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이종교배



 수많은 이종교배 사례가 발견됐다 → 숱한 다른맺이가 드러났다

 노선이 다른 이종교배를 추진한다 → 길이 다른데 섞으려 한다

 생존을 위해 이종교배를 선택하는 → 살아남으려고 너머맺이를 하는


이종교배(異種交配) : [생명] 종이 다른 생물의 암수를 교배하는 일 = 종간교잡



  갈래가 다르면서 맺을 적에는, 다른데 맺는다는 뜻으로 ‘다른맺이’라 하면 됩니다. 서로 넘나드는 길이니, ‘너머맺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건너맺이·바깥맺이·남맺이’라 할 수 있고, 수수하게 ‘섞다·섞이다·뒤섞다’라 해도 되어요. ㅅㄴㄹ



이 같은 다양한 지향들이 만든 이종교배의 현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이른바 ‘국한문체’이다

→ 이같이 다른 길로 섞인 ‘토씨한글’이다

→ 이처럼 여러 길이 뒤섞인 ‘한글토씨’이다

→ 이렇게 온갖 길이 다르게 맺은 ‘무늬한글’이다

《20세기 국한문체의 형성과정》(임상석, 지식산업사, 2008) 13쪽


기후 변화와 이종교배의 연관성이 크다고 확신하게 됩니다

→ 널뜀날씨와 다른맺이가 크게 얽힌다고 봅니다

→ 벼락날씨와 너머맺이가 맞닿는다고 여깁니다

→ 비칠날씨와 바깥맺이가 맞물린다고 느낍니다

→ 궂은날씨와 건너맺이가 만나는구나 싶습니다

→ 너울날씨와 남맺이를 엮어서 볼 수 있습니다

《미래 세대를 위한 기후 위기를 이겨내는 상상력》(안치용, 철수와영희, 2023) 13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겸사겸사



 그래서 겸사겸사 방문했지 → 그래서 나란히 찾아왔지

 결과를 모르니까 겸사겸사 준비한다 → 끝을 모르니까 여러모로 챙긴다

 겸사겸사 하루 더 휴식을 취하기로 → 이래저래 하루 더 쉬기로


겸사겸사(兼事兼事) :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하려고, 이 일도 하고 저 일도 할 겸 해서



  이 일도 하고 저 일도 한다면 ‘같이·고루·두루·함께’라고 할 만합니다. ‘다같이·다함께·더불어·덩달아’이며, ‘더·더하다·덤·덧대다·덧바르다·덧붙다’이기도 합니다. ‘나란하다·넣다·또·또한·또다시’나 ‘-하고·-랑·-과·-도’로 나타낼 만하고, ‘거들다·곁들다·딸리다·붙이다’로도 나타냅니다. ‘신다·입다·양념·얹다·여미다·엮다’나 ‘오가다·오고가다·주고받다’로 나타낼 수 있으며, ‘아울러·어울려·모처럼’이나 ‘이래저래·이럭저럭·여러모로·그럭저럭’으로 나타내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너에게 있어 그런 일들이 겸사겸사에 지나지 않을지 모르겠지만 말이야

→ 너는 그런 일이 덩달아일는지 모르겠지만 말이야

→ 너는 그런 일이 딸려 왔는지 모르겠지만 말이야

《부엌의 드래곤 4》(시마다 리리·미요시 후루마치/윤선미 옮김, 소미미디어, 2023) 14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꽃 / 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151 품위



  오늘 우리가 쓰는 말은 “그냥 우리말”이 아닌 “우리말에 일본 한자말하고 중국 한자말하고 미국 영어하고 일본 영어가 어지러이 섞인 뜬금말”이기 일쑤입니다. ‘뜬금말’이지요. ‘소통·의사소통’이란 핑계를 붙여서 빨리빨리 써버리려고 하다 보니 아무 말이나 마구마구 쓰는 바람에 ‘뜬금말’이 확 퍼졌습니다. 이웃을 미워하는 말(혐오발언)이 왜 불거질까요? 옆에 있는 사람이 이웃인 줄 안 느끼며 빨리빨리 스쳐 지나가기만 하기 때문입니다. 깊이 보고 마주하면 밉말은 처음부터 없어요. 둘레(사회)에서는 한자말이나 영어를 써야 ‘품위’가 있다고 여깁니다만, ‘품위 = 지위·계급·신분’입니다. 임금·글꾼·벼슬아치는 우리말 아닌 중국 한문으로 힘(권력)을 틀어쥐고서 여름지기(농부)를 부렸으니 ‘품위 있는 말 = 중국 한문(한자말)’일밖에 없어요. 이 흐름은 총칼나라(일제강점기·군사독재)를 거치며 단단히 뿌리내렸지요. 그래서 우리는 “품위 없는 말”을 쓸 노릇입니다. 높낮이(지위·계급·신분)를 걷어치우고서 어린이답게 뛰놀고 노래하고 춤추는 말을 새롭고 즐겁고 아름답게 쓰면 돼요. “품위 = 겉멋(권력)”입니다. “삶말 = 기쁨·보람·사랑”이에요. 쉬운말은 “품위가 없기에 기쁨과 사랑이 가득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꽃 / 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150 막말



  돌고도는 삶입니다. 즐거운 일이 돌고돌고, 슬프거나 아픈 일이 돌고돕니다. 아름다운 일이 돌고돌며, 궂거나 뜬금없는 일이 돌고돕니다. 돌고도는 모든 일을 돌아보면 모두 첫자리로 갑니다. 즐겁게 씨앗을 묻은 곳에서 피어난 즐거운 일은 두루 돌다가 처음 씨앗을 묻은 데로 돌아와요. 얄궂거나 거짓스레 씨앗을 심은 곳에서 비롯한 얄궂거나 거짓스러운 일은 이곳저곳 돌다가 새삼스레 처음 얄궂거나 거짓스럽던 자리로 갑니다. 모든 말은 이 말을 한 사람한테 돌아가지요. 우리가 스스로한테 하는 말도, 남이 우리한테 하는 말도 같아요. 누가 우리한테 막말을 했다면, 이 막말은 우리한테 남기보다 이 말을 한 분한테 고스란히 돌아가요. 낱말책은 말을 가다듬습니다. 돌고도는 숱한 말인 줄 곰곰이 느끼도록 일깨우며 다듬습니다. 낱말책은 말씨(말씨앗)를 심습니다. 첫자리로 돌아올 말인 줄 널리 느끼도록 알려주며 포근히 심어요. 우리가 읊은 모든 말이 우리한테 돌아오는 줄 제대로 안다면 아무 말이나 안 쓰겠지요. 이웃한테도 스스로한테도 늘 사랑을 담아 즐겁게 쓰도록 마음을 기울이는 말 한 마디가 될 테지요. 억지로 막말을 치우지 못합니다. 말길과 말흐름을 짚어 주면 됩니다. 말은 저절로 빛납니다. 말은 심은 대로 빛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부산으로 일하러 간다.
어린이하고 노래꽃씨를 심는
즐겁게 피어나는 일을 짓는다.

호미로 땅을 다듬어서 밭을 짓고
손으로 사랑을 펴며 집살림 짓고
마음에 말씨 담아 노래를 짓는다.

느긋이 간다.
꿈꾸며 걷는다.
볕이 가득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