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좀 생각합시다 65


 끝없는 말


  배우는 길에 끝이 없습니다. 끝이 있다면 누구나 꼭 한 걸음을 배운 뒤 더 배울 까닭이 없어요. 한 번 읽어서 다 외우거나 익힌다면 굳이 더 배우지 않겠지요. 그런데 잔나비가 나무에서 떨어진다는 옛말이 있습니다. 아침저녁으로 날마다 지어서 먹는 밥은 늘 밥물이 살짝살짝 다르면서 밥맛도 언제나 새로워 죽는 날까지 물리지 않고 누릴 수 있습니다.


  아름답다고 여기는 글이기에 열 스물 온 즈믄 골 잘 …… 끝없이 되읽습니다. 아름답다고 여기는 글은 되읽을 적마다 새롭게 살아나면서 우리 마음자리를 촉촉히 적시거나 포근히 감쌉니다.


  삶도 사랑도 말도 글도 끝이 없습니다. 밥도 길도 꿈도 생각도 끝이 없어요. 그러면 우리는 책을 읽거나 새말을 익힐 적에 얼마나 마음을 기울이려나요? 책을 한 번 스윽 읽었으니 몇 쪽 몇 줄에 어떤 줄거리가 흐르는가 다 외울까요? 토씨 하나 안 틀리면서 다 외우더라도, 줄거리에 깃든 이야기를 모조리 헤아릴까요?


  ‘무궁무진’이라는 중국 한자말이 있습니다. 중국 한자말이니 이 말을 지은 중국이라는 삶터에 걸맞게 태어난 이야기가 서립니다. 이를 한국말로 옮기면 ‘끝없다’나 ‘가없다’가 될 텐데, ‘끝없다’나 ‘가없다’는 이 오랜 낱말을 먼먼 옛날부터 쓰던 한겨레 삶이 고스란히 묻어나면서 새로운 이야기가 도사립니다.


  전문말이 전문말이 되는 까닭은 쉬워요. 꾸준히 쓰고 자꾸 써서 몸이며 마음에 깊이 배거든요. 낯선 말이 그저 낯설어 잘 안 쓰는 까닭도 쉽습니다. 낯설다는 핑계로 자꾸 안 쓰고 다시 안 쓰니 노상 낯설어 입이며 몸이며 삶에 안 붙습니다.


  아는 사람끼리 쓰는 말도 아는 사람 삶에 녹아들어서 쉽고 익숙해요. 그러면 이웃하고 동무를 넓혀 누구나 즐겁게 쓸 말을 헤아리려 한다면 어떤 말을 써야 좋을까요? 몇몇한테만 낯익은 말이 아닌, 몇몇이 오래 쓴 말이 아닌, 나이나 배움끈 같은 틀을 넘어서면서 모두한테 쉽고 부드러우면서 따사로운 말을 다룰 줄 알아야 할 테지요. 끝없는 말이 가없이 흘러 티없는 마음이 되고, 거짓없는 사랑으로 자라니, 말없이 즐거운 새말, 함께 쓰며 서로 기쁜 숨결이 됩니다. 2018.6.21.나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 좀 생각합시다 64


 멋터


  나들이를 다니면서 몇몇 ‘스팟(spot)’을 찍자면 바쁘기만 하면서 외려 재미없다고 하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스팟’이 무엇을 가리키는 영어일까 하고 한참 생각해 보니 아무래도 “멋진 자리”이지 싶습니다. 우리 삶터를 돌아보면 멀리 나들이를 다니는 일을 놓고 ‘나들이·마실’ 같은 낱말을 써 볼 수 있지만, 한자말로 ‘여행’을 쓰는 분이 퍽 많아요. 일본마실이나 미국마실처럼 써 볼 만하지만 일본여행이나 미국여행이라고 해야, 뭔가 이웃나라를 다녀왔다고 여기기도 합니다.


  가만히 헤아리면, 배우러 다른 고장이나 나라를 다녀오는 길을 배움마실이라 할 만합니다. 굳이 유학이라 하지 않아도 되어요. 누구나 어디에서나 배운다는 삶을 헤아리면 배움길 같은 낱말도 배움마실하고 나란히 쓸 수 있어요.


  그나저나 마실을 다니면서 멋진 자리를 콕콕 찍기보다는 어느 마을에 오래 머물면서 차분히 돌아볼 적에 한결 느긋하고 즐겁다고들 이야기합니다. 그래서 멋진 자리를 가리키는 이름을 생각해 보고 싶습니다. 맛있는 집을 두고 ‘맛집’이라 한다면, 맛집이 모인 곳은 ‘맛마을’이나 ‘맛고을’이나 ‘맛터’라 할 만해요. 멋있는 곳을 찾아가려는 길이라면 ‘멋터’나 ‘멋자리’를 누리고 싶다 할 수 있어요.


  길이 멋지면 ‘멋길’입니다. 골목이 멋지면 ‘멋골목’입니다. 멋집, 멋마을, 멋숲, 멋바다, 멋들, 멋나라, 멋밤, 멋하늘, 멋구름, 멋햇살 …… 멋있구나 싶은 여러 가지를 마주하면서 수수하게 ‘멋-’을 앞에 붙입니다. 때로는 ‘-멋’을 뒤에 붙이면서 마실멋, 배움멋, 말멋, 옷멋, 길멋, 책멋, 그림멋, 글멋, 골목멋, 나라멋, 집멋 …… 갖은 멋을 누리거나 나눌 만해요.


  서로 멋을 찾으면서 멋동무가 되겠지요. 맛있는 밥을 함께 찾아나서는 동무라면 맛동무가 될 테고요. 멋벗이나 맛벗이라 할 수 있고, 멋님이나 맛님 같은 말도 재미있습니다.


  멋지게 걸어 볼까요? 멋걸음입니다. 멋지게 지어 볼까요? 멋손입니다. 멋을 알아보는 눈이 좋군요. 멋눈이네요. 귀여겨들을 줄 알아 멋귀요, 서로서로 마음을 넉넉히 읽고 보듬기에 멋넋입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 좀 생각합시다 63


 바로잡지 않는다


  말을 말답게 쓰는 길은 ‘바로잡기’가 아닙니다. ‘바로쓰기’가 아니지요. 그러나 한국은 사회나 문화나 정치나 교육 모두 제대로 선 적이 없어요. 옛날에는 봉건 신분 계급이 춤추었고, 일제강점기에 제국주의 군홧발에 짓눌렸는데, 해방 뒤에 오래도록 독재에 시달렸습니다. 이러다 보니 한국말은 한동안 바로쓰기라는 길을 가야 했어요. ‘바로배우기’라든지 ‘바로세우기’를 해야 했거든요. 역사도 정치도 경제나 문학도 사회도 바로세우면서 바로배우는 길을 가야 했으니 말도 마땅히 바로쓰기라는 길을 가야 했습니다.


  오늘날 한국 사회는 아직 바로서지 않았습니다. 다만 바로서려는 길로 가지요. 그래서 한국말을 익히는 길에서도 아직은 바로쓰기도 해야 하는데요, 앞으로는 바로쓰기를 넘어서 살려쓰기로 거듭나야지 싶습니다.


  살려쓰기란 삶을 북돋우거나 살림을 짓는 길하고 맞물립니다. 남이 시키는 대로 곧이곧대로 따르는 삶이 아닌, 우리가 손수 짓는 삶이면서, 말도 우리 스스로 새롭게 배우면서 북돋울 줄 알아야지 싶어요. 밥살림, 옷살림, 집살림을 손수 짓는 길을 즐겁게 배우면서 말살림하고 글살림도 손수 짓는 기쁜 길을 함께 배울 일이에요.


  아이는 어른 곁에서 말이며 삶이며 넋이며 가만히 지켜보면서 배웁니다. 아이는 흉내를 내지 않아요. 아이는 배우면서 자라요. 그렇다면 아이한테 몸이며 삶으로 배움거울이 되는 어른은 어떻게 삶을 지어야 좋을까요? 어른이어도, 이를테면 대학교까지 마친 어른이어도, 꾸준히 말을 새로 배우는 몸짓이어야 합니다. 생각을 살찌우는 이야기를 듣고, 마음을 키우는 책을 읽으며, 보금자리를 가꾸는 손길을 나누어야겠지요.


  말이 샘솟는 곳은 언제나 우리 삶자리입니다. 날마다 아침을 맞이하고 밤을 마무르는 보금자리에서 즐겁게 말이 오가면서 이야기가 피어납니다. 여느 삶자리를 돌보면서 가장 자주 쓰고 언제나 우리 생각을 펴는 실마리인 ‘쉽고 수수한 말’을 제대로 배우고 제대로 써야 즐겁고 아름다우며 상냥합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 좀 생각합시다 62


 세계화 시대에 쓰는 말


  흔히 세계화 시대라고 합니다. ‘세계화’ 같은 말을 흔히 쓴 지 스무 해쯤 되지 싶은데, 지난날에는 ‘지구마을(지구촌)’이나 ‘지구별’ 같은 말을 썼어요. 모두 똑같은 곳을 가리키는 이름입니다만, 보는 눈은 달라요. 세계화라 할 적에는 한국이라는 작은 나라에서 벗어나 세계 표준을 살피려는 눈이 되고, 지구마을이나 지구별이라 할 적에는 큰 나라도 작은 나라도 없이 모두 어깨동무하면서 사이좋은 터전을 살피려는 눈이 됩니다.


  세계화를 말할 적에는 한국말을 한국말답게 가꾸며 쓰는 길보다는 영어이든 일본 한자말이든 번역 말씨이든 대수롭지 않되, 현대문명을 더 빠르고 널리 받아들이도록 영어를 북돋우자는 흐름하고 맞닿습니다. 지구마을하고 지구별을 말할 적에는 나라나 겨레뿐 아니라 고장이나 마을마다 다 다른 터전을 고이 여기면서 서로 아낄 줄 아는 마음이 되어 다 다른 아름다움을 즐겁게 찾으면서 손을 맞잡자는 흐름으로 이어갑니다.


  우리는 영어를 꼭 배워야 하지 않습니다만, 굳이 안 배워야 할 까닭도 없습니다. 다만 즐겁게 배워서 즐겁게 쓰는 마음이어야지 싶어요. 그리고 영어를 배우든 안 배우든 반드시 제대로 슬기로이 배울 말이 있어요. 바로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한국말을 제대로 슬기로이 배워야 합니다.


  남북녘만으로도 칠천만을 웃도는 대단히 많은 사람이 한국말을 쓰는데, 한국사람으로서 한국말 뼈대나 틀이나 결을 제대로 모른다면, 우리 생각을 한국말로 제대로 못 담는다는 뜻이요, 이때에는 영어를 아무리 잘해도 어떤 생각을 어떻게 펼쳐야 즐거운가하고 멀어져요. 제 말, 제 고장말, 제 나라말, 제 삶말, 제 마음이며 생각을 담는 말을 슬기로이 쓰는 매무새일 적에, 이웃말 영어나 일본말이나 중국말이 한국말하고 어떻게 다르면서 알맞게 뜻을 펴면 되는가를 똑똑히 배웁니다.


  말부터 배워야 철학이나 역사나 문학이나 과학이나 경제나 정치를 합니다. 말을 안 배우거나 엉성히 배우면 어떤 배움길을 갈까요? 우리는 아직 한국말을 한국말답게 가르치거나 배우지 못한 채 세계화 바람에 마냥 휩쓸렸습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 좀 생각합시다 61


 시대 반영 언어


  사회에서는 으레 “언어는 시대를 반영한다”고 이야기합니다. 학교에서도 이처럼 가르치곤 해요. 그러면 생각해 볼 노릇입니다. ‘언어·시대·반영’이란 무엇일까요? 한자말 ‘언어 = 말’이요, ‘시대 = 때’이며, ‘반영 = 담다’입니다. “말은 때를 담는다”는 소리인데, 이는 “말은 우리가 살아가는 나날을 담는다”이면서 “말은 우리 살림살이를 고스란히 담는다”이기도 합니다.


  사회하고 학교에서는 “언어는 사회성하고 역사성을 지닌다”고도 이야기합니다. 한자말로 한꺼풀 뒤집어씌운 이 이야기를 풀어내면 “말은 사람들 사이에서 흐르면서 나거나 죽는다”는 뜻이에요. 사람들이 말을 새로 짓기도 하지만, 사람들이 어느 말을 더는 안 쓰기도 하며, 어느 말을 새로 받아들이거나 가꾸기도 한다는 뜻이지요.


  어떤 말을 골라서 쓰느냐를 살필 수 있어야지 싶습니다. 우리는 학문이라는 이름을 붙이면서 쉬운 이야기를 어렵거나 낯설거나 흐릿하게 하지는 않나 하고 돌아보아야지 싶어요. 그리고 말이란 무엇인가를 놓고 처음부터 모두 새롭게 바라보고 얘기하면서 배울 줄 알아야지 싶습니다.


  모든 말은 우리 살림자리에서 태어납니다. 지난날에는 사람들 스스로 살림을 지으면서 모든 말을 사람들 누구나 손수 지었어요. 그래서 고장마다 사투리가 달랐고, 나라나 겨레마다 사투리가 있었지요. ‘나라 사투리 = 다른 나라 말 = 외국말’입니다. 이 얼거리를 읽는다면, 이웃나라에서 우리하고 다르게 쓰는 말은 이웃나라가 우리하고 다르게 짓는 살림을 고스란히 담는 줄 깨달을 만해요. 전라말하고 경상말이 다른 대목은 전라도 삶자리하고 경상도 삶자리가 다른 결을 고스란히 담아요. 제주말은 제주 삶자리나 살림살이를 담지요.


  오늘날 우리는 서울하고 시골이 엇비슷합니다. 나라 어디를 가도 서울 표준말을 쓰고, 학교에서는 서울 표준말 교과서로 가르쳐요. 공공기관도 서울 표준말을 쓰지요. 그래서 오늘 우리 삶터는 사람들 스스로 새로 짓는 말이 아닌, 사회에서 시사상식·지식을 외우는 틀에 갇힙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