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화학비료



 화학비료를 저감하는 대책을 수립하고자 → 죽음거름을 줄이는 길을 세우고자

 화학비료의 사용을 최소화하려는 움직임으로 → 죽음재를 줄이려고

 무분별한 화학비료의 사용에 제동을 건다 → 마구 쓰던 죽음거름을 멈춘다


화학비료(化學肥料) : [농업]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만든 인공 비료. 질소질 비료, 인산 비료, 칼륨 비료, 복합 비료 따위가 있다 ≒ 인조비료



  논밭에 뿌리는 거름은 두 갈래입니다. 하나는 똥오줌을 삭여서 내는 ‘살림거름’이요, 다른 하나는 따로 찍어내는 ‘죽음거름’입니다. 이른바 한자말로 ‘화학비료’라는 이름을 붙이기는 하지만, 곰곰이 보면 땅도 푸성귀도 낟알도 ‘죽이는’ 길로 간다고 여길 만합니다. 그래서 ‘죽음재’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ㅅㄴㄹ



근대농법은 숲을 베어없애고 대지의 생명력을 끊고 대신 화학비료를 주어 작물을 기르고 있습니다

→ 오늘날은 숲을 베어없애고 땅심을 끊고는 죽음재를 부어서 남새를 기릅니다

→ 요즘은 숲을 베어없애고 땅숨을 끊고는 죽음거름을 부어서 푸성귀를 기릅니다

《흙 1》(혼죠 케이/성지영 옮김, 또래문화, 1997) 133쪽


품종개량한 씨는 원칙적으로 농약과 화학비료를 써야만 잘 자라도록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 씨를 바꾸면 워낙 풀잡이물과 죽음거름을 써야만 잘 자라기 때문에

→ 씨손질을 하면 으레 풀죽음물과 죽음재를 써야만 잘 자라기 때문에

《맛의 달인 101》(테츠 카리야·하나사키 아키라/김미정 옮김, 대원씨아이, 2008) 188쪽


화학비료나 농약을 대량으로 살포해 효율을 중시하고, 규모를 확대하는 논리로 수확량을 늘리는 공업화된 농업

→ 죽음거름이나 죽임물을 잔뜩 뿌려 일손을 줄이고 땅을 넓혀서 많이 거두려는 논밭살림

《음식 좌파 음식 우파》(하야미즈 켄로/이수형 옮김, 오월의봄, 2015) 95쪽


이해타산으로 화학비료와 농약을 함부로 뿌려 땅을 혹사하고 오염시키고

→ 돈셈으로 죽음거름과 죽음물을 함부로 뿌려 땅을 괴롭히고 더럽히고

→ 돈만 밝혀 죽음재와 죽음가루를 함부로 뿌려 땅을 들볶고 망가뜨리고

《글쓰기, 이 좋은 공부》(이오덕, 양철북, 2017) 4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누수 漏水


 누수 방지를 위하여 → 새지 않도록

 누수를 탐지하였다 → 새는 줄 느꼈다

 누수가 적지 않다 → 적잖이 샜다


  ‘누수(漏水)’는 “1. 물이 샘. 또는 새어 나오는 물 2. 물시계에서 떨어지는 물”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물새다·새다’나 ‘빠지다·빠져나가다·빠져나오다’로 고쳐씁니다. ‘사라지다·스러지다·없어지다’나 ‘떨어지다·떨구다·떨어뜨리다·떨어트리다’로 고쳐쓸 만하고, ‘잃다·잃어버리다’나 ‘힘빠지다·힘잃다·힘풀리다’나 ‘기운잃다·기운빠지다·기운풀리다’로 고쳐쓸 수 있습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누수’를 넷 더 싣지만 다 털어냅니다. ㅅㄴㄹ



누수(婁宿) : [천문] 이십팔수(二十八宿)의 열여섯째 별자리에 있는 별들 = 누성

누수(淚水) : 눈알 바깥면의 위에 있는 눈물샘에서 나오는 분비물 = 눈물

누수(累囚) : 1. 옥에 갇힘. 또는 그런 사람 2. [법률] 전에 죄를 지어서 형벌을 받은 일이 있는 범인 = 전과범

누수(壘手) : [체육] 야구에서, 각 베이스를 지키는 선수



그동안 밀고 당기느라 전력누수가

→ 그동안 밀고 당기느라 힘빠져서

→ 그동안 밀고 당기느라 힘잃어서

《인월 4》(김혜린, 대원씨아이, 2018) 26쪽


누수예요! 얼른 뭔가 물 받을 걸 가져와야 하는데

→ 물새요! 얼른 뭔가 물받이를 가져와야 하는데

《꼬마곰의 케이크 가게 2》(카멘토츠/박정원 옮김, 디앤씨미디어, 2019) 23쪽


이게 그 누수인가

→ 이렇게 물이 새나

→ 물샘이 이런가

《80세 마리코 15》(오자와 유키/이은주 옮김, 대원씨아이, 2021) 15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작물 作物


 식량 작물 → 먹을거리

 작물을 수확하다 → 남새를 거두다

 작물을 재배하다 → 푸성귀를 기르다

 이 지역의 주요 작물은 고추이다 → 이 고장은 고추를 널리 기른다

 우박 때문에 작물 피해가 컸다 → 누리 때문에 남새가 많이 다쳤다


  ‘작물(作物)’은 “논밭에 심어 가꾸는 곡식이나 채소 = 농작물”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남새·푸성귀’나 ‘논밭살림·들살림·들꽃살림’으로 손봅니다. ‘열매’나 ‘가꾸다·기르다·심다·키우다·거두다’로 손볼 수 있습니다. ㅅㄴㄹ



환금작물이다 해서 손을 댔다가 손해 보는 경우는 이 고장 역시 심한 것 같다

→ 돈남새다 해서 손을 댔다가 말아먹는 일은 이 고장도 큰 듯하다

→ 돈나물이다 해서 손을 댔다가 잃는 일은 이 고장도 크구나 싶다

《민요기행》(신경림, 한길사, 1985) 123쪽


근대농법은 숲을 베어없애고 대지의 생명력을 끊고 대신 화학비료를 주어 작물을 기르고 있습니다

→ 오늘날은 숲을 베어없애고 땅심을 끊고는 죽음재를 부어서 남새를 기릅니다

→ 요즘은 숲을 베어없애고 땅숨을 끊고는 죽음거름을 부어서 푸성귀를 기릅니다

《흙 1》(혼죠 케이/성지영 옮김, 또래문화, 1997) 133쪽


생활의 빈곤이 토양과 작물을 한층 더 약하게 하는 것이다

→ 가난하기에 흙하고 남새가 한결 더 힘을 잃는다

→ 가난한 탓에 흙이며 풀이 한결 더 흐물거린다

《소농》(쓰노 유킨도/성삼경 옮김, 녹색평론사, 2003) 106쪽


오늘날은 돈이 되는 작물 위주로 단일 작물을 대량 재배한단다

→ 오늘날은 돈이 되는 남새 한 가지만 잔뜩 심는단다

→ 오늘날은 돈이 되는 열매 하나만 한가득 키운단다

《10대와 통하는 환경과 생태 이야기》(최원형, 철수와영희, 2015) 78쪽


상추 같은 작물을 텃밭에

→ 상추 같은 남새를 텃밭에

《한국이 싫어서》(장강명, 민음사, 2015) 15쪽


작물이 어릴 때나 풀에 질 것 같을 때는 작물 주위 풀을 벤다

→ 남새가 어릴 때나 풀한테 질 듯하면 남새 둘레 풀을 벤다

→ 푸성귀가 어리거나 풀한테 질 듯하면 푸성귀 둘레를 벤다

《가와구치 요시카즈의 자연농 교실》(아라이 요시미·가가미야마 에츠코/최성현 옮김, 정신세계사, 2017) 35쪽


대마는 1년생 작물이다

→ 삼은 한해살이풀이다

《대마와 대마초》(노의현, 소동, 2021) 17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앱app



앱(app) : [정보·통신]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따위의 운영 체제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개발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 애플리케이션

app : application

application : 1. 지원[신청](서) 2. 적용, 응용 3. (페인트·크림 등을) 바르기, 도포 4. (법의) 적용 5. 응용 프로그램 6. 전심전력

アプリ(application software) : ‘アプリケ-ション(ソフト)’의 준말: 앱(app), 애플



사람들이 손전화를 널리 쓰면서 따로 이 손전화에서만 쓸 말씨를 빚기도 합니다. 그런데 영어로 이름을 붙이는 이웃나라에서는 제 나라에서 으레 쓰는 말씨를 알맞게 줄여서 씁니다. 이때에 우리는 우리 나름대로 우리가 으레 쓰는 말씨를 살피기보다는, 그냥 영어나 일본말을 들여오기 일쑤입니다. ‘풀그림’이나 ‘무른모’를 손전화에 얹을 적에는 똑같이 ‘풀그림’이나 ‘무른모’을 쓸 만합니다. 단출히 줄인다면 ‘모’나 ‘꽃’이라 할 만합니다. 모서리나 모퉁이를 가리키는 ‘모’요, 세모나 네모에 깃드는 ‘모’이며, 나락을 논에 심을 적에 ‘모’를 냅니다. 우리가 입는 옷을 짜는 실을 얻는 풀인 ‘모시’도 ‘모’라는 낱말이 밑동입니다. 손전화에 알록달록 다른 무늬로 박히는 무른모는 ‘꽃’을 닮았으니, ‘꽃’이라는 낱말로 가리켜도 어울립니다. ‘무른꽃’처럼 이름을 붙여도 될 테고요. ㅅㄴㄹ



지도 앱의 초록색 선이 나에게 분명하고도 확실히 말하고 있었다

→ 길그림꽃 푸른금이 나한테 또렷하게 말한다

→ 길그림 풀그림 푸른줄이 나한테 똑똑히 말한다

《자전거를 타면 앞으로 간다》(강민영, 자기만의방, 2022) 2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926 : 번째 여정의 방식


첫 번째 여정의 방식은 걷기입니다

→ 첫길은 걷기입니다

→ 처음은 걷기입니다

→ 처음에는 걷습니다

《구석구석 부산》(강동진, 비온후, 2023) 34쪽


‘번째’가 겹말인 줄 모르는 분이 퍽 많습니다만, ‘-째’ 하나만 쓸 일입니다. ‘첫째’요 ‘둘째’에 ‘막째’입니다. “첫 번째 여정의 방식”은 여러 가지 겹말이 섞였습니다. ‘첫·첫째’라고 할 적에는 이미 어떤 ‘길’인지 밝힌다고 할 만해요. 이 보기글이라면 ‘처음’이나 ‘첫째’라고만 적으면 되고, ‘첫길’처럼 손볼 수 있습니다. ‘걷기·걷다’라고 할 적에는 ‘다니다’라는 뜻이니 ‘여정’이라는 한자말은 군더더기요, ‘길(방식)’이란 말씨하고 겹칩니다. ㅅㄴㄹ


번(番) : 1. 일의 차례를 나타내는 말 2. 일의 횟수를 세는 단위 3. 어떤 범주에 속한 사람이나 사물의 차례를 나타내는 단위

여정(旅程) : 여행의 과정이나 일정 ≒ 객정(客程)

방식(方式) : 일정한 방법이나 형식 ≒ 법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