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여름숲 2025.6.4.물.



‘여름숲’이라고 해도 ‘첫여름숲’과 ‘한여름숲’과 ‘늦여름숲’이 달라. ‘첫여름숲’에서도 ‘앞·첫여름숲’과 ‘가운·첫여름숲’과 ‘뒷·첫여름숲’이 다르지. 곰곰이 보면, 한 해를 이루는 365라는 날마다 숲결이 달라. 사람도 날마다 다르지. 늘 배우는 사람은 늘 배우는 매무새를 나아가며 달라. 배우고 익혀서 새로 펴는 사람은, 늘 배우고 익혀서 새로 펴는 길대로 살아가며 달라. 안 배우고 안 익히는 사람은 쳇바퀴로 힘쓰느라 낡고 늙어서 죽어가는 빛이 새삼스럽도록 다르지. 넌 똑같이 생긴 구름을 본 적 있니? 넌 똑같이 내리는 비나 눈을 본 적 있니? 해와 별도 어느 하루조차 안 똑같아. 모두 늘 움직이고 숨쉬면서 새로 나아가는 빛이란다. 그래서 사람이라는 몸을 입고서 ‘살림빛’으로 걸어가는 삶이 있고, ‘죽음빛’으로 물드는 굴레가 있어. 그저 똑같이 곧거나 반듯하기만 한 하루라면, 배울 수도 익힐 수도 바꿀 수도 가꿀 수도 없어. 그저 똑같으니 ‘새’가 없어서 ‘샘물’도 ‘생각’도 없거든. 여름숲을 눈여겨보면, 닮지만 다른 잎빛이 어떻게 짙푸르게 물드는지 알 수 있어. 새봄에 갓 돋는 잎빛은 나무마다 다른데, 새여름 잎빛도 나무마다 달라. 새가을에 물드는 잎빛도 다를 뿐 아니라, 새겨울에 앙상한 가지빛까지 나마무다 다르단다. ‘철갈이’를 하는 푸른옷마냥, 사람은 ‘철들기’를 하면서 마음을 갈고닦으면서 몸을 가다듬어. 천천히 물이 들면서 찬찬히 빛이 번지는 숲은, 바로 풀과 나무가 이루는데, 사람은 마음에 온갖 생각을 반짝반짝 빛숲으로 이룬단다. 네(내) 빛숲이 자라는 길을 보렴.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냄비 2025.6.5.나무.



네가 사는 나라에서는 ‘솥’을 썼어. 묵직하고 커다란 살림이란다. 너희 이웃나라에도 솥이 있는데, 가볍고 얇은 솥인 ‘냄비(なべ)’를 즐겨썼어. 너희 나라 사람들은 묵직하고 큰 솥은 다루거나 씻거나 나르기 힘들다고 여기면서 어느새 ‘솥’을 버리고서 ‘냄비’라는 ‘일본 얇은솥’으로 바꾸었단다. 그런데 가만히 짚어 보렴. 끓이는 살림이라면, 크기나 빛깔이나 모습을 바꾸어도 ‘솥’이지 않아? 왜 말까지 덩달아 버릴까? 모든 벌레는 다르지만 ‘벌레’라는 이름이고, 모든 꽃은 다르지만 ‘꽃’이란 이름이야. 너희 나라하고 아주 먼 나라에서 들여와도 그저 ‘나무’라는 이름이지. 그러니까 이름을 생각할 줄 알아야 해. 왜 어느 이름은 그대로 가는데, 어느 이름은 슬그머니 바꿀까? 더 들여다보면 요사이는 ‘플라워’나 ‘보태니컬’처럼 대놓고 바깥이름을 아무렇지 않게 쓰기도 하고, 이런 이름이어야 멋스럽거나 뜻있다고 여기기도 해. 비닐을 덮는 시골사람조차 ‘덮기’가 아닌 ‘멀칭’이라는 영어 이름을 쓴 지 한참이야. 들숲에 돋는 풀을 왜 ‘풀’이라 하지 않고서 ‘잡초·약초·야생초’나 ‘식물’이라고 할까? 풀을 ‘풀’이라 하지 않을 적에는, 사람들 스스로 풀빛과 풀내음과 풀살림을 잊다가 잃어. 솥을 ‘솥’이라 하지 않을 적에는, 바로 너희 스스로 밥살림과 집살림을 다 잊고 잃는 굴레로 나아간단다. 이름을 잊거나 버릴 적에는 ‘임·있음’을 잊거나 버려. “내가 나로 있는 이곳”을 잊고 잃는단다. 너는 무엇을 보겠니? 너는 어디로 가겠니? 너는 어떻게 있겠니? 너는 어떤 ‘임’으로 서겠니? 너는 살림을 짓고 이루겠니? 아니면 살림시늉으로 가겠니?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나한테 책이란



나한테, 어린 여덟 살 적에

책이란 뭔지 모를 반듯한 종이묶음

“저거 헌것(폐품)으로 내면 무게 나가겠다!”


나한테, 이제 열 살 적에

손수건 챙겨 곱게 읽는 동무를 만나

책이란 참 놀라운 꾸러미


나한테, 어느새 열여덟 살 적에

어른이란 먼발치에 없는 줄 알려주는

푸른숲이 고스란한 나무 한 그루


스무 살을 넘으면서는 이야기동무

서른 살을 지나면서는 살림이웃

마흔 살을 거치면서는 사랑씨앗

쉰 살을 만나면서는 내 발자국


2025.6.8.해.


ㅍㄹ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노래꽃

시를 씁니다 ― 51. 까맣다



  “까맣게 모른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하얗게 안다”고도 할까요? 그렇지는 않아요. “하얗게 모른다”를 비슷하게 씁니다. 머리가 “하얗게 비었다”처럼 쓰니, 이때에는 하나도 모른다는 뜻입니다. 까맣게 모른다고 할 적에는 온통 까만 빛깔이라 이 빛이나 저 빛을 가릴 수 없는 나머지 도무지 모르겠다는 뜻입니다. 다시 말해서 “까맣게 모르다 = 이도 저도 가릴 수 없이 밤빛이 되면서 헤아리기 어렵다”는 소리요, “하얗게 모르다 = 몽땅 사라져서 아무것도 없는 나머지 아예 생각조차 할 수 없다”는 소리입니다. 사람들이 우글거리기에 “까맣게 모여든다”고 합니다. 참으로 많은 ‘까망’입니다. 밤하늘을 채우는 별인데, 별을 누리는 밤이란, 어둠이란, 고요하게 모두 그득그득 채우면서 새롭게 깨어나려는 빛깔을 나타내지 싶습니다. 그래서 아기는 ‘어두운 어머니 품’에서 고요하면서 아늑하게 열 달을 살아낼 테고, 어머니 품을 떠날 적에 눈부신 빛(하양)을 찾아서, 아직 아무것도 없는 텅 빈 데이지만, 이 텅 빈 데를 저 나름대로 새로운 이야기(빛)를 하나씩 채워서, ‘가득 채운 하얀 누리’로 거듭나게 하려는 길을 나서는 셈이로구나 싶습니다. 까만 눈알이란 버찌나 먹머루 같은 눈알입니다. 까만 글씨란 이제까지 새하얗던, 텅 빈 종이에 새롭게 이야기를 그려서 넣는, 우리 생각을 이루고 싶은 꿈을 밝히는, 흰곳을 밝히는 까만글이란, 둘이 새삼스레 어우러지는 놀이판이지 싶습니다. 흰종이에 까만글이듯, 까만밤에 흰별입니다.



까맣다


그만 까맣게 탄 빵

뒤꼍 구덩이에 놓으니

새까맣게 모여드는 파리

배불리 잔치한다


저토록 까맣게 높다란 봉우리

언제 다 오르나 하면서

새까맣게 타들어가는 마음

이제 내려놓아 봐


걱정이라면 까맣게 잊자

해보면 모두 해내니까

여태까지 새까맣게 몰랐어도

오늘부터 하얗게 배우지


까만 눈이 되어 기다리기도

새까맣게 질려서 고단하기도

그렇지만

까만 버찌 먹고서 기운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시를 씁니다 ― 50. 나락서점



  인천에서 나고자라고서 서울에서 일자리를 찾아서 지내던 2003년 여름 무렵까지는, ‘나락’이라고 하면 으레 한자말 ‘나락(那落)’부터 떠올렸습니다. 2003년 가을부터 시골에 깃들면서 일터와 삶터를 바꾼 뒤로는, 누가 ‘나락’이라고 하면 ‘씨나락’이며 ‘나락베기’부터 떠올립니다. 살아가는 터가 다르면, 살아가는 말이 바뀝니다. 살림하는 자리가 어디에 따라서, 살림을 그리는 말이 다릅니다. ‘나락’은 ‘낟알’을 가리킵니다. ‘낱’으로 있는 ‘씨알’이라서 ‘낟알’이요 ‘나락’입니다. ‘씨나락’은 올해에 거두어서 이듬해에 심을 ‘볍씨’로 삼는 알입니다. 또는 지난해에 거두어서 올해에 심을 볍씨인 낟알입니다. 부산에 마을책집 〈나락서점〉이 있습니다. 왜 ‘나락’이라는 이름일는지 아직 여쭈지 않았습니다만, 벼랑끝에서 아슬아슬하거나 힘겹거나 두려운 누구나 이곳에서 나긋나긋 마음을 달래면서 품을 수 있다는 뜻이 아닐까 하고 곱씹습니다. 그렇지만 저는 시골내기로 살아가는 터라 ‘나락’을 ‘낟알·씨나락’으로 느껴요. 올 한 해 푸짐하게 누리는 들빛인 낟알처럼, 이듬해에 새롭게 심어서 돌볼 낟알마냥, 우리는 누구나 씨앗 한 톨이니, 스스로 마음에 책이라는 낟알 한 톨을 심으면서 새롭게 피어나고 깨어나는 길을 찬찬히 나아갈 수 있다는 뜻으로 헤아려 봅니다. 책집지기님은 다른 뜻과 숨결로 책집에 이름을 붙였을 테지요. 나중에 책집마실을 새롭게 하면 그때 여쭈기로 하고, 부산 문현동 마을책집을 그리고 기리는 글을 끄적끄적 적습니다.



나락서점 (부산)


벼랑끝에 서면 무서워

그러나

네가 날 벼랑끝으로 몰면

나는 늘 별밭을 바라본다


낭떠러지 옆은 두려워

그런데

내가 널 낭떠러지로 밀면

넌 으레 나긋이 웃더라


벼락치는 밤에 눈 번쩍 떠

쭈뼛쭈뼛 머리카락 설 때면

비바람에 그저 춤을 추는

가늘며 곧은 벼포기 떠올려


볍씨 한 톨은 한몸 내놓고는

숱한 낟알 푸지게 이루더라

씨나락이란 살리는 씨알같아

나무처럼 나로 서는 낱인걸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