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어린 놈 : 법무부장관인 한동훈 씨를 가리켜 민주당 여러 사람이 “어린 놈!”이라고 읊었단다. 한동훈 씨는 1973년에 태어났으니, ‘쉰 살’이나 ‘먹은’ 사람이다. 쉰 살이 어린 놈인가? 쉰 살이란 나이를 먹은 사람을 어린 놈이라고 일컫는다면, 마흔 살이나 서른 살은 뭔가? 스무 살이나 열 살은 뭘까? 사람은 나이가 많대서 아름답거나 어질거나 착하지 않다. 사람은 나이가 많기에 똑똑하거나 바르거나 사랑스럽지 않다. 한 해를 묵으면 누구나 저절로 먹는 나이일 뿐이다. 나이를 먹기에 일을 잘 하지 않는다. 나이를 먹기에 말을 제대로 하거나 글을 눈부시게 쓰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나이로 위아래를 가르려 한다면 ‘꼰대’나 ‘늙은이’일 수밖에 없고, 힘꾼(권력자)이란 뜻이다. 우리가 스스로 어른이라 여기려면, 아이한테서 배울 줄 알 노릇이다. ‘나어린’ 사람한테 고개를 숙일 줄 알아야 ‘익은 벼’인 ‘어른’이다. ‘낫살’로 내려다보는 이는 안 배우는 사람이요, 안 익은 사람이며, 철없는 사람이다. ‘선 자리’가 다르기에 미워하거나 싫어하기만 한다면, 그야말로 틀려먹은 굴레이다. 어느 고장에서 살든, 어느 무리에 있든, 어느 일을 맡든, 어느 나이라 하든, 할배 할매는 할배 할매답게 아이들(어린 놈)한테서 배워야 어른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부디 철들자. 제발 책다운 책 좀 읽자. 2023.11.15.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다물다 2023.11.4.흙.



어린이는 쉬지 않아. 어린이가 쉴 때란, 몸을 잊고서 꿈으로 갈 때란다. 어린이는 눈을 뜨자마자 놀고, 노래하고, 뛰고, 노래하고, 이것저것 다 만지고 보고 노래하고, 새로 놀고, 실컷 노래하고는, 폭 고꾸라지듯 꿈길로 간단다. 어린이는 그야말로 이 별을 하나부터 끝까지 누리고 싶어서 태어났어. 어린이한테서 끝없는 수다를 뺀다면 아무것도 안 남는다고 할 수 있어. ‘입을 다무는 아이’란 ‘빛을 잃은 아이’란다. 아이들은 웃고 떠들고 뛰면서 자라게 마련이야. 무엇이든 묻고 하고 겪고 다가서고 깨우지. 두려움도 걱정도 무서움도 불길도 근심도 아닌, 오직 초롱초롱 별빛처럼 궁금하기에 마주하고 품는단다. 그런데 너희 사람터에서 어린이는 어떤 모습이니? 길에서 어린이가 자취를 감추네? 혼자 버스를 타거나 돌아다니는 어린이는 다 어디 갔을까? 걱정없이 씩씩하게 보고 듣고 겪으면서 온누리를 맑고 밝게 바꾸어내는 아이는 어디 갔을까? 모든 곳에 아이가 있을 노릇이야. 모든 곳은 아이가 드나들 수 있어야 해. 아이가 못 드나들거나 아이를 막는다면, 그곳은 죽음수렁이지. ‘몇몇 나이든 사람’만 드나들거나 놀 수 있는 데가 끔찍하게 넘치는구나. 아이들이 누빌 수 있는 데가 아예 사라지다시피 하네. 아이들이 입을 다문다면, 아이들 입을 틀어막고 심부름으로 길들인다면, 아이들이 실컷 얘기꽃을 피우지 않는다면, 너희 모두 찌들고 주눅들고 시름시름 앓는단다. 눈을 뜨고 귀를 열고서 ‘어린이 수다’를 들으렴. 어린이 말을 들어야 어른이 된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대차게 2023.11.5.해.



대나무는 대나무로 자라. 후박나무는 후박나무로 자라. 소나무는 소나무로 자라고, 배롱나무는 배롱나무로 자라. 모든 나무가 다르니까 다 다른 자람결이야. 너희 몸은 나무보다 짧게 살지는 않지만, 너희가 스스로 살림빛을 그리지 않을 적에는 나무뿐 아니라, 들풀보다 짧게 살겠지. 모름지기 ‘알’이란 ‘알차’야 알이야. 속이 차지 않고서 껍데기만 번지르르 있다면, 어느 누구도 ‘알’이라 여기지 않아. ‘껍데기·빈껍데기’라고 이르지. 대나무라면 대차게 서야겠지. 소나무라면 솟아나듯 서야겠지. 배롱나무라면 배롱배롱 밝게 꽃다울 노릇이고, 후박나무라면 흐드러지듯 밝을 노릇이야. 겉모습만으로 ‘사람’이라 할 수 없지. 사납고 어리석어 사랑을 잊고 살림을 등진 몸짓이라면, ‘허울은 사람인 척’이되, 조금도 ‘사람답지’ 않아. 아무렇게나 뒹구는 쳇바퀴는 ‘하루’가 아니고 ‘삶’이 아니란다. 꿈을 그리고 사랑을 펴는 오늘을 스스로 그려서 펴고 누리고 나눌 적에 ‘하루’이자 ‘삶’이야. 사랑이 없으면 ‘알 없는 껍데기’야. 사랑을 품고 피우기에 ‘알찬’ 숨결이고 ‘대찬’ 몸짓이지. 너는 사람이니? 사람인 척이니? 너는 사랑이니? 사랑인 척하며 꾸미는 껍데기나 허울이니? 아직 껍데기를 뒤집어쓴 몸짓이라면, 오늘 네가 뭘 하는지 곰곰이 보렴. 네가 한 발짝을 내딛는 몸짓인지, 갈팡질팡 헤매는지 보렴. 헤매도 되고 멈춰도 돼. 어지러울 수 있고, 어쩔 줄 모르면서 맴돌 수 있어. 그저 모든 네 모습을 스스럼없이 마주하고 바라보다가 포근히 안을 적에 조그맣게 반짝이면서 사랑이라는 씨앗이 싹터.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열 살 2023.11.6.달.



다섯 살하고 여섯 살은 확 달라. 떠올려 봐. 네가 다섯 살에서 여섯 살로 접어들 적에 얼마나 거듭났는지 되새겨 봐. 일곱 살하고 여덟 살은 아주 달라. 생각해 봐. 네가 일곱 살을 마치고 여덟 살에 이르던 날에 얼마나 반짝였는지 곰곰이 짚어 봐. 아홉 살하고 열 살은 가없이 달라. 그리렴. 네가 아홉 살에서 열 살로 폴짝 뛰던 무렵, 네 어깻죽지에서 날개가 어떻게 돋았는지 그리렴. 날개는 눈으로도 볼 수 있지만, 먼저 마음으로 느껴서 알 노릇이야. 철이 들려고 하나씩 여미고 엮다가 열어젖혀서 빗방울처럼 내리거나 바람줄기처럼 흐르려고 하는 ‘열 살’이라는 나이에, 넌 무엇을 하거나 했는지 차근차근 헤아리렴. 숨쉴 틈이 없으면 숨막히겠지. 숨을 쉬도록 네가 스스로 틈을 내거나 짬을 내지 않으면 숨가빠. 왜 바쁘겠니? 네가 바쁘게 몰아치거나 밀어대면서 하늘을 안 보고, 나무를 안 타고, 꽃내음을 안 맡고, 나비하고 안 놀고, 새소리를 안 듣고, 눈뭉치를 안 굴리잖니? 누가 시키기에 바쁠 수 없어. 스스로 하려는 마음을 일으키지 않으니까, 둘레에서 자꾸 시킨단다. 그러니까, 열 살이란 나이는, 네가 스스로 하루를 여는 때야. 스스로 그리고 스스로 짓는 첫걸음이야. 스스로 해보며 스스로 배우는 첫발짝이야. 스스로 누리고 스스로 나누는 첫날이야. 한꺼번에 하지 마. 하나를 하렴. 하나를 하고서 새로 하나를 하렴. 눈과 귀와 코와 입과 마음을 열렴. 생각을 열고서 훨훨 날아 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무릎 2023.11.7.불.



‘바보같은’ 사람하고 ‘어리석은’ 사람은 달라. 아직 눈뜨는 길로 나서지 않으니 바보같이 보이고, 얼뜨고 엉성하게 굴기에 어리석어 보여. 눈뜨는 길을 이제부터 보려고 한다면, 그동안 스스로 무엇을 못 보거나 안 보면서 ‘감은눈’이었는지 알아차리면서 수줍지. 얼뜬 사람은 눈뜨려는 마음이 없을 뿐 아니라, 눈뜬다는 마음이 아예 없이 뒹굴기에 스스로 ‘감은눈’인지 ‘갇힌눈’인지도 못 알아채. 무릎에 손을 얹어 봐. 너는 네 손바닥을 무릎으로 느끼니? 너는 네 무릎을 손바닥으로 느끼니? 네 손바닥은 무릎이 여태 무엇을 해왔는지 알아보니? 네 무릎은 손바닥이 이제껏 무엇을 해왔는지 느끼니? 너는 손바닥을 부드러이 뻗어서 무릎을 포근하게 감싸며 달랠 수 있어. 너는 무릎에 손바닥을 가만히 대서 손바닥을 따뜻하게 다독일 수 있어. 손을 써서 몸 곳곳을 주무르지? 그때 네 몸은 손이 닿는 데마다 풀릴 뿐 아니라, 네 몸 곳곳에 대는 손도 함께 풀려. 몸은 맞닿으면서 서로 잇고 풀어낸단다. 들을 이루는 풀을 생각해 봐. 모든 풀은 흙을 함께 품어. 뿌리가 서로 만나서 부드러이 얽지. 여러 풀뿌리는 한 덩이 흙을 나란히 품으면서 함께 튼튼하단다. 바람이 풀잎을 살살 어루만지고, 풀잎은 나무한테 풀빛을 나눠줘. 냇물은 돌과 모래를 살살 쓸어주고, 돌과 모래는 냇물한테 돌빛과 모래빛을 건네주지. 혼자서 주는 일은 없어. 너희 몸도 마음도 다 다른 하나로 얽히고 만나서 스스로 돌아보고 스스로 다스린단다. 마음을 읽고 몸을 입고 생각을 이으니, 네 넋은 여기에 있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