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좀 생각합시다 30


 주먹질


  거칠게 일삼는 짓을 한자말로 ‘폭력’이라고 합니다. 어느 한 나라가 전쟁무기를 앞세워 쳐들어가는 짓은 ‘국가폭력’이라 하고, 학교에서 아이를 괴롭히는 짓은 ‘학교폭력’이라 하며, 싫다는 사람을 추근거리거나 마구 다루어 몸을 괴롭히는 짓은 ‘성폭력’이라 하고, 말로 못살게 굴 적에 ‘언어폭력’이라 합니다.


  ‘폭력’은 거칠거나 사나운 짓을 가리킵니다. 우리 터전이 아름답지 못한 길로 흐른다면 자꾸 새로운 폭력이 불거질 테지요. 그렇다면 이 슬프도록 안타까운 거칠거나 사나운 짓을 예전에는 어떤 말로 가리켰을까요? 또 앞으로 우리는 어떤 이름으로 가리킬 수 있을까요?


  먼저 여느 폭력이란 ‘주먹질·발길질’이곤 합니다. 주먹으로 때리고 발로 걷어찬다면 ‘주먹발질·발주먹질’이겠지요. 나라가 일삼는 주먹질이라면 ‘막 + 짓·질’ 얼거리로 ‘나라막짓·나라막질’이라 해 볼 수 있습니다. 학교에서는 ‘학교주먹질·학교막짓’이 될 테고, 성폭력이라면 ‘추근짓·추근질·막추근짓·막추근질’이 될 테며, 말로 못살게 구는 일이란 ‘막말짓·막말질’이 되겠지요.


  어느 모로 본다면 말로 괴롭히는 짓은 ‘말주먹·말발길’을 한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말로 때리거나 걷어차는 느낌이거든요. 막말짓은 ‘말주먹질·말발길질’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삶터가 넓어지거나 온갖 일이 생기기에 말도 이러한 결에 맞추어 태어납니다. 그런데 아름다운 삶을 나타낼 아름다운 말이 아닌, 아프거나 괴로운 삶을 밝힐 아프거나 괴로운 말이라면, 이런 말을 지어서 쓰는 사람도 나란히 아프거나 괴롭습니다. 이 같은 일을 겪는 사람도, 이러한 말을 해야 할 사람도 똑같이 아프거나 괴롭겠지요.


  말은 슬기롭게 지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말을 슬기롭게 짓기에 앞서 무엇보다 헤아릴 대목은 삶과 삶터부터 슬기롭게 가꾸어야지 싶습니다. 주먹질을 걷어치워야겠습니다. 2018.3.19.달.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 좀 생각합시다 29


 푸르다


  지난날에는 어디나 모두 푸른 터전이었어요. 공장이나 도시가 따로 없던 무렵에는 쓰레기도 딱히 없었기에 어디에서나 맑은 물하고 바람이 흘렀지요. 누구나 맑은 물하고 바람을 마시며 살았어요. 지난날에는 ‘친환경’이나 ‘환경친화’를 딱히 헤아리지 않았습니다.


  오늘날에 이르러 맑거나 정갈한 터전을 그리면서 ‘녹색(綠色)’이라든지 ‘초록(草綠)’이라든지 ‘그린(green)’을 이야기하는 분이 늘어납니다. 정당이나 모임이나 학교에서 이런 이름을 쓰지요. 그런데 한국말에 있는 ‘푸른’을 쓰면 될 노릇이 아닐까 싶어요.


  ‘친환경 제품’이라면 ‘푸른것’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맑푸르다’ 같은 낱말을 새로 지을 수 있습니다. ‘맑은것’ 같은 이름도 쓸 수 있고, ‘맑은물·맑은바람’이나 ‘푸른물·푸른바람’ 같은 이름을 쓸 만해요. ‘파란하늘·파란바람’은 하늘빛을 가리키는 이름이면서 맑거나 정갈한 터전을 빗대는 자리에 쓸 수 있지요.


  열매가 아직 안 익을 적에 풋열매라 해요. 이때에도 ‘푸르다’를 씁니다. 풋열매는 열매로 여물지 않았어도 풋풋한 기운이 싱그럽습니다. 그래서 청소년을 두고 ‘푸름이’라 일컬을 만해요. ‘푸른넋·푸른꿈·푸른길’을 비롯해서 ‘푸른집·푸른마을·푸른배움터·푸른나라’ 같은 이름을 쓸 수 있습니다.


  깨끗한 말이라면 ‘푸른말·푸른글’ 같은 이름이 어울리고 환경책을 놓고는 ‘푸른책’이라 할 수 있어요. 이 푸름은 숲하고 이어지니 ‘숲말·숲글·숲책’이라든지 ‘숲사랑·푸름사랑’ 같은 이름을 넉넉히 쓸 만하고요.


  우리 곁에 있는 푸른 기운을 헤아리면서 푸르디푸른 말마디로 푸르고푸른 이름을 지으면 즐겁습니다. 수수한 풀꽃을 아끼듯이 풀꽃사랑을 그리고, 너른 풀밭을 누리듯이 풀누리나 풀나라에서 풀지기가 됩니다. 서로 ‘푸른지기·푸른벗·푸른벗’이 되어 푸른터를 함께 가꿉니다. 2018.3.17.흙.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 좀 생각합시다 28


 책노래


  처음 ‘북큐레이션’이라는 영어를 듣고는 어리둥절했습니다. 못 알아들었거든요. 한참 멍하니 있다가 생각을 가다듬었고, ‘북큐레이션’을 한다는 분이 어떤 일을 어떻게 하는가를 지켜보았어요. ‘북큐레이터’라 하는 분은 이녁이 즐겁게 읽은 책을 이웃이 어떻게 즐거이 만나면 좋을까를 헤아리면서 짝맞춤을 하는군요. 사랑하는 이가 만나는 일을 두고 짝짓기라 한다면, 우리한테 맞을 만한 책을 만나도록 다리를 놓는 일은 짝맞춤, 곧 ‘책맞춤’이라 할 만하다고 느꼈습니다.


  그렇다고 북큐레이션을 ‘책맞춤’이라 하기에는 살짝 아쉽구나 싶던데, 우리한테 맞는 책을 알려준다면 이 책을 ‘맞춤책’이라고는 쓸 만하다고도 느껴요. 더 헤아려 보기로 합니다. 흔히 ‘책얘기’를 하는 일이 북큐레이션하고 맞아떨어집니다. 책을 알려주는 일, 곧 ‘책알림’일 수 있더군요. 수수하게 ‘맞춤책·책알림·책얘기’ 같은 이름을 써도 되지만 한결 즐거이 쓸 만한 말을 더욱 헤아리고 싶습니다.


  이웃님이 즐겁게 받아들일 만한 책이라면, 우리는 책을 사이에 놓고 서로 노래를 부른다고 여길 수 있어요. 노래하듯이 책을 즐긴다고 할까요. 노래하면서 책을 즐긴다고 해도 되고요. 그래서 ‘책노래’라는 이름을 그려 봅니다. 이를테면 이렇게 말할 수 있지요. “이웃님! 이웃님한테 이 책이 어울리리라 여겨요. 우리 이 책을 함께 읽으면서 노래해요. 이웃님 ‘책노래’는 바로 이 책이랍니다!”


  책노래를 들려주는 분은 ‘책노래님·책노래벗·책노래지기’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습니다. ‘책노래나무·책노래꽃·책노래숲’ 같은 이름을 붙여도 돼요. “저는 ‘책노래바람’입니다. 제가 바람처럼 책노래를 들려줄 테니 기쁘게 맞이해 보셔요.”라든지 “나는 ‘책노래별’이야. 별님처럼 별빛으로 책노래를 들려줄게.”라 할 만하지요.


  때로는 ‘책차림’을 한다고 말할 만합니다. 책을 차려 놓거든요. ‘책살림’을 한다고 해도 어울립니다. 책을 살리니까요. ‘책빛’이라 해도 될 테지요, 책이 빛나도록 하는 길이니까요.


  책 하나에 이야기가 깃들어 책이야기가 되고, 책이야기는 책노래가 되며, 책꽃이 책숲이 되다가 책나무에 책바람이 됩니다. 2018.3.15.나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 좀 생각합시다 27


 손자아들


  사전에서 ‘손녀딸(孫女-)’을 찾아보면 “‘손녀’를 귀엽게 이르는 말”로 풀이합니다. ‘손자아들’도 찾아보았어요. 그러나 ‘손자아들’은 사전에 없습니다. 그러려니 하고 지나갈 수 있으나 아리송합니다. 왜 ‘손녀딸’은 사전에 오르고 ‘손자아들’은 사전에 오를까요? 그리고 ‘손녀딸’이라는 낱말은 알맞은가 하고 더 헤아려 볼 만합니다.


  ‘손녀’라는 낱말로 우리 딸이나 아들이 낳은 ‘딸’을 가리킵니다. ‘손녀 + 딸’은 겹말입니다. ‘외갓집’이나 ‘처갓집’도 겹말이지요. ‘외가·처가’가 바로 ‘집’을 가리키기에 ‘외가 + 집’이나 ‘처가 + 집’은 겹말이지요.


  겹말이라 하더라도 귀엽게 이르려고 구태여 ‘손녀딸’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할머니나 할아버지로서는 가시내만이 아닌 머스마도 귀엽기 마련이에요. 귀여운 머스마한테는 어떤 이름을 붙여야 할까요?


  귀엽기에 “귀여운 손녀”나 “귀여운 손자”라고 하면 됩니다. 때로는 ‘손녀님·손자님’처럼 ‘-님’을 붙일 수 있어요. 아이들을 바라보며 ‘공주·왕자’라고도 부르지만 ‘공주님·왕자님’이라고도 부르거든요.


  알맞게 붙이는 이름을 헤아리지 않으면 겹말에 이어 겹겹말까지 불거지기 마련입니다. 힘주어 말하려는 뜻에서 ‘때로’에다가 ‘때때로’를 쓰고, ‘더욱’에다가 ‘더더욱’이나 ‘더욱더’를 씁니다.


  어느 모로 본다면, 고양이를 ‘냥이·냥냥이’로, 개를 ‘멍이(멍순이/멍돌이)·멍멍이’로 귀엽게 부르기도 합니다. ‘손녀딸’처럼 ‘딸딸’로도 얼마든지 귀엽게 부를 수 있어요. 조금 더 생각을 기울여, 이쁘거나 귀엽기에 ‘우리’를 앞에 넣어 “우리 딸·우리 손녀”라든지 “우리 아들·우리 손자”라 말하기도 하는 얼거리를 살핀다면, 꼭 ‘손녀 + 딸’ 얼개가 아니어도 살가우며 재미있고 뜻깊은 귀염말이나 사랑말을 널리 지을 수 있습니다. 2018.3.13.불.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 좀 생각합시다 26


 알못


  ‘알못’이란 말을 처음 듣는 사람은 무슨 생각을 할까요? 나이가 제법 든 어른이라면 알처럼 생긴 못인가 하고 여길 만합니다. 그런데 ‘알처럼 생긴 못’은 물건에 박는 못 하나에, 물이 고인 못 둘이지요. 또는 알이 있는 못이라고 여길 수 있어요.


  어느새 사람들 입에 착 달라붙은 ‘알못’은 “알지 못하는”을 간추린 낱말입니다. ‘겜알못·야알못·축알못’처럼 흔히 쓸 뿐 아니라 곳곳에 ‘-알못’을 붙여서 써요. 그동안 ‘-맹(盲)’이나 ‘-치(癡)’ 같은 한자만 붙여서 “알지 못하는” 모습을 나타냈다면, 오늘날에는 우리 나름대로 새로운 말틀을 빚었다고 할 만합니다.


  다만 ‘바보’를 붙여서 ‘야구바보’나 ‘축구바보’라 하기도 했지만, 이때에 ‘바보’는 “알지 못하는”뿐 아니라 “어느 하나에 푹 빠진”을 나타내기도 했어요. ‘야구바보’라 하면 야구만 알고 다른 것은 모른다는 느낌이지요. 그러니까 ‘알못’이라는 말은, 꼭 그런 모습을 나타낼 마땅하면서 쉽고 재미있는 말이 없었다고 할 만했기에 태어나서 널리 쓴다고 할 수 있어요.


  ‘철부지’라는 말이 있습니다. ‘부지(不知)’는 “알지 못하는”을 뜻합니다. ‘철부지’란 ‘철알못’인 셈이지요. 한국말로 ‘철모르쟁이’가 따로 있으니 ‘알못 = 모르쟁이’이기도 합니다. ‘모르쟁이’하고 비슷한 ‘모르쇠’는 무엇이든 모른다고 잡아떼는 짓을 나타내지요.


  ‘알못’하고 맞서는 ‘잘알’도 태어났어요. “잘 안다”고 해서 ‘잘알’이지요. ‘겜잘알·야잘알·축잘알’처럼 쓰는데, 참으로 멋진 말틀이로구나 싶습니다. 한국말을 새로 가꾸는 모습이에요. 저는 ‘알못’에 ‘-질/-짓’을 살며시 붙여 보고 싶습니다. ‘알못질·알못짓’을 일삼는 분이 있거든요. 이분들은 ‘알못이·알못꾼·알못쟁이’입니다. 서로 ‘알못벗·알못이웃’도 되겠지요. 그러나 ‘잘알벗·잘알이웃·잘알님’이 된다면 한결 반가우리라 생각해요. 2018.3.12.달.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