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711 | 1712 | 171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알량한 말 바로잡기

 혹자 或者


 혹자는 산짐승의 소행이라 했고 → 누군가는 산짐승 짓이라 했고

 혹자는 말하기를 → 누군가는 말하기를

 혹자도 궁금한 점이 많다 → 아무개도 많이 궁금하다

 혹자에 의하면 → 사람들 말을 들으면 / 아무개 말을 들으면


  ‘혹자(或者)’는 “어떤 사람”을 뜻한다고 합니다. 때로는 ‘혹시(或是)’라는 한자말하고 같은 뜻으로도 쓴답니다. 그러니까, 처음부터 한국말로 ‘아무개’나 ‘누구·누군가(누구인가)’로 쓰면 될 일이면서 ‘어쩌면·설마’로 가다듬으면 됩니다. 때로는 “어떤 사람”이나 “사람들”로 손볼 만합니다. 4348.12.8.불.ㅅㄴㄹ



혹자는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 누구는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

→ 누군가는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

→ 아무개는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

→ 어떤 사람은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

→ 사람들은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

→ 어쩌면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

《이경미-인간 하나 만나고 싶다》(동녘,2002) 56쪽


혹자는 여행지에서 우연히 먹은 절임 음시의 맛에서

→ 누군가는 여행지에서 우연히 먹은 절임 음식 맛에서

→ 누구는 여행하면서 문득 먹은 절임 음식 맛에서

→ 아무개는 여행하다가 가볍게 먹은 절임 음식 맛에서

《시오미 나오키/노경아 옮김-반농반X의 삶》(더숲,2015) 113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극히 極


 극히 어려운 일 → 매우 어려운 일

 극히 당연한 일 → 몹시 마땅한 일

 극히 우수한 학생 → 아주 훌륭한 학생

 확률은 극히 드물다 → 확률은 무척 드물다


  ‘극(極)히’는 “더할 수 없는 정도로”를 뜻한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더없이’나 ‘그지없이’나 ‘가없이’로 손질하면 됩니다. 이러한 뜻을 살펴서 ‘아주·매우·몹시·무척’으로 손질할 수 있습니다. ‘참으로·참말로’를 쓸 만하고, ‘대단히’나 ‘엄청나게’를 넣어도 잘 어울립니다. 4348.12.8.불.ㅅㄴㄹ



극히 친한 몇 명 친구

→ 아주 가까운 몇 친구

→ 매우 가까운 동무 몇

《사기사와 메구무/최원호 옮김-개나리도 꽃 사쿠라도 꽃》(자유포럼,1998) 21쪽


극히 현실적이며 21세기적인 꿈이다

→ 몹시 현실을 살피며 21세기다운 꿈이다

→ 더없이 현실을 보며 21세기다운 꿈이다

《시오미 나오키/노경아 옮김-반농반X의 삶》(더숲,2015) 20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넋·삶 91 눈을 감고, 눈을 뜨다



  눈을 감은 사람이 눈을 뜹니다. 눈을 뜬 사람이 눈을 감습니다. 참으로 쉬우면서 뚜렷한 말입니다. 눈을 감아야 비로소 눈을 뜰 수 있습니다. 눈을 떠야 바야흐로 눈을 감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눈을 감지 않는 사람은 눈을 뜨지 못합니다. 눈에 새까만 어둠을 드리우지 않는다면, 눈이 환하게 뜨이지 않아요. 무슨 말인가 하면, 겉모습을 바라보는 눈을 감아야, 비로소 속마음을 바라보는 눈을 뜹니다. 속마음을 바라보는 눈을 뜨는 사람일 때에, 겉모습에 휘둘리면서 오직 겉만 훑어보는 눈을 감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눈을 감으면서 떠야 합니다. 서로서로 겉치레로 나아가는 눈으로는 삶을 지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서로서로 속마음을 아끼고 보살필 줄 아는 눈이 되어야 삶을 지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눈을 뜨면서 감아야 합니다. 서로서로 사랑을 바라보고 꿈을 마주할 때에 비로소 삶을 짓기 때문입니다. 사랑이나 꿈 앞에서 눈을 감는다면 아무런 삶을 지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몸에 달린 눈’을 감는 삶이 될 때에, 비로소 모든 것을 제대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한테는 일곱 가지 눈이 있기 때문에 ‘몸에 달린 눈(첫째 눈)’을 감아야, 비로소 다른 여섯 가지 눈으로 마음을 바라보면서 읽고, 꿈을 바라보면서 읽으며, 사랑을 바라보면서 읽다가, 아름다움을 바라보면서 읽고, 기쁨을 바라보면서 읽을 줄 알며, 노래를 바라보면서 읽는 숨결로 거듭납니다.


  눈을 떠도 장님인 사람이 많습니다. 겉모습에 얽매이기 때문에 겉모습조차 제대로 못 읽기 일쑤입니다. 겉으로는 웃는 사람이 속으로는 꿍꿍이를 숨긴 줄 읽지 못하는 사람이 대단히 많습니다. ‘눈 뜬 장님’입니다. 이렇게 눈 뜬 장님이라면, 눈을 뜬들 무엇을 볼까요? 눈으로 보는 것 가운데 무엇을 믿거나 알거나 생각할 수 있을까요?


  눈을 감아도 장님이 아닌 사람이 있습니다. 겉모습에 휘둘리지 않기 때문에 ‘눈을 감은 채 겉모습을 아주 또렷이 읽’을 수 있습니다. 겉으로는 우는 사람이 속으로는 웃는 줄 읽을 수 있어요. 이렇게 ‘눈을 감은 빛살’이라면 언제 어디에서나 스스로 모든 것을 이룰 수 있도록 지을 만해요.


  내 눈은 신문이나 텔레비전을 보라고 있는 눈이 아닙니다. 내 눈은 사랑과 꿈으로 나아가는 삶을 보라고 있는 눈입니다. 내 눈은 겉모습이나 몸매나 얼굴을 보라고 있는 눈이 아닙니다. 내 눈은 마음과 생각과 넋을 마주하면서 아름다운 바람처럼 나아가라고 있는 눈입니다.


  눈을 감고 걷는다고 해서 넘어지지 않습니다. 눈을 뜨고 걷는다고 해서 안 넘어지지 않습니다. 눈을 뜨고 잔다고 해서 고단하지 않습니다. 눈을 감고 잔다고 해서 개운하지 않습니다. 눈을 떠야 할 곳에서 뜰 수 있어야 눈이고, 눈을 감아야 할 곳에서 감을 수 있어야 눈입니다. 눈빛은 눈을 감아도 환하게 온누리를 비춥니다. 눈망울은 눈을 감아도 해맑게 별누리를 감쌉니다. 눈길은 눈을 감아도 따사롭게 온별누리를 어루만집니다.


  사람한테 두 눈이 있는 까닭은, 두 눈으로 이승과 저승을 함께 사랑하고, 너와 내가 한마음인 하느님인 줄 바라보면서, 사랑과 꿈을 나란히 마주하여 어깨동무를 해야 삶이 되는 줄 깨달으라는 뜻입니다. 4348.3.12.나무.ㅎㄲㅅㄱ


(최종규/숲노래 . 2015 - 람타 공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저간의


 저간의 소식 → 그동안 소식 / 지난 소식

 저간의 사정을 말하는 효원의 심정 → 지난 일을 말하는 효원네 마음


  한자말 ‘저간(這間)’을 한국말에서 살펴보면 “= 요즈음”처럼 풀이합니다. 곧, 이 한자말은 안 써야 옳다는 뜻입니다. 한국말 ‘요즈음’을 써야 알맞다는 뜻이에요. 여기에, 뜻이 같은 ‘요즈막’이나 ‘요사이’를 알맞게 잘 쓰면 됩니다. 때로는 ‘그동안’이나 ‘지난’이나 ‘이러한’ 같은 말을 넣을 수 있어요. 4348.12.7.달.ㅅㄴㄹ



저간의 사정을 짐작하기에 이른다

→ 그동안 어떠했는지 헤아릴 수 있다

→ 요즘 흐름을 알 수 있다

《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다국적 기업이란 무엇인가》(민중사,1983) 20쪽


저간의 사정을 설명해야

→ 요즈음 이야기를 들려주어야

→ 요즈막 일을 알려주어야

→ 그동안 무슨 일이 있었나 말해야

→ 그동안 있던 일을 얘기해야

→ 그동안 벌어진 일을 들려주어야

《새라 파킨/김재희 옮김-나는 평화를 희망한다》(양문,2002) 58쪽


저간의 사정을 짐작케 했다

→ 그동안 있을 일을 알려준다

→ 이제껏 있던 일을 보여준다

→ 여태까지 숨겨진 모습을 밝혀 준다

→ 여러 이야기를 알려준다

→ 숨겨진 얘기를 들려준다

→ 뒷이야기를 드러낸다

《천종호-아니야, 우리가 미안하다》(우리학교,2013) 202쪽


저간의 사정이 이로써 설명될 수 있을지 모르겠다

→ 이러한 일이 이로써 얘기될 수 있을지 모르겠다

→ 이러한 나날을 이로써 말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황현산-우물에서 하늘 보기》(삼인,2015) 135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162] 모람, 찾사, 사모, 알못



  1980년대에 있던 일인데, 한국말을 지키고 사랑하자는 뜻으로 모인 사람들이 ‘모람’이라는 낱말을 처음으로 지었습니다. 이때까지는 흔히 ‘회원(會員)’이라는 한자말만 쓰였기에, 한국말로도 새롭게 나타내는 말을 찾아보려고 했어요. 모임 대표를 가리키는 이름으로는 ‘모임지기·모임빛’이라든지 ‘으뜸지기·으뜸빛’ 같은 말을 짓기도 했습니다. 이즈음 ‘노찾사’라는 노래모임이 태어났어요. 이 노래모임은 “노래를 찾는 사람들”이라는 이름인데, 간추려서 ‘노찾사’라 했지요. ‘웃찾사’ 는 ‘노찾사’를 흉내낸 이름이고, ‘밥찾사’나 ‘꿈찾사’나 ‘사랑찾사’처럼 쓸 만해요. 그런데, ‘모람’이나 ‘찾사’ 같은 말을 젊은 사람들이 처음 쓸 적에 이런 말짓기를 그무렵 어른들은 못마땅하게 여겼어요. 억지스레 지은 낱말이라고 여겼거든요. 그런데 ‘모람’이나 ‘찾사’를 못마땅하게 여긴 어른들조차 이제는 ‘노사모’나 ‘박사모’처럼 ‘사모’라는 말을 널리 써요. ‘사모’는 “사랑하는 사람들 모임”을 줄인 이름이랍니다. 그래서 ‘춤사모’나 ‘꽃사모’ 같은 말을 재미나게 쓸 만해요. 요즈막에는 ‘알못’이라고 해서 “알지 못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재미난 말이 나타났어요. 이는 모두 준말이에요. 즐겁고 재미난 마음을 북돋우려는 말놀이요 말짓기입니다. 4348.12.7.달.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711 | 1712 | 171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