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툼

 


  아이들은 서로 다투면서 클까. 글쎄, 꼭 다투면서 큰다고는 느끼지 않는다. 어른들이 이렇게 생각하니까 아이들이 자꾸 다투지 않나 싶기도 하다. 아이들은 서로서로 아끼고 사랑하면서 자라는데, 어른들은 자꾸 ‘애들은 서로 다투면서 크는 법’이라고 생각할 뿐 아니라, 말하고, 그렇게 부추기기까지 한다.


  왜 자꾸 아이들이 다투도록 부추길까. 아이들이 저지레를 할 수도 있겠지. 그러나, 아이들 저지레에 앞서 어른들 저지레가 훨씬 크고 깊다. 어버이로서 아이들을 하나하나 아끼고 사랑하며 보살피는데, 아이들이 저지레를 할 까닭이 없다. 어버이로서 이런 일로 골머리 앓고 저런 일로 골치를 썩으니까, 아이들도 이 같은 ‘어른들 골머리와 골치’에 찬찬히 물들거나 젖어든다고 느낀다. 곧, 어버이 스스로 삶을 사랑하며 한껏 누릴 적에는, 아이들 낯에 웃음이 물결친다. 어버이 스스로 삶을 좋아하며 실컷 빛낼 적에는, 아이들 낯에 노래가 번진다.


  생각해 보니, 아이들 사이에 뭔가 저지레나 다툼이 생길 적에는, 새로운 놀이를 보여주고 서로 즐길 이야기를 찾으라는 뜻 아닌가 싶다. 무언가 혼자 차지하며 ‘가져야’ 하는 놀잇감이라든지 놀이가 된다면, 아이들 사이에 시나브로 다툼이나 저지레가 태어나는구나 싶다. 내 것이나 네 것이 어디 있나. 지구별도 흙도 땅도 물도 바람도 햇살도 구름도 내 것이나 네 것이 아니다. 꽃도 풀도 나무도 모두 네 것 내 것 아니다. 무지개가 내 것인가. 별이 네 것인가. 내 것도 네 것도 아닌 해가 사라지면 어찌 될까. 내 것도 네 것도 아닌 바다가 사라지면 어찌 될까. 돈이나 이름이나 힘 따위란 아주 부질없다. 내 것도 네 것도 아닌 해와 달과 바람과 흙과 나무와 물과 숲이 있어야, 비로소 내 삶과 네 삶이 있다. 어버이와 아이는 서로 사랑이 있을 때에 함께 살아가지, 돈이 넉넉하대서 함께 살아가지는 않는다. 그러고 보니까, 《레미제라블》에 나오는 아저씨와 아이는 오직 하나, 서로를 믿고 아끼는 사랑으로 살아갈 꿈을 키웠구나. 《레미제라블》에서 아저씨를 괴롭히는 또 다른 아저씨한테는 사랑이 한 조각조차 없네. 4346.1.4.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포

 


  옆지기가 문득 말한다. 작은아이가 ‘코’라는 말에 앞서 ‘아포(아파)’라는 말을 했다고. 듣고 보니 그렇다. 작은아이가 어디에 머리를 찧거나 손가락 밟히거나 넘어지거나 했을 때에, 옆지기랑 나는 ‘아파?’ 하고 묻다가는 ‘괜찮아!’ 하고 말하곤 했다. 작은아이는 ‘괜찮다’라 말하지는 않지만 곧잘 ‘아포’ 하고 말한다. 그래그래, 우리 작은아이, 생각보다 꽤 많은(?) 말을 할 줄 안다. ‘음마’라고 하거나 ‘으흥’이라고 하면서 무엇이든 다 이 두 가지 낱말로 가리키기도 하지. 4346.1.1.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늘바람 2013-01-01 12:51   좋아요 0 | URL
ㅎㅎ 행복한 이야기네요
아기자기한 삶이야기요
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언제나 푸근하고 멋진 모습으로 다가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숲노래 2013-01-02 07:13   좋아요 0 | URL
모두 즐거운 새해를
곱게 누리기를 빌어요
고마워요
 

 


  열아홉 달째 함께 살아가는 작은아이가 ‘엄마’와 ‘아빠’라는 낱말 말고, 세 번째로 다른 낱말을 한 마디 뱉는다. ‘코’. 눈 코 귀 입 혀 이마 머리 목 많이 있는데, 손 발 다리 배 배꼽 손가락 발가락 많이 있는데, 어떻게 너는 다른 무엇보다 ‘코’를 이렇게 일찍 말하니? 작은아이한테 세 번째 낱말이 생겼으니, 곧 네 번째 다섯 번째 낱말이 줄줄이 이어질까? 무럭무럭 자라며 튼튼하고 씩씩하게 네 생각을 꽃피우렴. 4345.12.31.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웃집 마실 설거지

 


  이웃집에 마실을 간다. 집들이를 하는 이웃은 손님들한테 이것저것 차리느라 부산하다. 즐거우며 고맙게 밥을 얻어먹고는 밥상을 슬쩍 돌아보니, 빈 그릇 제법 보인다. 밥상에서 빈 그릇 좀 날라 부엌 개수대에 놓는다. 그러고는 조용히 물꼭지를 틀어 설거지를 한다. 설거지거리는 이 말고도 많으나, 사이사이 조금씩 빈 그릇 설거지를 하면, 그동안 이 그릇들 물기가 말라 치우기도 수월하고, 새로 그릇을 써야 할 때에 쓰기도 좋다.


  그런데 이런 설거지이든 저런 밥차림이든, 이웃집이든 동무집이든, 2013년을 며칠 앞둔 오늘에 이르기까지, 이런 집일 저런 집살림을 ‘사내’들이 먼저 나서서 하는 모습은 거의 찾아보지 못한다. 집안 아이들도, 집안 어른들도, 사내들은 으레 엉덩이가 무거워 방바닥에 눌러붙고, 가시내들은 ‘사내보다 엉덩이가 더 큰’데도 엉덩이가 가벼운지(?) 쉬지 않고 일어나서 무엇을 나르고 무엇을 차리고 무엇을 하고 …… 끝이 없다. 4345.12.29.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겨울밤 설거지

 


  넉 밤 자면 아이들 나이는 하나씩 는다. 큰아이는 곧 여섯, 작은아이는 이제 셋 된다. 작은아이 오줌가리기를 하느라 여러모로 마음을 많이 쓰는데, 작은아이 말문트기가 꽤 더디면서 오줌가리기 또한 퍽 더디다. 그래도 작은아이 몸과 움직임을 살피며 그때그때 오줌그릇에 앉히면 바지와 기저귀 버릴 일이 없다. 때로는 이틀이나 사흘 동안 오줌바지와 오줌기저귀 하나 안 나오도록 하기도 한다. 그래도 똥바지는 나오지만.


  작은아이 옷빨래가 줄면서 겨울빨래가 퍽 수월하다고 느낀다. 그런데, 이제 겨울이다 보니 밤새 물이 얼까 하고 헤아려 보곤 한다. 워낙 따스한 날씨인 전남 고흥이기는 하지만 또 모르는 일이라, 밤에 틈틈이 깨어 물을 틀곤 한다. 굳이 물 졸졸 흐르도록 물꼭지를 틀지 않아도 되는데, 여러 시간 안 쓰다가 다시 틀면, 땅밑에서 퍼올리는 물줄기가 처음에는 시원찮으니, 겨울날 자칫 물관에 얼음이라도 낄까 봐, 저녁에는 설거지를 다 안 하고 두었다가, 한두 시간에 두어 가지씩 설거지를 한다. 지난해까지는 밤에 두 시간마다 아이들 빨래를 하며 물을 썼다면, 올해에는 밤설거지로 물을 쓴달까. 아이들이 자라 작은아이가 네 살 되고 다섯 살 될 적에도 이렇게 밤설거지로 겨울밤을 지새우겠지. 큰아이가 여덟 살이나 아홉 살쯤 되면, 또 열 살이나 열한 살쯤 되면, 겨울밤 물쓰기를 살짝 나누어 맡을 수 있을까. 너희 아버지 가끔은 밤잠 느긋하게 잘 수 있게 말야. 4345.12.28.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