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흥미 興味


 흥미 위주의 오락물 → 재미 위주 오락물 / 재미만 따지는 오락물

 흥미가 나다 → 재미가 나다 / 신이 나다

 흥미를 더하다 → 재미를 더하다 / 즐거움을 더하다

 흥미를 불러일으키다 → 재미를 불러일으키다 / 즐거움을 불러일으키다

 바둑에 흥미를 붙이다 → 바둑에 재미를 붙이다 / 바둑에 즐거움을 붙이다

 별 흥미를 못 느낀다 → 그리 재미를 못 느낀다 / 그리 즐거움을 못 느낀다

 흥미가 반감되는 → 재미가 줄어드는 / 즐거움이 깎이는


  ‘흥미(興味)’는 “흥을 느끼는 재미”라 하는데, ‘흥(興)’은 “재미나 즐거움을 일어나게 하는 감정”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흥’은 ‘재미’나 ‘즐거움’으로 이어진다는 뜻이요, ‘흥미 = 재미를 느끼는 재미’인 셈이 됩니다. 이러한 느낌을 가리키는 다른 한국말로 ‘신’이 있고, 한국말사전은 “어떤 일에 흥미나 열성이 생겨 매우 좋아진 기분”으로 풀이합니다. 이렇게 되면, 한국말 ‘신’과 ‘재미’는 뜻이 같고 말아, 저마다 어느 자리에 어떻게 써야 알맞은가를 도무지 알기 어렵습니다. 한국말사전은 한국말 ‘신’하고 ‘재미’를 어떻게 달리 쓰는가를 제대로 밝힐 수 있어야지 싶습니다. 아무튼 ‘재미·즐거움·기쁨·신’을 알맞게 쓰면 넉넉합니다. 2016.3.9.물.ㅅㄴㄹ



아이들이 무언가에 흥미를 느끼고 집중하고

→ 아이들이 무언가에 재미를 느끼고 마음을 쏟고

→ 아이들이 무언가에 즐거움을 느끼고 힘을 쏟고

《한미화-아이를 읽는다는 것》(어크로스,2014) 53쪽


농부가 비슷한 노동요로 바뀌는 것이 흥미롭다

→ 농부가 비슷한 일노래로 바뀌는 대목이 재미있다

→ 농부가 비슷한 일노래로 바뀌는 대목이 눈에 띈다

→ 농부가 비슷한 일노래로 바뀌는 대목이 돋보인다

《황현산-우물에서 하늘 보기》(삼인,2015) 55쪽


이것은 흥미로운 점이었다

→ 이것은 재미있는 점이었다

→ 이는 눈길을 끄는 대목이었다

→ 이는 재미있었다

《대프니 밀러/이현정 옮김-땅이 의사에게 가르쳐 준 것》(시금치,2015) 109쪽


그 이틀은 흥미로웠다

→ 그 이틀은 재미있었다

→ 그 이틀은 재미났다

→ 그 이틀은 신났다

《배리 존스버그/정철우 옮김-내 인생의 알파벳》(분홍고래,2015) 119쪽


민담은 이야기가 재미있고 흥미가 있어야

→ 민담은 줄거리가 재미있어야

→ 민담은 재미있고 눈길을 끌어야

→ 민담은 재미있어야

→ 민담은 재미있고 신이 나야

《정숙영·조선영-10대와 통하는 옛이야기》(철수와영희,2015) 151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차이 差異


 성격 차이 때문에 →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 성격이 달라서

 능력에 차이가 있다 → 재주가 다르다 / 솜씨가 벌어지다

 차이가 나다 → 다르다 / 벌어지다

 견해 차이가 크다 → 생각이 크게 다르다 / 생각이 크게 벌어지다

 큰 차이가 없었다 → 크게 다르지 않았다 / 크게 벌어지지 않았다

 서로의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 서로 다른 문화를 이겨내고

 세대의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다

→ 벌어진 나이대를 넘어서지 못하다

→ 다른 나이대를 딛고 서지 못하다


  ‘차이(差異)’는 “서로 같지 아니하고 다름”을 뜻한다고 합니다. 한국말 ‘다르다’는 “비교가 되는 두 대상이 서로 같지 아니하다”를 뜻한다고 해요. 그리고, 한국말 ‘같다’는 “서로 다르지 않고 하나이다”를 뜻한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다르다 = 같지 않다’인 셈이고, ‘같다 = 다르지 않다’인 셈이라고 풀이하는 한국말사전입니다. 이리하여 한자말 ‘차이’를 “같지 아니하고 다름”으로 풀이하면 똑같은 말을 잇달아 적은 겹말풀이인 셈이지요. 2016.3.8.불.ㅅㄴㄹ



집계와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 집계와 크게 다르다

→ 집계와 크게 벌어진다

《송건호-현실과 이상》(정우사,1979) 259쪽


일본에서 태어난 한국인 사이에 존재하는 그런 차이는

→ 일본에서 태어난 한국사람이 서로 다른 모습은

→ 일본에서 태어난 한국사람이 다른 모습은

《사기사와 메구무/김석희 옮김-그대는 이 나라를 사랑하는가》(자유포럼,1999) 154쪽


하늘과 땅 차이다

→ 하늘과 땅처럼 다르다

→ 하늘과 땅처럼 벌어진다

《신숙옥-재일조선인의 가슴속》(십년후,2003) 36쪽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 고장에 따라 다르다

→ 고장에 따라 다른 모습이다

→ 고장에 따라 같지 않다

《한새암·최병두·조희범·박원석·문틈-전라도 우리 탯말》(소금나무,2006) 10쪽


흔히 생각하는 남녀 간의 사랑과는 좀 차이가 있습니다

→ 흔히 생각하는 남녀 사이 사랑과는 좀 다릅니다

→ 흔히 생각하는 남녀 사이 사랑과는 좀 벌어집니다

《정숙영·조선영-10대와 통하는 옛이야기》(철수와영희,2015) 137쪽


차이점을 좀더 확실히 설명해 보자

→ 다른 점을 좀더 뚜렷이 얘기해 보자

→ 다른 대목을 좀더 똑똑히 말해 보자

→ 다른 곳을 좀더 또렷이 밝혀 보자

《앤드류 포터/노시내 옮김-진정성이라는 거짓말》(마티,2016) 247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항시 恒時


 항시의 습관 → 한결같은 버릇

 그는 항시 허풍을 떤다 → 그는 늘 허풍을 떤다

 그는 항시 지각이다 → 그는 언제나 늦는다

 항시 깔끔한 차림을 하고 있다 → 노상 깔끔한 차림을 한다


  ‘항시(恒時)’ 뜻풀이를 살피면 “= 상시(常時)”로 나오고, ‘상시’는 “똑같은 상태로 언제나”를 뜻한다고 나와요. 그러니까 ‘항시 = 상시 = 언제나’인 셈이요, 한국말 ‘언제나’를 쓰면 될 노릇입니다. 이밖에 ‘늘’이나 ‘노상’이나 ‘한결같이’를 쓸 수 있고, ‘으레’를 써 볼 수 있습니다. 2016.3.8.불.ㅅㄴㄹ



흰부리딱따구리 가족을 항시 마음에 품었던 그들은

→ 흰부리딱따구리 식구를 늘 마음에 품었던 그들은

→ 흰부리딱따구리 집안을 노상 마음에 품었던 그들은

《필립 후즈/김명남 옮김-사라진 숲의 왕을 찾아서》(돌베개,2015) 124쪽


경영은 항시 상대 평가다

→ 경영은 늘 상대 평가다

→ 경영은 언제나 상대 평가다

《이즈미다 료스케/이수형 옮김-구글은 왜 자동차를 만드는가》(미래의창,2015) 128쪽


죄수 입장에서는 항시 감시당한다고 상정하고 행동을 조정하는 수밖에 없다

→ 죄수 자리에서는 늘 감시받는다고 여기고 몸짓을 맞추는 수밖에 없다

→ 죄수로서는 언제나 감시받는다고 생각하고 몸짓을 추스를 수밖에 없다

《앤드류 포터/노시내 옮김-진정성이라는 거짓말》(마티,2016) 186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215] 미리보기



  어떤 일을 하거나 어떤 책을 읽거나 어떤 영화를 보기 앞서, 언제나 ‘미리보기’를 할 수 있어요. 영화에서는 ‘예고편’이라고도 흔히 말하지만, 극장에 영화를 걸기 앞서 사람들한테 미리 ‘맛보기’로 선보이는 일은 ‘미리보기’예요. ‘맛보기’도 ‘미리보기’하고 같은 셈이에요. 그런데, 남보다 먼저 보고 싶어서 ‘먼저보기’를 할 수 있어요. 남보다 먼저 들어가거나 하려고 앞지른다면, 이때에는 ‘새치기’나 ‘옆치기’나 ‘가로채기’가 되어요. 다른 사람 자리를 빼앗으니까요. 사이에 끼어들거나 옆에서 슬그머니 가로채려 할 적에는 ‘내가 먼저’ 하겠다는 마음입니다. 이와 달리 너랑 내가 함께 하려는 마음이라면 ‘다 함께 미리보기’를 하거나 ‘서로서로 미리하기’를 하지요. ‘먼저’랑 ‘미리’는 거의 같은 자리를 가리킨다고 할 만하지만, 쓰임새는 이처럼 갈려요. ‘미리보기’를 하듯이 ‘미리읽기’나 ‘미리듣기’나 ‘미리먹기’나 ‘미리자기’나 ‘미리눕기’나 ‘미리가기’를 할 수 있어요. 앞으로 자야 할 잠을 미리 자니까 ‘미리자기’이고 ‘미리잠’이에요. 앞으로 먹을 밥을 머리 먹으니까 ‘미리먹기’이며 ‘미리밥’이에요. “미리 해서 나쁠 일이 없다”는 옛말이 있는데, 나중에 서두르지 말고 먼저 손을 알맞게 써서 챙기거나 건사하자는 뜻입니다. 4349.2.1.달.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214] 리본, 댕기



  옛날에는 가시내뿐 아니라 사내도 머리카락을 땋아서 ‘댕기’를 달았어요. 댕기라고 하는 끈은 가시내만 쓰지 않았어요. 옛날에는 누구나 머리카락을 그대로 두었기에, 가시내도 사내도 머리카락을 땋을 줄 알았고, ‘머리땋기’는 ‘실닿기’라든지 ‘짚땋기’로도 이어져요. 머리카락을 손수 땋듯이 바구니나 소쿠리나 돗자리를 어른뿐 아니라 어린이도 넉넉히 짤 수 있던 살림이에요. ‘댕기’는 머리 끝을 여밀 뿐 아니라 곱게 꾸미는 구실을 하는 헝겊이나 끈을 가리켜요. 영어 ‘리본’도 으레 이런 구실을 하지요. 다만, 영어 ‘리본’은 리듬체조라고 하는 데에서도 말하고, 띠처럼 생긴 것을 가리키는 데에서도 써요. 그래서 리듬체조에서는 ‘끈’이나 ‘긴끈’이나 ‘긴띠’나 ‘막대띠’ 같은 이름을 쓸 수 있고, 여느 자리에서는 ‘댕기·끈·띠’를 알맞게 살펴서 갈무리할 만합니다. 영어이든 한국말이든 온누리 어떤 말이든, 스스로 잘 살려서 써야 쓰임새를 넓히고 새로운 뜻이나 느낌이 깃들어요. 다른 나라에서 들어온 것이나 문화라고 해서 반드시 영어로만 써야 하지 않는 줄 깨달을 수 있기를 빌어요. 4349.1.31.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