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한 마리

 


  읍내마실을 한다. 설에 가져갈 선물을 생각하다가 ‘고흥에서 쉽게 구경하지만 음성에서는 구경할 수 없는’ 것으로 하면 좋겠다고 느낀다. 읍내 저잣거리 한켠에서 할매들이 숯불에 물고기를 굽는다. 숯불구이 물고기라 할 텐데, 고흥에서는 제사상에 으레 올린다고 한다. 여느 때에는 얼렸다고 따뜻하게 덥히기만 하면 어느 때라도 먹을 수 있다고 하니, 며칠 얼린 뒤 잘 싸서 들고 가면 되리라. 음성 할머니 할아버지한테 가져갈 몫을 빼고, 집에서 아이들 먹일 몫을 챙긴다. 밥상을 차리며 물고기를 올린다. 얼마만에 밥상에 ‘고기’가 올라왔는지 모르겠으나, 아이들이 넙죽넙죽 잘 받아먹는다. 고기를 너무 안 주었나? 그렇지만 얘들아, 설이 되어 며칠 할머니 밥상을 받으면, 끼니마다 고기가 오른단다. 우리는 시골집에서만큼 단출하게 풀내음 밥상을 누리자. 아무튼 아직 두 아이는 젓가락으로나 손가락으로나 고깃살을 바르지 못한다. 내가 손으로 척척 발라서 두 아이 밥그릇에 골고루 얹는다. 두 아이는 밥그릇에 얹은 고깃살을 바지런히 집어서 먹는다. 네 살 작은아이는 물고기 껍데기가 조금 있으면 못 씹는다. 한참 씹다가 뱉는다. 그래, 너한테는 이 맛있는 껍데기를 못 주네. 일곱 살 큰아이한테만 껍데기를 조금 주고 나머지는 내가 먹는다. 아이들은 고깃살을 먹고 어버이는 껍데기를 먹는다. 손으로 고깃살을 바르고 가시를 훑다가 예전 모습을 그림처럼 떠올린다. 우리 어머니도 형과 내 밥그릇에 손으로 고깃살 발라서 얹으셨고, 이녁은 껍데기를 드셨다. 그래, 어른들은 껍데기를 먹는구나. 어릴 적에 고깃살을 실컷 먹었을 테니, 어른이 되면 껍데기를 실컷 먹으면 되는구나. 4347.1.27.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아빠 육아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산들보라 무엇을 보니

 


  아이가 눈을 동그랗게 뜨고는 무언가 바라볼 적에 나도 그곳을 쳐다보곤 한다. 가만히 앉아서 아이 키높이로 어느 한곳을 바라본다고 헤아려 보기도 한다. 아이 눈으로 무엇을 볼까. 아이 눈높이로 무엇이 보일까. 아침저녁으로 뜨고 지는 해는 아이 눈길에 어떻게 스며들까. 이곳은 아이한테 어떠한 삶자리가 되는가. 이곳에서 아이는 어떠한 꿈을 꽃피우면서 살아가는가. 늘 묻고 다시 물으면서 오늘 하루 누리는 길을 생각한다. 4347.1.28.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작대기놀이 1 - 날아 날아

 


  마당에서는 무엇이든 놀잇감이 된다. 마당에서는 무얼 하든 놀이가 된다. 빙글빙글 돌며 놀이요, 바닥에 폴싹 주저앉아 놀 수 있다. 하늘바라기를 하며 놀고, 나무바라기를 하면서 논다. 굵은 대나무 작대기 하나를 손에 쥐고는 이 녀석으로 무엇을 할까 살짝 생각하던 산들보라는 가랑이 사이에 끼우고는 ‘날아 날아’ 놀이를 한다. 노는 동안 놀이만 생각할 뿐, 옆에 누가 있는지 아랑곳하지 않는다. 좋아. 대나무 작대기를 타고 훨훨 날아 지구별을 한 바퀴 돌아 보렴. 4347.1.28.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놀이하는 아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골아이 44. 꽃 어디 갔어? (2014.1.24.)

 


  마당을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놀던 산들보라가 문득 뒷간 앞에 쪼그려앉아서 “여기 구멍 어디 갔어? 여기 꽃 어디 갔어?” 하고 혼잣말을 한다. 뒷간 문턱에 조그맣게 구멍이 있고, 이 구멍에 해마다 제비꽃이 피고 진다. 이 자리에 있던 제비꽃풀이 겨울에 시들고 나서 사라졌는데(뽑았으니까) 예전 모습이 떠올랐는가 보다. 이제 두 달만 기다려 보렴. 두 달 뒤에 그 자리에 다시 제비꽃풀 싹이 터서 이윽고 보라빛 조그마한 꽃송이가 벌어질 테니. 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동생이 생기면 큰아이는 사랑을 동생한테 빼앗길까. 동생을 낳으면 어머니와 아버지는 사랑을 동생한테만 쏟을까. 하나한테 쏟던 사랑이 둘이나 셋으로 나누어진다고 할 수 있을까. 얼핏 본다면, 아이가 하나일 때와 둘일 때에 사랑이 반반이 되는 듯 여길 만하지만, 막상 아이가 둘이면, 둘한테 쏟는 사랑은 고스란히 ‘하나 + 하나’이지 ‘반 + 반’이 될 수 없다. 아이가 셋일 적에도, 넷일 적에도, 다섯일 적에도 이와 같다. 사랑할 사람이 둘이요 셋이요 넷이요 다섯이지, ½이나 ⅓이나 ¼로 흐르지 않는다. 그림책 《나도 동생이 생겼어요》에 나오는 형아 고양이는 땀을 뻘뻘 흘리면서 다섯 동생을 보살핀다. 천천히 천천히 사랑을 깨닫는다. 4347.1.28.불.ㅎㄲㅅㄱ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나도 동생이 생겼어요- 아기고양이 그림책
오노 요코 글, 이모토 요코 그림, 송해정 옮김 / 지경사 / 1998년 8월
4,500원 → 4,050원(10%할인) / 마일리지 220원(5% 적립)
2014년 01월 28일에 저장
절판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