙으면서 눈을 만지고 놀았습니다. 눈을 다루는 멋스러운 그림책이 없더라도, 눈밭에서 뒹구는 사람과 짐승이 얼크러진 예쁜 만화영화가 없더라도, 스스로 눈사람이 되고 눈아이가 되어 눈이야기 잔뜩 일구었습니다.

 

 눈을 뭉치자면 장갑을 끼지 못합니다. 맨 손바닥으로 뭉쳐야 제대로 뭉칠 수 있습니다. 어릴 적에는 왜 장갑을 끼면 눈을 못 뭉치는지 지식으로는 몰랐으나, 그냥 몸으로 알아서, 눈놀이를 할 때면 누구나 장갑을 벗었습니다. 나중에 중학교 고등학교에 들며 학교에서 지식으로 배운 다음 겨우 알지만, 이때에는 눈놀이를 하는 눈아이에서 멀리 동떨어집니다. 오직 시멘트 학교 건물 전깃불 밑에서 눈이 나빠지면서 참고서랑 문제집을 외워야 했으니까요.

 

 눈이 있어 눈아이가 됩니다. 눈이 없어 들아이가 됩니다. 눈이 있으면 눈놀이를 하고, 눈이 없으면 들에서 들놀이를 해요.

 

 눈이 있는 나라에서는 눈으로 놀겠지요. 눈이 없는 나라에서는 달리 있는 무엇으로 신나게 놀겠지요.

 

 그러나, 눈이 있고 거센 바람이 있으며 매서운 추위가 있는 조금씩 북쪽으로 올라가는 곳에 살림집이랑 마을이랑 있는 아이들은, 또 어른들은 눈이 있어도 눈을 누리지 않고 바람이 있어도 바람을 맞지 않으며 추위가 있어도 추위를 즐기지 못해요. (4345.1.4.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라딘서재 즐겨찾는 이웃 분들이

거의 아줌마가 아닌가 하고 느끼며

이런 글을 써 봅니다 ^^;;;;;

 

 


 아줌마하고 놀기

 


 옆지기는 아줌마하고 논다. 옆지기는 뜨개하는 아줌마하고 셈틀로 만나며 논다. 옆지기가 만나는 뜨개하는 아줌마 얼굴을 본 적 없다. 목소리를 들은 적 없다. 어떠한 살림을 꾸리는지 모른다. 다만, 집일을 도맡고 아이들 보살피며 큼지막한 아들까지 건사하면서 뜨개질까지 할 뿐 아니라, 셈틀을 켜고 손수 찍은 사진을 붙여 글까지 쓰는 아줌마라고 떠올린다면, 참 놀랍구나 싶다. 뜨개하는 아저씨도 아예 없지는 않을 테지만, 집일을 도맡고 아이들 보살피며 큼지막한 딸을 건사하면서 뜨개질에다가 손수 사진 찍은 사진을 붙인 글을 쓰는 ‘뜨개하는 아저씨’는 몇 사람쯤 될까. 어느 뜨개하는 아줌마는 이런저런 일에다가 ‘바깥에서 돈을 버는 일’까지 하겠지. 이러한 아줌마하고 살짝살짝 말꽃을 피울 수 있는 옆지기가 적이 부럽지만, 우리 집에도 아줌마가 한 사람 있으니 괜찮다.

 

 곰곰이 돌아보면 나도 아줌마하고 곧잘 놀지 않느냐 싶다. 아니, 아저씨하고 어울릴 때보다 아줌마하고 어울릴 때에 한결 마음이 놓인다. 아저씨하고 어울린다 할 때에는 집일을 조금이나마 맡는 아저씨일 때에 마음이 조금이나마 놓이고, 아이들 보살필 줄 아는 아저씨라 한다면 조금 더 마음이 놓이며, 뜨개질이건 바느질이건 책읽기이건 자전거이건 무엇이건 스스로 삶을 밝히는 길을 차근차근 찾는 아저씨일 때에 비로소 마음이 놓인다.

 

 집에서 하는 일로 이야기꽃 함께 피우지 못하는 아저씨하고 있으면 거북하다. 집에서 아이들 마주하는 일로 이야기열매 함께 나누지 못하는 아저씨하고 있으면 어렵다.

 

 거꾸로 생각해 본다. 나는 아줌마하고 놀 때에 즐겁다 하지만, 아줌마는 나하고 놀 때에 즐거울까. 나는 한국땅 여느 아저씨하고 놀며 즐거운 적이 드물지만, 한국땅 여느 아저씨는 나 같은 사람하고 놀며 즐거울 일이 없지 않을까. (4345.1.3.불.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녀고양이 2012-01-05 03:21   좋아요 0 | URL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줌마하고 놀기, 지금은 설마 주무시겠지요?
하도 늦게까지 계시고 새벽 일찌기 글을 쓰셔서.

한국 아저씨도 된장님과 노는게 즐거워야, 행복한 한국이 될텐데요... ^^

숲노래 2012-01-05 08:20   좋아요 0 | URL
앞으로 우리네 어린 사내들이
좀 사람답게
잘 크는
사랑을 누리면 좋겠어요.... 이궁...
 


 책으로 보는 눈 173 : 동시를 쓰는 사람

 

 

 나와 옆지기가 도시살이를 그대로 이었어도 우리 집 두 아이를 헤아리면서 동시를 쓸 마음을 품을 수 있었을까 궁금합니다. 어디에서 살아가든, 아이들 사랑하는 마음이 된다면 동시를 쓸 만하겠지요. 그런데, 아이를 사랑하자면 먼저 어버이로서 내 삶부터 사랑할 수 있어야 합니다.

 

 권정생 님이 1967년에 손수 묶었다는 동시꾸러미를 고스란히 엮어 내놓은 《동시 삼베 치마》(문학동네어린이)가 2011년 7월에 선보였습니다. “옥수수네 엄마는 / 좋은 엄마지 / 뙤약볕이 따가워 / 꽁꽁 싸 업고 / 칭얼칭얼 한종일 / 자장 불러요 // 옥수수네 엄마는 / 가난한 엄마 / 소낙비가 뿌려도 / 우산이 없어 / 치마폭만 가리고 / 걱정하셔요(옥수수).” 하고 노래하는 동시를 그러모은 예쁜 책을 고맙게 읽습니다. 두 아이랑 옆지기하고 살아가는 나는 내 삶을 돌아보면서 즐거이 읽습니다. 먼 뒷날 우리 집 두 아이가 무럭무럭 자라 한글을 깨쳐 스스로 책을 읽을 무렵, 이 동시집도 읽을 수 있겠지요. 권정생 님이 열다섯 앞뒤였을 무렵 어떤 나날이었는가 하고 돌아보며 썼다는 동시이니, 1952년 앞뒤 즈음 이야기를 적바림한 동시라 할 텐데, 우리 집 아이들은 열 살 무렵이든 스무 살 무렵이든 서른 살 무렵이든 이 동시집을 읽을 수 있습니다. 열 살 때에는 열 살 가슴으로 맞아들일 테고, 스무 살 때에는 스무 살 마음으로 받아먹겠지요. 서른이나 마흔에 되읽는다면 되읽는 나이에 새롭게 받아들일 테며, 쉰이나 예순에 처음으로 읽는다면, 이렇게 처음 읽는 나이에 맞게 기쁘게 아로새기겠지요.

 

 “노랑 나비 / 노랑 꽃에 / 노랑 꽃물 먹고 / 노오랗게 닮아 버렸다(나비).” 하는 노래를 읽습니다. 누구나 스스로 살아가는 터전에 걸맞게 마음씨를 다스립니다. 햇살 곱게 내리쬐는 푸른 들판이랑 멧자락을 옆에 끼며 살아간다면, 햇살 곱게 내리쬐는 마음씨가 되면서, 푸른 들판이랑 멧자락처럼 푸른 마음씨로 살아갑니다. 자동차들 붕붕 싱싱 내달리는 터전에서 살아간다면, 자동차마냥 붕붕 싱싱 내달리는 마음씨 되어 살아가요. 흙을 밟거나 만지며 살아간다면, 흙내음 물씬 나는 마음씨로 살아갑니다.

 

 “호박 넝쿨은 / 사이 좋게 어울려 / 빈자리 없이 퍼런 이파리를 / 덮는다 // 호박 넝쿨은 / 전쟁하지 않고 / 정답게 돌담 가득 / 꽃피웠다(호박 넝쿨).” 하는 노래를 읽습니다. 싸우는 사람은 바보요 밉보입니다. 싸우는 사람은 이웃과 동무를 괴롭히지만, 누구보다 나 스스로 괴롭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은 이웃과 동무를 아끼지만, 누구보다 나 스스로 사랑스럽습니다.

 

 어여쁜 이야기꾸러미 《동시 삼베 치마》는 참말 권정생 님이 아니라면 쓸 수 없을 동시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누구라도 권정생 님처럼 어여삐 살아간다면, 어여쁜 마음결 살포시 담는 동시를 쓸 수 있습니다. 어여삐 살아가고자 하지 않으니까 어여쁘다 싶은 글을 쓰지 못해요. 어여쁜 삶이 어여쁜 말을 낳고, 어여쁜 말이 어여쁜 넋이 되어, 어여쁜 넋으로 어여쁜 꿈과 사랑을 꽃피웁니다. (4344.12.31.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같이 눕는다

 


 아이들이 함께 엎드린다. 갓난쟁이가 어머니 곁에서 엎드린 옆으로 첫째 아이가 나란히 엎드린다.

 

 아이들이 함께 눕는다. 갓난쟁이는 어머니 곁에서 눕고, 첫째 아이는 아버지 곁에서 눕는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다섯 해를 함께 살았고, 아버지와 어머니와 첫째 아이는 네 해를 함께 살았으며, 아버지와 어머니와 첫째 아이와 둘째 아이는 이제 한 해를 함께 살아간다.

 

 함께 살아가는 네 식구는 한솥밥을 먹는다. 한 집에서 지내며 한 방에서 잔다. 같은 책 한 권을 넷이서 돌려읽거나 나란히 읽는다. 아버지나 어머니가 먼저 읽은 글책을 아이들은 나중에 물려받아 읽겠지. 아버지와 어머니가 돌본 땅뙈기를 아이들은 나중에 함께 돌보겠지.

 

 아버지와 어머니가 팔힘 다리힘이 빠진다면, 아이들이 빨래를 맡을 수 있을까. 아니, 이때에는 전기를 먹지 않는 빨래기계를 마련해서 이 집에 놓아 줄까. 아니, 아버지와 어머니 팔다리에 힘이 줄어들 무렵이면 아이들 옷가지 빨래할 일이 없을 테니, 조금 겨우 내는 힘으로도 아버지와 어머니 두 사람 옷가지쯤 너끈히 손수 빨래할 수 있으리라. 이제 아이들은 저희 옷가지를 저희가 마련하고 돌보며 빨래하는 삶을 일구어야지.

 

 어버이는 아이한테 아이가 읽을 책을 내밀 수 없다. 아이는 스스로 글을 읽을 무렵 스스로 읽을 책을 스스로 찾는다. 어버이는 아이가 바라는 대로 모두 이루어 주지 않는다. 아이가 이리 가고 저리 가며 스스로 길찾기 하는 동안 곁에서 가만히 지켜보며 길동무가 된다.

 

 책을 읽어 받아들이는 느낌은 오직 내 마음밭 넓이에 달린다. 밥을 먹어 받아들이는 느낌은, 맛은, 기운은, 기쁨은, 오직 내 혀와 입과 몸에 달린다. 좋은 밥으로 느껴 좋은 기운을 얻는다면, 좋은 글·그림·사진을 읽어 좋은 넋을 북돋우면서 좋은 사랑을 키우겠지.

 

 아이들과 같이 눕는다. 옆지기와 나란히 눕는다. 아이들과 같이 꾸리는 삶이다. 옆지기와 나란히 사랑할 삶이다. 책은 네 식구 사이에서 얌전히 제자리를 지킨다. 책은 네 식구 가슴마다 다 다른 이야기꽃을 피우며 이야기열매를 맺는다. (4344.12.31.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머니 품에서 잠들기

 


 졸린 아이가 악악거리다가 어머니 품으로 파고든다. 아이는 그냥 자리에 눕지 않는다. 어머니 품을 파고들려 한다. 아이라서 그럴 테다. 아이라서 모르는 일이 많고, 아이라서 새로 받아들이면서 무럭무럭 마음밭이 자랄 테다. 몸뚱이 커다란 어른이라면 어머니 품에 파고들 수 있을까. 아마 몸뚱이가 파고들지는 못할 테고 머리통만 무르팍에 얹을 수 있으리라.

 

 네 살 아이는 어머니 무릎에 앉아서 어머니가 보는 책을 함께 들여다본다. 멍한 눈길로 바라본다. 졸음이 가득한 눈길로 쳐다본다. 아이는 이내 눕는다. 어머니 한팔을 베개로 삼는다. 어느 만큼 지나, 아이를 안아 자리에 눕힌다. 아이는 깨지 않는다. 깊이 잠들어 오래오래 색색 숨소리를 낸다. 아이를 낳아 함께 살아가는 어버이라면, 아이가 졸립거나 고단할 때에 언제라도 넉넉하면서 포근히 품을 수 있어야 한다. (4344.12.29.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