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넋·삶 46 ‘걸음마’와 ‘걸음’



  모든 아기는 걸음마를 디디면서 이 땅에 새롭게 서려 합니다. 걸음마는 아직 걸음이 되지 못한 몸짓이지만, 아기는 저를 낳은 어버이처럼 걷겠노라 하는 꿈을 키우니, 씩씩하게 두 다리로 서서 이 땅을 디디려 합니다. 아기는 제 힘을 써서 제 몸으로 우뚝 서려 합니다. 홀로 씩씩하게 서려 합니다. 그러니까, ‘홀가분하’게 서려고 ‘걸음마’를 뗍니다.


  아기가 ‘첫’ 걸음마를 뗀 뒤에는 ‘새’ 걸음마를 떼려고 애씁니다. 걸음마가 날마다 새롭도록 애씁니다. ‘첫걸음마’는 언제나 ‘새걸음마’로 나아갑니다. 걸어 보려고 애쓰고 힘쓰고 용쓰면서 나중에는 드디어 ‘걸음’이 됩니다. 어버이 손을 잡지 않고도 제법 먼 길을 혼자 걸어서 오갈 수 있습니다. 이때에 비로소 ‘걸음’이라고 합니다.


  걸음마를 떼면서 걸음을 할 수 있는 아이는, 맘마를 떼면서 밥을 먹을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모두 걸음마요 맘마입니다. ‘밥’이 아닌 ‘맘마’입니다. 밥처럼 지어서 밥처럼 먹으라고 하는 맘마입니다. 왜냐하면, 아기는 이가 얼마 안 돋거나 없으며, 아이는 이가 아직 제대로 안 돋았기 때문입니다.


  아기와 아이가 떼는 걸음마는, 어른으로 치자면 ‘훈련’이라 할 만합니다. 어른도 어떤 낯선 일을 처음으로 할 적에는 서툴거나 어수룩합니다. 낯설기에 익숙하지 않아요. 어른도 일손을 익숙하게 하려면 하고 또 하고 다시 해야 합니다.


  손놀림이나 몸놀림이 익숙해지면, 이제부터는 새롭게 하려고 나섭니다. ‘똑같이’ 하려고 나서는 삶이 아닙니다. ‘새롭게’ 하려고 나서는 삶입니다. 아이들이 걸음마를 익히는 까닭은 ‘어른과 똑같이’ 하려는 뜻이 아닙니다. ‘어른처럼 걸음을 떼’고 나서 ‘내 나름대로 새롭게 걸음을 지으’려는 뜻입니다. 어른들이 낯선 일을 마주하면서 손놀림과 몸놀림을 익숙하게 가다듬으려 하는 까닭도, 어른들 나름대로 ‘이 일을 새롭게 맞아들여서 새롭게 누리’려는 뜻입니다.


  그러면, 왜 걸음마나 맘마를 거칠까요? 왜 ‘훈련’을 할까요? ‘삶짓기’를 하려는 뜻입니다. 삶을 지으려는 뜻으로 ‘걸음마(첫 단추)’를 떼려 합니다. 첫 단추를 꿰면 다음 단추를 꿸 수 있고, 단추를 모두 꿰면 옷을 입을 수 있습니다. ‘옷입기’는 ‘삶짓기’와 같습니다. ‘걸음 떼기’는 ‘삶짓기’와 같아요. 나한테 찾아드는 새로운 하루(오늘)를 그야말로 새롭게 맞이해서 새롭게 누리려는 마음으로 첫걸음을 떼려 하고, 이 첫걸음이 언제나 새걸음이 되도록 몸을 움직입니다.


  삶을 지으려고 하는 걸음마(훈련)입니다. ‘잘 걷는 선수’가 되려고 걸음마를 하지 않습니다. ‘똑같은 틀’에 갇히려고 똑같은 걸음걸이를 익히려 하지 않습니다. 두 다리를 놀려 제대로 걸으려고 하는 까닭은, 내 마음과 몸을 제대로 다스려서 내 삶을 제대로 지을 뜻이기 때문입니다.


  아직 걸음이 아닌 걸음마는 여러모로 서툽니다. 아직 삶이 아닌 훈련은 이모저모 서툽니다. 서툴지만 빙긋빙긋 웃으면서 걸음마를 떼려 합니다. 서툴지만 활짝활짝 웃으면서 훈련을 하려 합니다. 아이와 어른 모두 삶짓기로 한 걸음씩 나아갑니다. 우리 모두 삶짓기를 이루는 길로 씩씩하게 새 걸음을 내딛습니다. 4348.3.1.해.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람타 공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도 익혀야지

 (1073) 그리고 5


버찌와 수박을 먹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케이크에 터널을 뚫어 안쪽에서부터 먹었습니다 … 겨울잠쥐는 제일 큰 화분을 골랐습니다. 그리고 나서

《후쿠자와 유미코/엄기원 옮김-숲 속의 단짝 친구》(한림출판사,2004) 13, 15쪽


 그리고 나서

→ 그리고

→ 그러고 나서

→ 그리하고 나서

→ 그렇게 하고 나서

 …



  “그리고 나서” 꼴로 잘못 쓰는 사람이 대단히 많습니다. ‘그리고’라는 이음씨 뒤에는 ‘나서’를 붙일 수 없으나, 이렇게 잘못 쓰는 사람이 줄어들지 않습니다. “그런데 나서”나 “그러나 나서”처럼 쓸 수 없는 줄 안다면, “그리고 나서”처럼 쓸 수 없는 줄 알 테지요. 이 보기글에서는 ‘나서’를 덜고 ‘그리고’만 적으면 됩니다.


  그리고, 이 글월을 다르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왜 “그러고 나서”인가 하면, ‘그러고’는 ‘그리하고’를 줄인 낱말입니다. ‘이리하다’를 줄이면 ‘이러다’이고, ‘저리하다’를 줄이면 ‘저러다’예요. 그러니, “그러고 나서·이러고 나서·저러고 나서”처럼 적어야 올바릅니다.


  다만, “그림을 그리다”를 말하려 한다면, “그림을 그리고 나서”처럼 쓸 수 있습니다. 이런 자리가 아니라면 ‘그리고’나 ‘그러다’를 알맞게 살펴서 써야 합니다. 4348.4.5.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버찌와 수박을 먹었습니다. 그리고 케이크에 구멍을 뚫어 안쪽부터 먹었습니다 … 겨울잠쥐는 가장 큰 꽃그릇을 골랐습니다. 그러고 나서


‘터널(tunnel)’은 ‘구멍’으로 손질하고, ‘제일(第一)’은 ‘가장’으로 손질하며, ‘화분(花盆)’은 ‘꽃그릇’으로 손질합니다.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쓰면 우리 말이 깨끗하다

 (331) 미지의 1


이처럼 우리는 보통 미지의 것들에 대해 보호막이 없다고 느끼게 되고, 그래서 아무런 이유도 없이 끔찍한 일들을 상상하게 되는 거야

《타하르 벤 젤룬/홍세화 옮김-인종차별, 야만의 색깔들》(상형문자,2004) 18쪽


 미지의 것들에 대해 보호막이 없다

→ 모르는 것을 막아 줄 울타리가 없다

→ 알 수 없는 것을 막아 주는 울타리가 없다

→ 낯선 것들한테서 지켜 주지 못한다

 …



  한자말 ‘미지’는 “알지 못함”을 뜻합니다. 곰곰이 따지면, 사람들이 “알지 못함”이나 “모름”이라고 쓰는 말을 한자로 옮기면 ‘미지’가 되는 셈입니다. “미지의 세계”란 “알지 못하는 세계”이거나 “모르는 세계”입니다. “미지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은 “알지 못하는 아득한 두려움”이거나 “하나도 모르는 어렴풋한 두려움”입니다. 말뜻 그대로 쉽게 쓰면 될 노릇이면서, 한국말로 쉽게 쓰면 됩니다. 4338.9.24.흙/4348.4.5.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이처럼 우리는 흔히 낯선 것을 막아 주는 울타리가 없다고 느끼고, 그래서 아무런 까닭도 없이 끔찍한 일을 생각하고 말아


한국말사전에서 ‘보호막(保護膜)’을 찾아보니 ‘점막(粘膜)’을 가리키는 북녘말이라 풀이하는군요. 글쎄, 보호막과 점막은 쓰임새가 다른 낱말이 아닐까요. 여기에서는 ‘지켜 주는 품’나 ‘막아 주는 울타리’쯤으로 손질합니다. ‘이유(理由)’는 ‘까닭’으로 다듬고, ‘상상(想像)하게’는 ‘생각하게’나 ‘떠올리게’로 다듬습니다.



미지(未知) : 아직 알지 못함

   - 미지의 세계 / 미지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은 곧 사라졌고


..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624) 미지의 2


이것도 역시 텍스쳐의 강조가 표현에 박진감(迫眞感)을 줄 뿐만 아니라 여기에서 강철(鋼鐵)이 갖는 미지(未知)의 아름다움을 발견해 낸 작품이다

《와타나베 츠토무/육명심 옮김-사진의 표현과 기법》(사진과평론사,1980) 54쪽


 미지(未知)의 아름다움을 발견하다

→ 알 수 없는 아름다움을 찾아내다

→ 어렴풋한 아름다움을 찾아내다

→ 숨은 아름다움을 찾아내다

→ 감춰진 아름다움을 찾아내다

→ 속에 깃든 아름다움을 찾아내다

 …



  이 보기글에서는 ‘미지’라는 한자말에도 묶음표를 치고 한자를 적습니다. 그러나, ‘미지(未知)’처럼 적는다고 해서 잘 알아볼 만하지 않습니다. 외려 더 뒤죽박죽이 됩니다. 알기 쉽도록 풀어야지요. 뜻이 환하게 드러나도록 글을 써야지요.


  이 자리에서는 ‘알 수 없는’으로 풀 수도 있고, ‘숨은’이나 ‘감춰진’으로 풀 수도 있으며, ‘속에 깃든’으로 풀 수도 있습니다. 4339.6.7.물/4348.4.5.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이 또한 겉느낌을 도드라지게 살려서 마치 참으로 그러하다는 듯이 나타낼 뿐만 아니라, 여기에서 무쇠에 숨은 아름다움을 찾아낸 작품이다


보기글을 보면, ‘박진감’과 ‘강철’이라는 한자말에 묶음표를 치고 한자로 어떻게 적는가를 밝힙니다. 이 두 낱말은 한글로만 적으면 알아듣기 힘들다고 여기는구나 싶은데, 한자를 밝혀서 迫眞感으로 적는다고 해서 더 잘 알아들을 수 있지 않습니다. “표현(表現)에 박진감(迫眞感)을 줄 뿐만 아니라”는 “참으로 그러하다는 듯이 나타낼 뿐만 아니라”로 손보고, ‘강철(鋼鐵)’은 ‘무쇠’로 손봅니다. “텍스쳐(texture)의 강조(强調)가”는 “질감을 도드라지게 해서”나 “겉느낌을 살려서”로 손질하고, ‘발견(發見)해’는 ‘찾아’로 손질합니다.


..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1653) 미지의 3


또 한 명의 칠레인은 아직 도착하지 않은 미지의 인물이었다

《조안 하라/차미례 옮김-빅토르 하라》(삼천리,2008) 29쪽


 미지의 인물이었다

→ 모르는 사람이었다

→ 알쏭달쏭한 사람이었다

→ 궁금하기만 한 사람이었다

 …



  알 수 없는 일이 참 자주 일어난다고 느끼면서도, 알고 보면 알 수 없던 일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옆으로 밀어 놓던 일은 아니었나 하고 돌아봅니다. 일어남직한 일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하는 바람에 어느 결에 깜짝 놀래키듯 터지기도 합니다.


  알기에 알고, 모르기에 모릅니다. 아니까 궁금하지 않고, 알지 않으니 궁금합니다. 알면 알 뿐이요, 모르면 아리송하거나 알쏭달쏭합니다. 모르니까 수수께끼가 되고, 그저 물음표투성이입니다. 4342.1.18.해/4348.4.5.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또 다른 칠레사람은 아직 오지 않은 알쏭달쏭한 사람이었다


“또 한 명(名)의 칠레인(-人)”은 “또 다른 칠레사람”이나 “또 하나 있는 칠레사람”으로 다듬고, ‘도착(到着)하지’는 ‘오지’로 다듬으며, ‘인물(人物)’은 ‘사람’으로 다듬어 줍니다.


..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230) 미지의 4


나와는 아주 다르게 히피로 살아온, 마치 미지의 정글과도 같은 한 남자의 삶이 그런 나의 소망 속으로 파고들었다

《신지아-나는 자유로운 영혼이다》(샨티,2014) 274쪽


 미지의 정글과도

→ 아리송한 

→ 알 수 없는

→ 수수께끼 같은

→ 새로운

 …



  알 수 없으면 ‘모른다’고 합니다. 그런데, 알 수 없는 것 가운데에는 ‘수수께끼’라 할 만한 것이 있고, ‘새롭다’고 할 만한 것이 있으며, ‘낯설다’고 할 만한 것이 있습니다. 모르기에 모두 새롭지는 않습니다. 때와 곳에 따라 ‘모르다’와 ‘새롭다’와 ‘낯설다’를 알맞게 씁니다. 4348.4.5.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나와는 아주 다르게 히피로 살아온, 마치 수수께끼 숲과도 같이 살던 사내가 그런 내 꿈으로 파고들었다


‘정글(jungle)’은 ‘숲’으로 다듬고, “나의 소망(所望) 속으로”는 “내 꿈으로”나 “내 꿈에”로 다듬습니다. “한 남자(男子)의 삶이”는 “한 남자 삶이”로 손볼 수 있는데, 한국말에서는 ‘한’을 얹음씨로 쓰지 않습니다. 그런데 “남자 삶이”나 “사내 삶이”로 손보면 어쩐지 글이 안 어울립니다. 낱말만 손보아서는 글이 제대로 엮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보기글은 “-같이 살던 사내가”로 다시 손봅니다.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1677) 식겁


그 괴물들 우리한테 완전 식겁했을걸

《에즈라 잭 키츠/서애경 옮김-루이의 우주선 상상 1호》(웅진주니어,2008) 29쪽


 완전 식겁했을걸

→ 아주 놀랐을걸

→ 무척 놀라서 무서웠을걸

→ 크게 놀라며 무서웠을걸

 …



  ‘놀라다’라는 낱말은 뜻밖에 어떤 일이 생겨서 가슴이 두근거릴 때에 씁니다. 그러니, 한자말 ‘식겁’을 풀이하면서 “뜻밖에 놀라”처럼 적을 수 없습니다. 겹말이 되니까요. 그리고, 한자말 ‘겁(怯)’은 한국말로 ‘무서움’을 가리킵니다. 한자말로는 “겁이 없다”처럼 쓸 테고, 한국말로는 “무서움이 없다”처럼 씁니다.


 식겁을 한 막내아들

→ 놀라고 무서운 막내아들

→ 놀라며 무서운 막내아들

 얼마나 식겁했는지

→ 얼마나 놀라며 무서웠는지

→ 얼마나 놀라고 무서웠는지


  이 보기글에서는 ‘놀라다’나 ‘무섭다’를 함께 쓸 수 있고, 둘 가운데 하나를 골라서 쓸 수 있습니다. 놀란다고 해서 다 무섭다고 여기지 않으나, 무섭다고 여길 적에는 놀라는 느낌을 함께 가리키기 마련입니다. “놀라면서 무섭다”는 뜻에서 ‘식겁하다’ 같은 한자말을 쓴다면 글잣수는 줄어들는지 모르나, 뜻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습니다. 이런 말은 한국말사전에서 털어내야 합니다. 4348.4.4.흙.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 녀석들 우리한테 크게 놀라 무서웠을걸


‘괴물(怪物)’은 그대로 둘 수 있으나, ‘녀석’이나 ‘놈’으로 손보아도 잘 어울립니다. ‘완전(完全)’은 ‘아주’나 ‘몹시’나 ‘무척’이나 ‘크게’로 손질합니다.



식겁(食怯) : 뜻밖에 놀라 겁을 먹음

   - 식겁을 한 막내아들 / 얼마나 식겁했는지 모른다


..



 알량한 말 바로잡기

 (1673) 편안


할머니는 크릭터가 편안하게 지내도록 야자나무를 집 안으로 들여놓았어 … 크릭터한테는 따뜻하고 아늑한 침대도 있었대

《토미 웅거러/장미란 옮김-크릭터》(시공주니어,1996) 10, 15쪽


 편안하게 지내도록

→ 아늑하게 지내도록

→ 느긋하게 지내도록

→ 포근하게 지내도록

→ 걱정없이 지내도록

→ 잘 지내도록

 …



  이 보기글을 잘 보면, 앞쪽에서는 ‘편안하게’라 적고, 뒤쪽에서는 ‘아늑한’이라 적습니다. 그러니까, 앞이나 뒤 모두 ‘아늑하다’라는 한국말을 쓸 수 있다는 뜻입니다. 뒤에서 ‘아늑하다’를 쓰고, 앞에서는 다른 낱말을 넣고 싶다면, 앞에 ‘느긋하게’나 ‘걱정없이’를 넣을 만합니다.


 일신의 편안만을 생각한다

→ 제 한 몸만을 생각한다

→ 제 몸만 좋기를 생각한다

 마음을 편안히 가지다 

→ 마음을 느긋하게 두다

→ 마음을 가벼이 하다

 편안히 공부할 수 있는 아이들

→ 걱정없이 공부할 수 있는 아이들

→ 느긋하게 공부할 수 있는 아이들


  한자말 ‘편안하다’는 ‘편하다 + 걱정없다 + 좋다’라고 합니다. 그러나, 세 가지를 한꺼번에 나타내기보다는 세 가지 자리에 따로 쓸 만하다고 해야지 싶습니다. 한자말 ‘편하다’는 ‘괴롭지 않아 좋다’를 뜻하니, 한마디로 하자면 ‘좋다’를 뜻하는 셈입니다.


 편안한 자세 → 느긋한 몸짓

 편안한 옷차림 → 가벼운 옷차림

 

  옷차림이 ‘편안하다’거나 ‘편하다’면, 옷차림이 ‘가볍다’거나 ‘단출하다’는 이야기입니다. 몸짓이 ‘편안하다’면, 몸짓이 ‘느긋하다’거나 ‘아늑하다’는 이야기입니다. 마음이 넉넉하도록 하는 몸짓입니다. 4348.4.4.흙.ㅎㄲㅅㄱ



편안(便安) : 편하고 걱정 없이 좋음

   - 일신의 편안만을 생각한다 / 편안한 자세 / 편안한 옷차림 /

     마음을 편안히 가지다 / 편안히 공부할 수 있는 아이들

편(便)하다 : 몸이나 마음이 거북하거나 괴롭지 아니하여 좋다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1367) -사死 1


그 가운데는 수명이 다해 자연사하는 새도 있을 것이고, 천적한테 공격을 당해 죽는 일도 있을 것이다

《권오준-우리가 아는 새들 우리가 모르는 새들》(겨레,2014) 66쪽


 자연사하는 새도

→ 늙어서 죽는 새도

→ 늙어 죽는 새도

→ 천천히 죽는 새도

→ 조용히 죽는 새도

 …



  한국말사전을 보면 ‘死’라는 낱말이 따로 올림말로 나옵니다. “= 죽음”으로 풀이합니다. 그러니까, ‘死’라는 외마디 한자말은 쓰지 말고 ‘죽음’이라는 한국말을 써야 한다는 소리입니다.


 생과 사의 갈림길

→ 삶과 죽음이라는 갈림길

 사가 우리들의 사랑하는 이를 우리에게서 뺏어 갈 때

→ 죽음이 우리가 사랑하는 이를 우리한테서 뺏어 갈 때


  삶은 ‘삶’입니다. 죽음은 ‘죽음’입니다. 이를 굳이 ‘生’과 ‘死’라는 한자말로 써야 하지 않습니다. 딱히 영어로 써야 하지도 않습니다. 한국말로 알맞게 쓰면 됩니다.


  ‘자연사’ 같은 한자말도 따로 써야 하지 않습니다. “자연스레 죽었다”고 하면 되고, ‘자연사’라는 낱말이 가리키는 대로 “늙어서 죽다”라 하면 되고, “조용히 죽다”나 “천천히 죽다”나 “늙어서 스스로 죽다”나 “목숨이 다해 스스로 죽다”처럼 쓰면 됩니다. 한국말사전에 나오는 “늙어서 자연사하다”는 그야말로 겹말입니다. “늙어서 늙어서 죽다” 꼴이 되니까요. 4348.4.4.흙.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 가운데는 목숨이 다해 스스로 죽는 새도 있고, 목숨앗이한테 죽는 일도 있다


‘수명(壽命)’은 ‘목숨’으로 다듬고, “있을 것이고”는 “있고”로 다듬습니다. ‘천적(天敵)’은 ‘목숨앗이’로 손질하고, “공격(攻擊) 당(當)해”는 “공격을 받아”나 “붙잡혀”나 “사로잡혀”나 “먹이가 되어”로 손질합니다.



사(死) = 죽음

   - 생과 사의 갈림길 / 사가 우리들의 사랑하는 이를 우리에게서 뺏어 갈 때

자연사(自然死) : 노쇠하여 자연히 죽음

   - 자연사일 가능성이 높다 / 늙어서 자연사하다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