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랑 놀자 213] 라온



  닿소리 ‘ㄹ’로 여는 한국말은 거의 찾아볼 수 없어요. 오늘날 우리가 쓰는 ‘ㄹ’로 첫소리를 여는 낱말은 거의 외국말이라 할 만합니다. 옛날부터 한겨레가 ‘ㄹ’ 낱말을 안 쓰지 않았으나, 한글로 적는 맞춤법을 세우면서 ‘ㄹ’ 낱말은 모조리 자취를 감추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말사전에서 ‘ㄹ’ 자리를 살피면 거의 옛말이나 서양말이나 일본말인데요, 이 가운데 ‘라온’이 있어요. ‘라 + 온’인 낱말이고 “즐거운”을 뜻한다고 해요. 오늘날에는 안 쓰는 옛말이라지요. 그렇지만 오늘날에 이 ‘라온’을 쓰는 사람이 꽤 많아요. 회사나 공장을 열며 ‘라온’이라는 이름을 쓰는 곳이 있고, ‘라온’이라는 낱말을 넣은 아파트도 있지요. ‘라 + 온’으로 엮은 낱말인 ‘라온’에 다른 낱말을 엮어서 ‘라온눈’이나 ‘라온제나’나 ‘라온누리’나 ‘라온별’이나 ‘라온님’처럼 재미있고 사랑스러운 이름을 새로 짓기도 해요. 한국말사전에서는 옛말로 다루더라도 오늘 우리가 새로운 숨결을 담아서 즐겁게 쓴다면 얼마든지 ‘오늘말’로 거듭나요. 그리고, 오늘 우리가 제대로 안 쓰거나 잊는 낱말이라면, 이 낱말은 시나브로 ‘옛말’이나 ‘죽은말’이 돼요. 4349.1.31.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겹말 손질 385 : 아름답고 화려한



아름답고 화려한

→ 아름답고 아름다운

→ 아름답고 환한

→ 아름답게 빛나는


화려(華麗)하다 : 환하게 빛나며 곱고 아름답다



  한자말 ‘화려하다’는 ‘아름답다’를 뜻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한국말사전을 보니 “곱고 아름답다”로 풀이하는군요. ‘곱다’와 ‘아름답다’를 풀이말로 함께 쓸 수 있을까요? 더군다나 ‘빛나다’를 한국말사전에서 찾아보면 “빛이 환하게 비치다”를 뜻한다고 나와요. “환하게 빛나다”처럼 쓰면 겹말이에요. “곱고 아름답다” 같은 풀이말도 겹말이고요. 2016.3.2.물.ㅅㄴㄹ



아름답고 화려한 문장이다

→ 아름답고 환한 글이다

→ 아름답디아름다운 글이다

→ 아름답고 훌륭한 글이다

→ 아름답게 빛나는 글이다

《윤희진-고추장 담그는 아버지》(책과함께어린이,2009) 70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겹말 손질 377 : 미친 듯 폭주하여 달려가는



미친 듯 폭주하여 달려가는

→ 미친 듯 달려가는

→ 미친 듯 마구 달려가는


폭주(暴走) : 매우 빠른 속도로 난폭하게 달림

난폭(亂暴) : 행동이 몹시 거칠고 사나움



  “미친 듯 달려가는”이라고 할 적에는 너무 지나치도록 빠르게 달리거나 거칠게 달린다는 뜻입니다. 그렇기에 “미친 듯 폭주하여”는 겹말이 됩니다. 한자말 ‘폭주’는 거칠게 달린다거나 미친 듯이 달린다는 뜻입니다. 그러니 “폭주하여 달려가는”은 겹말이 돼요. 이 보기글은 앞뒤로 겹말이 겹으로 쓰였습니다. 사이에 들어간 ‘폭주하여’를 덜고 “미친 듯 달려가는”이라고만 하면 됩니다. 4349.1.12.불.ㅅㄴㄹ



미친 듯 폭주하여 달려가는 우리의 삶을 멈추게 하기를 기대하면서

→ 미친 듯 달려가는 우리 삶을 멈추게 하기를 바라면서

《김경희-마음을 멈추고 부탄을 걷다》(공명,2015) 9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적' 없애야 말 된다

 정치적


 정치적 망명 → 정치 망명

 정치적 문제 → 정치 문제

 정치적 인물 → 정치 인물 / 정치꾼 / 정치를 아는 사람 / 정치를 하는 사람

 정치적인 사건 → 정치 사건 / 정치일 / 정치를 보여주는 일

 그는 매우 정치적이다 → 그는 정치에 매우 밝다 / 그는 정치를 매우 따진


  ‘정치적(政治的)’은 “1. 정치와 관련된 2. 정치의 수법으로 하는”을 뜻한다고 합니다. ‘정치(政治)’는 “나라를 다스리는 일”을 뜻한다고 해요. 이러한 뜻처럼 나라를 다스리는 일을 가리킨다는 ‘정치’라면 그대로 쓸 만하다고 봅니다. 그렇지만 “너는 너무 정치적이다”라든지 “정치적인 발언을 하다” 같은 자리에서는 ‘나라 다스리기’하고 동떨어지기도 합니다. 나라 다스리기하고 동떨어진 자리에서 쓰는 ‘정치·정치적’은 ‘내 한몸 살펴서 내 자리 넓히기’하고 잇닿지 싶습니다. 흔히 일컫는 ‘알랑방귀’처럼 ‘알랑대다’라는 뜻으로 쓰기도 하고, 여러 곳에 줄을 댄다는 뜻으로 쓰기도 하거든요. 2016.3.2.물.ㅅㄴㄹ



정치적 해방만을 바라는 사람들에겐 영혼의 해방을 되새기고

→ 정치 해방만을 바라는 사람들에겐 영혼 해방을 되새기고

→ 정치 사슬에서 풀려나기만을 바라는 사람들한텐 마음이 풀리도록 되새기고

→ 나라가 해방되기를 바라는 사람들한테는 넋부터 해방되도록 되새기고

→ 나라가 좋아지기를 바라는 사람들한테는 마음을 좋게 가꾸라고 되새기고

→ 나라를 바꾸고자 하는 사람들한테는 마음을 바꾸라고 되새기고

《김규항-비급 좌파》(야간비행,2001) 187쪽


정치적으로 옮바른 삶을 살게 하소서

→ 올바르게 살도록 하소서

→ 올바른 길을 걷도록 하소서

→ 올바른 길을 걸어가게 하소서

《에드워드 코렌/강현석 옮김-인생, 별 거 있나요?》(이소출판사,2003) 40쪽


정치적 판단은 별개로 하고 성격만은 그렇다는 것이다

→ 정치 판단은 따로 하고 성격만은 그렇다는 것이다

→ 정치는 어떠하든 마음결만은 그렇다는 말이다

→ 정치는 둘째치고 마음결만은 그렇다는 소리이다

→ 정치를 잘하건 못하건 아무튼 마음만은 그렇다는 말이다

→ 정치야 어떠하든 마음만은 그렇다는 소리이다

《남재희-언론·정치 풍속사》(민음사,2004) 143쪽


정치적 상황이 아무리 불안하다 해도

→ 정치 상황이 아무리 불안하다 해도

→ 정치가 돌아가는 모습이 아무리 술렁거린다 해도

→ 정치가 돌아가는 흐름이 아무리 뒤숭숭하다 해도

→ 정치가 아무리 어지럽다 해도

《오드리 설킬드/허진 옮김-레니 리펜슈탈 : 금지된 열정》(마티,2006) 435쪽


당시는 정치적으로 좀 혼란스러웠거든

→ 그무렵은 정치가 좀 어지러웠거든

→ 그때는 정치가 좀 어수선했거든

《윤희진-고추장 담그는 아버지》(책과함께어린이,2009) 61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적' 없애야 말 된다

 모욕적


 모욕적 주장 → 깔보는 말 / 업신여기는 말 / 깎아내리는 말

 모욕적 발언을 → 깔아뭉개는 말을 / 깔보는 말을

 모욕적 언동으로 → 헐뜯는 말로 / 깔보는 말로

 모욕적으로 받아들이다 → 업신여김으로 받아들이다

 모욕적으로 말하다 → 깎아내리며 말하다 / 깔보며 말하다

 모욕적으로 들렸다면 → 깔보는 말로 들렸다면 / 업신여긴다고 들렸다면


  ‘모욕적(侮辱的)’은 “깔보고 욕되게 하는”을 뜻한다고 합니다. ‘욕(辱)되다’는 “부끄럽고 치욕적이고 불명예스럽다”를 뜻한다 하고, ‘치욕적(恥辱的)’은 “욕되고 수치스러운”을 뜻한다 하며, ‘수치(羞恥)’는 “다른 사람들을 볼 낯이 없거나 스스로 떳떳하지 못함”을 뜻한다고 해요. 한국말사전을 살피면 ‘욕되다·치욕적’은 서로 돌림풀이인 셈입니다. 그래도 이모저모 살피면 ‘모욕적’이라는 한자말은 ‘깔보는’이나 ‘부끄러운’이나 ‘떳떳하지 못한’을 가리키는 자리에 쓰는구나 하고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뜻이나 느낌을 살려서 ‘깔보는’으로 손보면 되고, ‘깎아내리는’이나 ‘업신여기는’이나 ‘헐뜯는’이나 ‘깔아뭉개는’ 같은 말마디로 손볼 수 있습니다. 때로는 ‘부끄러운’이나 ‘창피한’으로 손볼 만합니다. 2016.3.1.불.ㅅㄴㄹ



자신들이 겪은 모욕적인 대우

→ 자신들을 업신여겼던 일

→ 저희들을 깔보던 일

→ 저희들이 겪은 푸대접

→ 저희들이 겪은 창피

→ 저희들이 겪은 끔찍한 일

《하워드 진/유강은 옮김-달리는 기차 위에 중립은 없다》(이후,2002) 58쪽


모욕적인 일이라고

→ 깔보는 일이라고

→ 깎아내리는 일이라고

→ 창피한 일이라고

→ 부끄러운 일이라고

→ 말이 안 되는 일이라고

→ 말이 안 된다고

《자케스 음다/윤철희 옮김-곡쟁이 톨로키》(검둥소,2008) 216쪽


더이상 이 모욕적인 세상에 대해 말하고 싶지 않습니다

→ 더는 이 부끄러운 세상을 놓고 말하고 싶지 않습니다

→ 더는 이 창피한 세상을 말하고 싶지 않습니다

→ 더는 이 창피스러운 세상을 말하고 싶지 않습니다

《송경동-나는 한국인이 아니다》(창비,2016) 73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