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명덕 Joo Myung-Duck 열화당 사진문고 1
열화당 편집부 엮음 / 열화당 / 200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주명덕 님 사진책 <장미>는 새책방에서 팔지 않습니다. 그래서 하는 수 없이, 이렇게 다른 주명덕 님 책에 이 사진책 느낌글을 붙입니다. 도서관에 이 책이 깃들어, 사람들이 널리 살펴볼 수 있는 길이 열리기를 빌어 마지 않습니다.





..


 

찾아 읽는 사진책 156

 


하나도 사진, 둘도 사진
― ROSE
 주명덕 사진
 한미사진미술관, 2009.6.13.

 


  하나를 보아도 사진입니다. 둘을 보아도 사진입니다. 꽃집에서 보아도 사진입니다. 씨앗을 받아 찬찬히 돌보며 나무로 키워 늘 지켜보아도 사진입니다. 어느 쪽에서도 사진은 태어납니다. 어느 곳에서도 사진을 읽습니다.


  장미를 보아도 사진입니다. 괭이밥꽃을 보아도 사진입니다. 동백을 보아도 사진입니다. 후박꽃을 보아도 사진입니다. 동백씨앗이 천천히 여물다가 굵어지고 무르익으며 벌어지는 모습을 보아도 사진입니다. 후박꽃 망울이 차츰 굵고 단단해지다가 천천히 벌어지면서 한껏 흐드러지도록 터지는 모습을 보아도 사진입니다. 어느 꽃을 보아도 사진은 태어납니다. 어느 꽃잎과 풀잎을 읽어도 사진을 깨닫습니다.


  나그네도 사진입니다. 마을사람과 토박이도 사진입니다. 나그네로 슬쩍 지나가다가 담아도 사진입니다. 마을사람이 한결같이 지내는 삶자락 담아도 사진입니다. 토박이가 토박이다운 눈썰미와 마음으로 그려도 사진입니다. 여행자가 되어야만 사진이 되지 않고, 마을사람 눈길로 바라보아야만 사진이 되지 않습니다. 다만, 서로 다른 삶을 서로 다른 사랑으로 담아 서로 다른 이야기와 빛이 흐르는 사진이 됩니다.


  주명덕 님이 일흔 나이 언저리에 선보이는 사진책 《ROSE》(한미사진미술관,2009)를 읽습니다. 이 사진책은 시중에 돌지 않고, 새책방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그러면 도서관에는 있을까요? 네, 국립중앙도서관에는 있습니다. 그러면 다른 도서관에는 있을까요? 음, 잘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국립중앙도서관에 가면 이 사진책을 만날 수 있습니다. 또는, 이 사진책을 펴낸 한미사진미술관에 찾아가면 만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주명덕 님은 사진책 첫머리에서, “장미는 예쁘고 아름답다. 흰장미는 우아하고 아름다운 품격이 백작부인 같다. 남대문 꽃시장 나의 단골 아줌마는 항상 좋은 백장미를 골라 준다. 나는 백장미를 좋아한다. 그리고 사랑한다. 그 사랑을 나는 내 사진으로 보여주고 싶었다.” 하고 밝힙니다. 그런데, 한자말 ‘우아(優雅)하다’는 ‘아름답다’를 뜻합니다. 한국말 ‘아름답다’를 한자말로 옮기면 ‘우아하다’가 되는 셈입니다. 그리고, 한국말로는 ‘흰장미’이고, 한자로 적으려면 ‘백(白)장미’가 되지요. “우아하고 아름다운 품격”이란 “아름답고 아름다운 품격”이에요.




  한국사람이 ‘아름다운 흰장미’를 바라보든, 일본사람이나 중국사람이 ‘優雅한 白장미’를 바라보든 똑같은 꽃입니다. 미국사람이 ‘beautiful white rose’를 바라보아도 똑같은 꽃이에요.


  사진책 《ROSE》는 흰장미를 다발로 처음 만날 적에 곱게 빛나는 모습부터 찬찬히 시들어 마른 모습까지 흑백사진으로 보여줍니다. 차근차근 흐르는 사진을 보여주는 주명덕 님은 “어느덧 내 나이가 칠순이 되었다. 장미 사진들을 보니 내 삶을 보여주는 것과 같다. 이제부터, 이제부터 더욱 좋은 사진 작업을 해야만 한다. 희망과 용기를 갖도록 도와주십시오.” 하는 말을 붙입니다. 그래요, 하얗게 빛나는 장미는 주명덕 님이 풋풋한 눈빛으로 사진기를 처음 쥐던 때 모습일 테고, 차츰 흰빛이 바래는 흐름은 주명덕 님이 신나게 사진기를 쥐면서 뛰어다닐 적 모습일 테지요. 이러다가 뻣뻣하게 시들면서 마르는 장미빛이란 주명덕 님이 일흔 고개를 지나가는 모습이 되겠지요.


  장미꽃은 언제 가장 아름다울까요. 사람은 언제 가장 빛날까요. 장미꽃은 언제 가장 맑을까요. 사람은 언제 가장 환하게 웃을까요. 장미꽃은 언제 가장 돋보일까요. 사람은 언제 가장 싱그럽게 웃으면서 일할까요.


  어린이가 가장 아름다우리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일흔 할매나 여든 할배쯤 되어야 가장 멋스러우리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아름다움도 멋도 빛도 따로 금으로 죽 그어서 가르지 못합니다. 오늘이 더 아름답거나 어제가 더 아름답지 않습니다. 모레가 한결 아름다울 수 있거나 이듬해에 훨씬 아름다울 수 있지 않습니다.


  갓 돋은 장미꽃은 갓 돋은 대로 곱습니다. 한창 무르익다가 천천히 시들며 씨앗을 맺으려는 꽃송이는 이러한 결대로 곱습니다. 꽃잎이 모두 진 나뭇가지는 나뭇가지대로 곱습니다. 겨울을 나면서 새눈이 돋는 모습은 새눈대로 곱습니다.


  작은 씨앗은 씨앗으로서 곱습니다. 우람한 나무는 우람한 나무로서 곱습니다. 찔레나무는 찔레나무대로 곱고, 탱자나무는 탱자나무대로 곱습니다. 버들잎은 버들잎대로 고우며, 억새잎은 억새잎대로 곱지요.


  고운 눈빛으로 바라보면 어느 나무라도 곱습니다. 사랑스러운 손길로 쓰다듬으면 어느 풀이라도 사랑스럽습니다. 고운 빛을 사진으로 담지 못한다면, 고운 눈길로 바라보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랑스러운 무늬를 사진으로 싣지 못한다면, 사랑스러운 손길로 어루만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전문가 되어야 사진을 잘 찍지 않습니다. 사진을 쉰 해쯤 찍고 나야 비로소 빛을 볼 수 있지 않습니다. 즐겁게 살아가려는 사람이 즐겁게 사진을 찍습니다. 사랑을 속삭이는 하루를 밝히는 사람이 사랑스러운 사진을 내놓습니다.


  하나도 사진입니다. 둘도 사진입니다. 하나를 읽어도 사진입니다. 둘을 읽어도 사진입니다. 셋이나 넷까지 담거나 보여주어야 사진이지 않습니다. 하나에서 그치거나 둘에서 머물더라도 안 볼 만한 사진이 되지 않습니다. 언제나 즐겁게 나누는 사진이요, 저마다 기쁘게 어깨동무하는 사진입니다. 일흔 나이란 대수롭지 않고, 오랜 사진길은 놀랍지 않습니다. 꿈을 키우는 삶빛일 때에 곱습니다. 사랑을 나누는 눈빛일 때에 아름다운 사진입니다. 4347.1.21.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름벼리 동생한테 등을 내주며

 


  엎드려서 노는 큰아이가 동생한테 등을 내준다. 그러나, 등을 내준다기보다 엎드린 누나 등짝에 동생이 폭삭 앉는다고 해야 옳으리라. 큰아이는 동생이 등짝에 앉아도 싫은 티를 내지는 않는다. 다만 등허리 쪽으로 앉으면 무겁고 힘들다 말하고, 엉덩이 쪽으로 앉으면 아무 말을 않는다. 누나가 바닥에 엎드려서 책을 보거나 글씨쓰기를 하거나 그림을 그릴 적마다 놓치지 않는 작은아이는, 누구라도 방바닥에 눕거나 엎드리면 올라타려고 한다. 4347.1.21.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979년에 처음 나왔다가 어느새 사라진 어린이문학 가운데 《미스 히코리》가 있다. 미국에서는 1947년에 뉴베리상을 받았다는 작품이다. 나는 이 책을 예전에 헌책방에서 문득 보고는, 1979년 그무렵에도 이 땅 아이들한테 마음밥이 될 아름다운 책을 나누고 싶어 하던 사람들 마음을 읽을 수 있었다. 그러나, 나는 국민학교 다니며 이 예쁜 책을 읽지 못했다. 집에서도 학교에서도 이 책을 슬기롭게 알아보고 예쁘게 갖추어 준 어른이 없었으니까. 지난날 이 책이 널리 사랑받을 수 있었다면, 어릴 적부터 이 책을 읽었을 테고, 이 책을 읽고 자란 아이들 마음에 고운 빛이 깃들면서 새로운 이야기를 도란도란 나누는 밑거름이 되었겠지. 처음 한국에 번역된 뒤 서른 몇 해 지나 새롭게 번역된 이 책은 앞으로 얼마나 사랑받을 수 있을까. 얼마나 많은 이들이 이 책을 예쁘게 알아보면서 아이들과 맑은 삶빛을 꽃피우는 길 걸을 수 있을까. 4347.1.21.불.ㅎㄲㅅㄱ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미스 히코리
캐롤린 베일리 지음, 김영욱 옮김, 갈현옥 그림 / 한림출판사 / 2013년 3월
9,500원 → 8,550원(10%할인) / 마일리지 47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6월 19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14년 01월 21일에 저장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이와 지내며 하나도 안 힘들다

 


  두 아이를 돌보면서 힘들다고 느낀 적은 아직 없다. 앞으로도 없으리라 느낀다. 왜냐하면, 참말 힘들지 않기 때문이다. 너무 마땅하지 않은가. 무엇이 힘든가. 다만, 두 아이와 지내다가 누군가 아이가 ‘몇 달’이라느니 ‘언제 태어났느냐’ 하고 물으면 으레 멈칫멈칫한다. 태어난 해가 언제인지 잊기도 하고, 좀처럼 못 떠올리기도 한다. 태어난 날을 잘못 알기도 하고, 달수를 잘못 세기도 한다. 그리 대수롭지 않다고 여기는 탓일 수 있고, 아이들을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안 보내는 탓일 수 있으며, 이 아이들을 학교에 보낼 마음이 없는 탓일 수 있다.


  아이들을 바라보고 느낄 적에 ‘나이’나 ‘달수’로 생각하지 않은 지 오래이다. 아이를 느낄 적에는 눈빛을 보고 낯빛을 본다. 손을 잡고 발가락을 만진다. 아이들 배를 살살 쓰다듬어 보고, 허리와 등을 비벼 본다. 머리카락을 빗어 주고 쓰다듬는다. 옷을 갈아입히고 씻으면서 배가 어느 만큼 들어갔는지 살핀다. 달리기를 얼마나 잘 하고, 넘어졌다 일어나는 모습을 물끄러미 지켜본다. 키가 어느 만큼 자랐는가 헤아리고, 아이들 손을 잡고 걸을 적에 아이 손과 내 손이 어느 자리에 있는지 돌아본다.


  밥상맡에서 아이들이 얼마나 먹는지 헤아린다. 언제나 아이들 밥그릇에 조금 많이 밥을 퍼서 건네는데, 아이들은 배고프면 꽤 많이 담은 밥을 씩씩하게 다 먹는다. 덜 배고프면 먹다가 남긴다. 두 아이 똥받이를 손수 하니까, 아이들이 누는 똥을 들여다보고 냄새를 맡으면서 아이들 몸이 어떠한가를 돌아보고, 밥을 제대로 씹어서 먹었는지 알아본다. 하루이틀 만진 아이들 똥오줌이 아니기도 하지만, 아이들 똥오줌이 ‘더럽다’고 느낀 적이 없다. 아이들이 먹은 그대로 똥이 되고, 이 똥은 다시 흙으로 돌아갈 텐데, 왜 더러울까.


  아이가 하나라면 한결 수월하다든지, 더 멀리 자주 나들이를 다닌다든지, 이것저것 더 보여주거나 가르칠 수 있다고도 가끔 생각한다. 그러나, 둘이라서 덜 수월하다고는 느끼지 않는다. 둘이기에 두 아이는 서로 돕고 아끼면서 놀곤 한다. 내가 작은아이한테 이것저것 따로 품을 들이거나 가르치거나 보여주지 않아도, 큰아이가 동생을 보살피거나 이것저것 가르치거나 보여주곤 한다. 아이 하나일 때와 둘일 때 가운데 어느 쪽이 ‘일손이 적게 든다’고 가를 수 없다.


  언제나 아이들이 먼저 나한테 말을 건다. 아이들은 저희한테 어버이가 ‘무엇을 해 주어야 즐겁고 아름다우며 사랑스러운가’를 먼저 알려준다. 나는 아이들이 하는 말을 귀담아서 듣고, 잘 챙기면서, 함께 어울릴 수 있으면 된다. 그리고, 언제나 곰곰이 생각을 기울여, 아이들이 말하기 앞서 찬찬히 베풀면서 함께 누릴 이야기를 조곤조곤 지으면 된다.


  날마다 새로운 생각을 얻는다. 늘 새로운 마음이 된다. 할머니 두 분이 “혼자 애 돌보느라 얼마나 힘들겠어?” 하고 걱정해 주셔도, 여태 힘들다고 느낀 적이 없는 터라, “아이들이 있어 날마다 새 글을 쓸 수 있고, 새 일이 찾아들면서, 새 삶을 누리는걸요.” 하고 이야기한다.


  그러니까, 이렇게 빗대어 말할 만하다. 아름다운 영화를 두 시간 동안 꼼짝않고 보면서 힘들다고 느낀 적이 없다. 사랑스러운 책을 몇 시간 가만히 서서 읽는 동안 힘들다고 느낀 적이 없다. 푸른 숲길을 거닐면서 힘들다고 느낀 적이 없다. 짙푸른 바다가 멀리까지 이어진 모래밭에 서서 힘들다고 느낀 적이 없다. 싱그러운 바람이 흐르는 들길을 자전거로 달리면서 힘들다고 느낀 적이 없다. 아이들과 지내는 하루란, 이 모두가 한꺼번에 잇달아 찾아드는 삶이라고 느낀다. 아이들과 지내면서 마음속으로 드리우는 빛살이 참 반갑다. 4347.1.21.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아빠 육아일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울보 2014-01-21 09:57   좋아요 0 | URL
저도 님처럼 아이랑 있으면서 힘들다고 생각한적이 한번도 없었습니다, 왜? 그 이쁜아이의 행동하나 하나가 너무 사랑스럽고 신비로웠습니다, 그런데 엄마가 아니라 어느 순간 학부모가 된 지금 힘들다라는 말을 입데 달고 삽니다, 그건 아마 엄마의욕심이 너무 과해서 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아이가 어릴적 그저 웃어서 좋았고 밥먹는 모습도 이뻤고 오줌 똥 누는것도 이뻤습니다 아프면 아파서 가슴아팠고 속상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 제가 엄마가 아니라 학부모가 되어가고 있는것을 보았습니다 그래서 고치려고 노력을 하는데 잘 안되고 지금은 사춘기옆에 접어든 딸은 엄마말 한마디 한마디에 말대꾸를 하는데 저는 딸이랑 아주 친밀감이 좋다고 느꼈는데 아닌가봅니다 그동안 저만의 생각이었던 모양입니다.아이는 아닌가 봅니다 그래서 엄마인 저는 요즘 힘들다라는 말을 입에 달고있는지 그래서 또 반성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숲노래 2014-01-21 10:29   좋아요 0 | URL
어머니나 아버지 아닌 '학부모'라는 이름이 될 적에는 그렇게 될 수 있겠네요.
아이를 학교에 보내서 무언가 배우도록 하더라도
늘 아이를 믿고
서로 즐겁게 어깨동무하면서 함께 살아가는 고운 숨결이라는 마음을
찬찬히 보듬으시면
언제나처럼 예쁜 하루 되리라 믿어요.
아이도 어머니한테 말대꾸 아닌
사랑스러운 말을 나누면서
하루를 즐기고 싶으리라 생각해요.
올해 아름답게 누리시기를 빌어요.
 

산들보라 마당 마실

 


  누나는 혼자서 만화책을 본다며 안 놀아 준다. 누나는 바깥이 춥다며 안 나가겠다고 한다. 산들보라는 혼자 씩씩하게 고무신을 꿰고는 마당을 빙글빙글 돌면서 논다. 바람이 잔잔해 이불을 말리니, 이불 사이에 들어가서 혼자 놀다가는, 마당에 있는 이것저것 들추고 뒤집으면서 빙글빙글 웃는다. 네 살이 되니 가끔 혼자 마당을 마실하기도 하고, 키가 자라 대문도 혼자서 열어 보고, 세발자전거도 굴려 보다가는, 볼 것도 만질 것도 즐길 것도 자꾸자꾸 늘어나는구나. 4347.1.21.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