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정복 : ‘내 것’이 아직 아니니, 나로서는 어느 것도 쓸 수 없다. ‘네 것’이라면 네가 쓰겠지. 너한테서 빼앗는대서 내가 쓸 수는 없다. 내가 너한테서 빼앗으면 ‘내 소유’라는 이름으로 둘 수 있더라도, 껍데기(허울·겉)를 곁에 둘 뿐이니, 이 껍데기로는 제값·속값을 못한다. 제값도 속값도 못하는 껍데기는 내 것이 되지 않는다. 거꾸로 ‘내 소유’가 아닌 ‘네 소유’가 되도록 내 것을 너한테 빼앗겼다고 하더라도, 이 또한 ‘정복’이 아닌 ‘강탈·강압’일 뿐이니, 너는 나한테서 빼앗은 그 껍데기(허울·겉)만 붙잡고서 나대는 셈이다. 우리가 저마다 ‘내 것’으로 삼는다고 할 적에는, 우리 손아귀에 거머쥐도록 한다는 뜻이 아니다. 우리 스스로 온마음을 다해서 지켜보고 가꾸어서 늘 새롭게 빛나도록 돌보는 길을 간다는 뜻이다. 거머쥐거나 빼앗으면서 무릎을 꿇려 보았자 껍데기일 뿐이다. 마음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하고, 살림을 다룰 줄 알아야 하고, 사랑을 돌볼 줄 알아야 한다. 이렇게 할 적에는 ‘우리 것(내 것)’을 오롯이 누리고 편다. 1997.8.14.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1997년 한여름.

군대에서 이런 쪽글을 남겼구나.

삶죽음 사이를 날마다 오가면서

안 미치고 제넋을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고 생각하던

어느 날

중대장과 행보관 꼬락서니를 보고서

남긴 글이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반 2023.10.9.달.



‘새’라고 한 마디만 할 적에 무엇이 떠오르거나 보이니? 뭔가 물이나 바람이 ‘샌다’고 느끼니? 노래하고 나는 ‘새’를 살피니? 너하고 나라는 ‘틈’을 나타내는 ‘사이’를 바라보니? 이제까지 없다가 처음으로 나타나는 ‘새로운’ 길을 나아가니? ‘반’이라고 하면 무엇을 떠올리거나 보거나 느끼니? ‘반반하다’고 여기니? ‘반들반들’하거나 ‘반짝반짝’하는 결을 보니? ‘반갑’게 맞이하는 몸짓이니? 마음이 어느 쪽으로 즐겁고 밝게 기우는 ‘반하다’로 움직이니? 또는, 여럿이나 둘로 가르거나 모이는 자리인 두 가지 ‘반(班·半)’을 그릴 수 있어. 어느 ‘반’으로 가더라도 모두 너 스스로 새롭게 맞이하는 하루이고 살림이야. 문득 좋거나 싫다고 따질는지 모르는데, 따지면 따질수록 스스로 쪼그라들거나 고단하단다. 흐린 날씨는 흐린 맛이고, 환한 날씨는 환한 맛이고, 비나 눈이나 우박이 오는 날은 이처럼 내려오는 날이야. 다 다르게 하루가 오고, 언제나 새롭게 오늘을 맞이한단다. 누구나 물처럼 흐를 수 있어. 누구나 반짝이듯 생각할 수 있어. 누구나 샛길로 빠질 수 있어. 누구나 사이좋을 수 있어. 어느 쪽이든 대수롭지 않아. 새랑 노래하든 새처럼 노래하든 네 마음이 가는 길을 따라서 가지. 새노래에 귀를 닫든 새를 안 쳐다보든, 네 마음을 바꾸는 하루야. 노을을 품듯 놀이를 품기에 모든 앙금에 티끌에 고름을 풀어내면서 마음을 놓으니 노래가 저절로 흘러. 노을을 등지고 놀(너울·물결)을 멀리하니까, 스스로 풀거나 맺는 길을 잊은 채 앙금·티끌·고름이 깊어가고, 삶에 노래가 없어. 틈이 없으면 숨이 막힌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밤하늘 2023.10.8.해.



팔월이 저물 즈음 맨 먼저 구름결을 읽고서 훌쩍 바람을 타는 제비가 있어. 구월이 무르익어 문득 구름빛을 느끼고서 가볍게 바람을 타는 제비가 있어. 시월로 들어서고서 드디어 구름길을 헤아리고서 힘껏 바람이 되는 제비가 있어. 십일월에서야 꽁무니로 구름을 따라가는 제비가 있을 테지. 이 모두 제비이고, 날갯짓이고, 새길이야. 언제 어떻게 날아도 제비야. 어느 나라 어느 고장에 어떻게 둥지를 틀어도 제비야. 너희는 나라를 가른 채 살지만, 제비는 제비로서 살아간단다. 나무한테 나라가 있니? 민들레한테 종교가 있니? 달팽이한테 학교가 있니? 꽃한테 대통령이 있니? 곰한테 아파트나 자동차가 있니? 냇물과 바다와 하늘에도 나라가 없고, 장관이고 교장·교감·교사가 없어. 그러나 모두한테는 마음이 있고, 숨결이 있고, 빛이 있어. 마음·숨결·빛을 가꾸면서 사람 곁이나 사이에 깃드는 동안 사랑을 느끼고 배우고 나누지. 낮하늘에 무엇이 있니? 밤하늘에 무엇이 있지? 햇빛이 밝아 별빛을 녹인다고 해서 별이 없을까? 해가 진 밤에 별빛만 초롱하기에 해가 없을까? 가을이 깊어 감나무에 잎이 다 져도 감나무가 없을까? 개구리에 뱀에 두꺼비가 겨울잠을 자느라 안 보이기에 없을까? 너희가 오늘 서로 만나기까지 모르는 사이였기에, 서로 ‘없는 사람’이었을까? 네가 없다고 여기는 마음이니 눈빛을 못 틔운단다. 마음을 눈으로 못 보기에 마음이 없을 수 없고, 쿨쿨 잠들었기에 넋이 없을 수 없어. 감추거나 가둔들 사라지지 않아. 오직 사랑이라는 숨결로 포근히 노래할 때라야만 모두 녹이고 풀어서 빛줄기로 바꾸어 낸단다. 물 한 모금도 바람 한 모금도 저마다 다른 빛줄기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귀뚜라미 2023.10.7.흙.



숲에 깃드는 사람은 숲이 품고서 풀어내는 기운으로 온몸을 적시면서 스스로 숲빛으로 나아가. 들에 깃드는 사람은 들이 펴면서 일으키는 기운으로 온몸을 감싸면서 스스로 들빛으로 깨어나. 서울에 깃드는 사람은 서울에 갇힌 불빛으로 온몸이 휩쓸리면서 스스로 굴레를 뒤집어써. 걱정·불길·짜증·두려움을 받아들이는 사람은 캄캄히 막힌 담벼락을 스스로 올려세우면서 죽음길에 잠겨. 귀뚜라미는 어디에 있을까? 둘레를 보렴. 여치나 방울벌레를 보았니? 메뚜기나 풀무치를 보았니? 귀뚜라미는 숲이나 들에만 깃들지 않아. 귀뚜라미는 이 푸른별에 깃들어. 넌 어디에 깃들어서 누구를 보고 무엇을 그리니? 온별누리라는 눈으로 보면, 너는 ‘아주 작은 해누리(태양계)’에 깃든 티끌만 한 까만씨앗 한 톨이야. 해누리라는 눈이나 푸른별이라는 눈으로 너를 보겠니? 이 눈빛으로 모든 것을 처음부터 다시 보겠니? 네가 보는 너는 어디에 있어? 귀뚜라미는 어떻게 숲이나 들뿐 아니라 서울이나 길가에서도 노래할 수 있겠니? 귀뚜라미한테는 스스로 노래하는 하루를 지어서 새빛으로 나아가려는 꿈이 삶으로 드러나지 않을까? 숱한 쇳덩이(자동차·버스·비행기)가 내는 소리에 휩쓸리니? 너를 스스로 숲빛노래로 감싸니? 넋을 잊거나 잃은 채 아뭇소리이든 그냥 다 받아들이니? 네가 걸어가는 길에 별빛이 드리우며 노래가 반짝반짝 흐르도록 가꾸니? 쟤가 풀죽임물(농약)을 뿌리니까 거기를 쳐다보느라, 너희 보금자리 마당에서 자라는 나무한테 말을 걸 줄 모르거나 잊니? 넌 네 이웃 귀뚜라미를 보기를 바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말꽃노래 20 곰네



풀을 안다고 하면

함부로 밟지 않고

마구 뽑지 않으며

죽음물을 안 뿌려


숲을 안다고 하면

섣불리 밀지 않고

부릉거리는 매캐한 길은

여기저기 깔지 않겠지


풀을 아니 꽃을 알고

나비 알고 나무 알고

비구름 알고 해별 알고

철마다 새빛 사랑하지


뭇숨결 우거진 숲에

예부터 살아온 곰네는

봄바람으로 사랑을 짓고

겨울눈으로 꿈을 그린다


2023.7.10.


← 웅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