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화 火


 화가 치밀다 → 부아가 치밀다 / 성이 치밀다

 화를 내다 → 성을 내다 / 골을 내다 / 부아를 내다

 화를 돋우다 → 성을 돋우다 / 부아를 돋우다

 화를 풀다 → 성을 풀다 / 부아를 풀다

 화가 나서 → 성이 나서 / 골이 나서 / 부아가 나서


  ‘화(火)’는 “몹시 못마땅하거나 언짢아서 나는 성”이라 합니다. ‘성’은 “노엽거나 언짢게 여겨 일어나는 불쾌한 감정”이라지요. ‘노엽다(怒-)’는 “화가 날 만큼 분하고 섭섭하다”를 가리킨다니, ‘화(火) → 성 → 노(怒) → 화(火)’인 얼거리입니다. ‘성·성나다·성가시다·센불·큰불·짜증’으로 고쳐쓸 노릇입니다. ‘골·골나다·골부리다·골질·투덜대다·투정·툴툴’이나 ‘부아·부아나다·북받치다·붓다·부어오르다’로 고쳐쓸 만합니다. ‘가시·거슬리다·고깝다·귀찮다’나 ‘발끈하다·불끈하다·불뚝하다·발칵하다·벌컥·버럭·바락’으로 고쳐쓸 수 있고, ‘꼴보기싫다·눈꼴시다·눈꼴사납다·보기싫다’나 ‘끓다·들끓다·바글바글·바르르·파르르·부글부글’로 고쳐씁니다. ‘뚱하다·뚜하다·뜨악하다·못마땅하다·뾰로통·뿌루퉁’이나 ‘뛰다·뛰어오르다·아쭈·얼쑤·얼씨구·엇가락·제길’로 고쳐쓰며, ‘밉다·밉살맞다·밉질·서운하다·섭섭하다·싫다’나 ‘비아냥·샐쭉·아니꼽다·언짢다·입이 나오다’로 고쳐써요. ‘불·불나다·불붙다·불덩이·불더미·불공·불길’이나 ‘불꽃·불씨·불씨앗·불타오르다·불타다·불뿜다’로 고쳐쓸 만하고, ‘뿔·뿔나다·뿔끈하다·쀼루퉁·삐지다·삐치다’나 ‘울다·왈칵·우네부네·울고불고·울뚝밸’로 고쳐씁니다. ‘터뜨리다·터트리다·터지다·터져나오다·토라지다’나 ‘퉁·퉁명스럽다·퉁질·퉁바리’나 ‘펄떡·폴딱·펄쩍·펄펄·풀개구리·핏대·흥흥’으로 고쳐쓸 수도 있습니다. ㅅㄴㄹ



왕은 이번에도 불같이 화를 내며

→ 임금은 이때에도 불같이 뛰며

→ 임금은 이때에도 부아를 내며

《아주아주 많은 달》(제임스 서버·루이스 슬로보드킨/황경주 옮김, 시공주니어, 1998) 18쪽


역정을 내시거나 화를 내신 일이 잘 기억나질 않네요

→ 끓으시거나 성을 내신 일이 잘 떠오르질 않네요

→ 발끈하시거나 골을 내신 일이 잘 생각나질 않네요

《명장들의 이야기》(김재광, 솔과학, 2006) 57쪽


그렇게 화를 내면 어떻게 해

→ 그렇게 성을 내면 어떻게 해

→ 그렇게 부아내면 어떻게 해

→ 그렇게 골을 내면 어떻게 해

《호기심 많은 꼬마 물고기》(엘사 베스코브/김상열 옮김, 시공주니어, 2007) 18쪽


엄마가 나를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너무나 화가 나고 슬펐습니다

→ 엄마가 나를 그렇게 생각하니 무척 성이 나고 슬펐습니다

→ 엄마가 나를 그렇게 생각한다니 몹시 골이 나고 슬펐습니다

→ 엄마가 나를 그렇게 생각하니까 참 싫고 슬펐습니다

《엄마, 화내지 마》(세가와 후미코·모치즈키 마리/박순철 옮김, 거인, 2007) 4쪽


저를 위해 그토록 절도를 잃을 만큼 화내고

→ 저 때문에 그토록 멋을 잃을 만큼 불내고

《오르페우스의 창 2》(이케다 리에코/장혜영 옮김, 대원씨아이, 2012) 159쪽


큰 악마들이 불같이 화를 냈지

→ 큰 사납이가 버럭버럭 했지

→ 큰 깜놈이 왈칵했지

→ 큰 각다귀가 불같이 소리쳤지

→ 큰 부라퀴가 불같이 뛰었지

《빵을 훔친 꼬마 악마》(우치다 리사코·호리우치 세이치/고향옥 옮김, 비룡소, 2014) 6쪽


화가 나면 동시에 두 눈이 빨갛게 되지요

→ 성이 나면 두 눈이 같이 빨갛지요

→ 골이 나면 두 눈이 모두 빨갛지요

→ 불이 나면 두 눈이 나란히 빨갛지요

《나를 찾아온 북극곰》(마르쿠스 말트·오렐리 길르리/임은정 옮김, 걸음동무, 2014) 6쪽


선생님이 화가 나지 않아 나는 무척 안도했다

→ 샘님이 부아가 나지 않아 무척 마음을 놓았다

→ 스승님이 성이 나지 않아 무척 가슴을 쓸었다

《나무 위의 물고기》(린다 멀랠리 헌트/강나은 옮김, 책과콩나무, 2015) 76쪽


네가 화를 내지 않았으면 좋겠어

→ 네가 성을 내지 않으면 좋겠어

→ 네가 골을 내지 않으면 좋겠어

→ 네가 부아를 내지 않기를 바라

《우물밖 여고생》(슬구, 푸른향기, 2016) 82쪽


고성을 지르는 노래는 노래라기보다 화난 사람이 악쓰는, 일종의 스트레스 해소지만 그래도 무척 즐겁다고 했다

→ 큰소리를 지르는 노래는 노래라기보다 성난 사람이 악쓰는, 악풀이지만 그래도 무척 즐겁다고 했다

→ 자지러지는 노래는 노래라기보다 뿔난 사람이 악쓰는, 악풀이지만 그래도 무척 즐겁다고 했다

《놀이가 아이를 바꾼다》(김민아와 다섯 사람, 시사일본어사, 2016) 21쪽


화를 내서 내 속이 시원해지는 게 아니라

→ 부아를 내서 내 속이 시원하지 않고

→ 골을 내서 내 속이 시원하지 않고

《공덕을 꽃 피우다》(광우, 스토리닷, 2017) 15쪽


딴 데서 맞고 여기서 화풀이야

→ 딴 데서 맞고 여기서 성풀이야

→ 딴 데서 맞고 여기서 골부려

→ 딴 데서 맞고 여기서 짜증이야

《경계의 린네 26》(타카하시 루미코/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8) 70쪽


그것도 모르고 계속 화만 냈구나

→ 그런 줄 모르고 늘 뿔만 냈구나

→ 그런 줄 모르고 내 골만 냈구나

《내가 엄마를 골랐어!》(노부미/황진희 옮김, 스콜라, 2018) 19쪽


엄마, 화난 거 아니죠?

→ 엄마, 뿔나지 않았죠?

→ 엄마, 성나지 않았죠?

→ 엄마, 골나지 않았죠?

《드르렁》(문크. 북극곰. 2019) 22쪽


초반에는 사모님이 화를 낼지도 모르지만

→ 처음에는 아주머님이 성낼지도 모르지만

《고양이가 서쪽으로 향하면 1》(우루시바라 유키/정은서 옮김, 대원씨아이, 2020) 32쪽


그렇게나 연습해 놓고 져버린 저 자신에게 화가 치밀어서

→ 그렇게나 해놓고 져버려 스스로 부아가 치밀어서

→ 그렇게나 갈고닦고 져버려 스스로 불이 치밀어서

《하이스코어 걸 6》(오시키리 렌스케/허윤 옮김, 대원씨아이, 2020) 59쪽


남이 자기 집을 치우면 질겁할 만큼 화내는데

→ 남이 제 집을 치우면 놀랄 만큼 성내는데

→ 남이 저희 집을 치우면 발칵거리는데

《던전밥 10》(쿠이 료코/김민재 옮김, 소미미디어, 2021) 25쪽


그래서 불같이 화를 내며 소리쳤지요

→ 그래서 불같이 소리쳤지요

《별새의 꿈》(샤론 킹 차이/노은정 옮김, 사파리, 2022) 10쪽 


아직도 내 안에 이런 화가 있구나

→ 아직 내가 이렇게 골을 내는구나

→ 아직 내가 이처럼 불이 나는구나

《날마다 미친년》(김지영, 노란별빛책방, 2023) 9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식민지 植民地


 일본 식민지 문화를 청산하지 못했다 → 일본 종살이를 털지 못했다

 식민지의 현실과 별 차이가 없다 → 굴레하고 다를 바 없다

 식민지의 사고방식에 탈피할 필요가 있다 → 억눌린 생각을 벗어나야 한다


  ‘식민지(植民地)’는 “[정치] 정치적·경제적으로 다른 나라에 예속되어 국가로서의 주권을 상실한 나라. 경제적으로는 식민지 본국에 대한 원료 공급지, 상품 시장, 자본 수출지의 기능을 하며, 정치적으로는 종속국이 된다”를 뜻한다고 합니다. ‘고삐·재갈·재갈질·재갈나라·재갈판’이나 ‘굴레·굴레살이·멍에·날개꺾다’나 ‘종굴레·종노릇·종살림·종살이·종수렁·종살이땅·종살이터’로 손볼 만합니다. ‘삼키다·잡아먹다·집어삼키다·갉아먹다·갉다’나 ‘가두다·가둠터·닫힌터’로 손보고, ‘사슬·사슬살이·사슬터·차꼬·차꼬나라·차꼬판’이나 ‘총칼나라·총칼질·총칼수렁·총칼굴레’로 손봅니다. ‘칼나라·칼누리·칼굴레·칼수렁’이나 ‘울·울타리·담·담벼락’으로 손보고, ‘억누르다·묵사발·뭉개다·깔아뭉개다·내리누르다·누르다’로 손볼 수 있어요. ‘짓누르다·짓뭉개다·짓밟다·짓이기다·짓찧다’나 ‘언땅·얼음땅·얼음나라’으로 손보아도 되고, ‘우려먹다·갈겨먹다·벗겨먹다·쪼다·찧다’나 ‘힘으로·힘으로 먹다·힘을 내세우다’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식민지 인민의 정서를 모아 능률적으로 지배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 힘없는 사람들 마음을 모아 수월하게 다스리려는 뜻으로 보인다

→ 짓밟힌 사람들 마음을 모아 쉽게 휘어잡겠다는 생각으로 보인다

→ 짓눌린 사람들 마음을 모아 어렵잖이 다스리려는 셈으로 보인다

→ 사슬에 묶인 사람들 마음을 모아 가볍게 다루려고 했지 싶다

《한국사 나는 이렇게 본다》(이이화, 길, 2005) 54쪽


그때까지 존재했던 식민지의 ‘망령’은 안보조약 개정에 의해 일소되고

→ 그때까지 흐르던 굴레살이 ‘찌끼’는 지킴길을 고치며 털어냈고

→ 그때까지 있던 ‘끔찍한’ 멍에살이는 지킴틀을 바꾸며 씻어냈고

《북한행 액서더스》(테사 모리스-스즈키/한철호 옮김, 책과함께, 2008) 323쪽


식민지화의 주된 원인이야 물론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에 있지만, 조선왕조 지배층의 아둔함과 무능·부패에도 책임이 있었다

→ 갉아먹힌 큰 까닭이야 마구잡이 일본아 쳐들어온 탓이지만, 조선을 다스린 이들이 어리석고 솜씨없고 썩은 탓도 있다

→ 우려먹힌 큰 까닭이야 총칼나라 일본이 짓밟은 탓이지만, 조선을 다스린 이들이 어리석고 솜씨없고 썩은 탓도 있다

《역사가의 시간》(강만길, 창비, 2010) 151쪽


식민지 조선 지배의 삼두마차

→ 사슬터 조선을 누르는 세수레

→ 조선을 짓밟는 세말수레

《한 권의 책》(최성일, 연암서가, 2011) 34쪽


일제 식민치하에서 해방된 한반도는 새로운 독립국가 건설의 꿈에 고무되었다

→ 일본수렁에서 풀린 이 땅은 새나라를 세우는 꿈에 부풀었다

→ 일본굴레를 벗은 이 나라는 한나라를 짓는 꿈에 기뻤다

→ 일본사슬틀 털어낸 이곳은 한누리를 닦는 꿈에 들떴다

→ 일본불굿에서 나래펴는 우리는 혼누리를 일구는 꿈에 반가웠다

《전두환과 80년대 민주화운동》(정해구, 역사비평사, 2011) 13쪽


‘제국’은 식민지를 경영하기 위해 본국에서 일자리를 얻지 못했거나 사회적으로 손해를 끼쳐 잉여인력으로 취급받는 사람을 동원한다

→ ‘나라’는 가두리를 다스리려고 제나라에서 일자리를 얻지 못했거나 널리 잘못을 일으켜 나머지로 여기는 사람을 끌어들인다

《왜 지금 한나 아렌트를 읽어야 하는가?》(나카마사 마사키/김경원 옮김, 갈라파고스, 2015) 56쪽


그리고 중앙은 지방을 식민지화했다. 지역의 이러한 고통 없이 이 사회는 온전할 수 있을 것인가

→ 그리고 서울은 시골을 짓눌렀다. 시골이 이렇게 괴롭지 않고서 이 삶터는 버틸 수 있을까

→ 그리고 서울은 시골을 갉아먹었다. 시골이 이렇게 고달프지 않고서 이 터전은 견딜 수 있을까

《왜 아무도 나에게 말해 주지 않았나》(신혜정, 호미, 2015) 189쪽


제국주의에 협력했던 사람들이 식민지 독립 이후에도 대대손손 잘 먹고 잘사는 나라는

→ 싸움나라에 빌붙던 사람들이 총칼질에서 벗어아고도 오래오래 잘 먹고 잘사는 나라는

→ 마구나라에 붙어붙던 사람들이 굴레에서 풀린 뒤에도 두고두고 잘 먹고 잘사는 나라는

《한홍구의 청소년 역사 특강》(한홍구, 철수와영희, 2016) 254쪽


유럽인이 와서 식민지화하고 자신들의 언어를 강제했다

→ 하늬사람이 와서 짓밟고 저희 말을 심었다

→ 하늬사람이 와서 억누르고 저희 말을 퍼뜨렸다

《여행하는 말들》(다와다 요코/유라주 옮김, 돌베개, 2018) 64쪽


식민지화와 함께 근대가 도래하며 전근대에 속한 아버지는 무능한 존재로 전락했다

→ 사슬살이와 함께 말쑥하게 바뀌자 낡은 아버지는 기울어 갔다

→ 종살이와 함께 번듯하게 바뀌자 오래된 아버지는 보잘것없었다

《한국영화 표상의 지도》(박유희, 책과함께, 2019) 70쪽


식민지 조선에선 쌀값 폭등으로 아사자가 속출하는 와중에

→ 짓밟힌 조선에선 쌀값이 치솟아 굶어죽는 판에

→ 억눌린 조선에선 쌀값이 껑충 뛰어 말라죽는데

《백투더 1919》(오승훈·엄지원·최하얀, 철수와영희, 2020) 67쪽


식민지 해방은 곧 책의 해방이었다고 했다

→ 재갈에서 풀리니 곧 책도 풀렸다고 했다

→ 고삐가 풀리니 곧 책도 풀려났다고 했다

《서점의 시대》(강성호, 나무연필, 2023) 9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2666 : 상현달



상현달 같은

→ 달 같은

→ 오른달 같은


상현(上弦) : [천문] 음력 매달 7∼8일경에 나타나는 달의 형태. 둥근 쪽이 아래로 향한다 ≒ 초현

상현달(上弦-) : [천문] 음력 매달 7∼8일경 초저녁에 남쪽 하늘에서 떠서 자정에 서쪽 하늘로 지는 달



  ‘상현달’이나 ‘하현달’은 겹말입니다. ‘상현·하현’만으로도 이미 달을 가리키는 낱말입니다. 더 들여다본다면, 처음부터 달을 ‘달’이라 이름을 붙이지 않은 탓에 겹말이 나타납니다. 이 글월이라면 수수하게 ‘달’이라고만 할 수 있습니다. 따로 오른쪽으로 보이는 달은 ‘오른달’이라 하면 됩니다. ‘조각달’이나 ‘동강달·토막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ㅅㄴㄹ



지금 추억만으로서도 충분히 사랑할 수 있는 상현달 같은 여자

→ 이제 옛생각만으로도 얼마든지 사랑할 수 있는 달 같은 님

→ 오늘 곱씹기만 해도 너끈히 사랑할 수 있는 오른달 같은 빛

《기형도 산문집》(기형도, 살림, 1990) 7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2664 : 반드시 의무



반드시 …야 할 의무가 있었다

→ 반드시 …야 한다


반드시 : 틀림없이 꼭 ≒ 기필코·필위

의무(義務) : 1. 사람으로서 마땅히 하여야 할 일. 곧 맡은 직무 2. [법률] 규범에 의하여 부과되는 부담이나 구속 3. [철학] 도덕적으로 강제력이 있는 규범에 근거하여 인간의 의지나 행위에 부과되는 구속



  반드시 하거나 마땅히 하거나 꼭 해야 하기에 한자말로 ‘의무’를 쓰기도 합니다. 이 글월처럼 “반드시 …야 할 의무”처럼 쓰면 겹말입니다. ‘반드시’를 그대로 두고서 ‘의무’를 덜 노릇입니다. ㅅㄴㄹ



반드시 개봉일에 봐야 할 의무가 있었다

→ 반드시 첫날 봐야 한다

→ 반드시 첫단추에 봐야 한다

→ 반드시 첫맞이에 봐야 한다

《책과 우연들》(김초엽, 열림원, 2022) 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2663 : 효용가치



효용가치가 있다

→ 쓸모가 있다

→ 쓰임새가 있다


효용가치 : x

효용(效用) : 1. 보람 있게 쓰거나 쓰임. 또는 그런 보람이나 쓸모

가치(價値) : 1. 사물이 지니고 있는 쓸모



  한자말 ‘효용’이나 ‘가치’는 우리말로 ‘쓸모’나 ‘보람’을 가리킵니다. 따로 쓰더라도 ‘쓸모’나 ‘보람’으로 고쳐쓸 노릇인데, 막상 ‘효용가치’처럼 두 한자말을 붙여서 쓰는 분이 꽤 있습니다. 우리말로 ‘쓸모·쓰임새’나 ‘값·값어치’나 ‘빛·빛나다’로 고쳐씁니다. ㅅㄴㄹ



즉 둘리를 그대로 놔두는 것은 효용가치가 있다는 것인데

→ 곧 둘리를 그대로 두면 쓸모가 있다는 말인데

→ 그러니까 둘리를 놔두면 빛이 난다는 셈인데

→ 둘리를 놔둘 만한 쓰임새가 있다는 소리인데

《만화웹툰작가평론선 : 김수정》(장은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9) 8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