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의 시간 감자의 시간 문학과지성 시인선 309
허수경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를 노래하는 말 302



서로 말을 배우며 평화롭다

― 청동의 시간 감자의 시간

 허수경 글

 문학과지성사 펴냄, 2005.10.14.



  진주말로 시를 지어 함께 실은 《청동의 시간 감자의 시간》(문학과지성사,2005)을 읽다가, 그냥 진주말로만 시를 실으면 한결 나을 텐데 하고 생각합니다. 굳이 서울말로 다시 적어야 하지 않아요.


  어쩌면 진주말을 진주나 경상도 사람 아니고서는 못 알아들을 수 있습니다. 아무렴, 그렇지요. 곡성말을 곡성이나 전라도 사람 아니고서는 못 알아들을 수 있어요. 그런데, 못 알아들으면 못 알아듣는 대로 귀를 기울이거나 눈을 크게 뜰 수 있습니다.



비님 나리시는데

노천밥집 안조로미 밥 드는데


이데는 자근 항구말

조갑데기 배드리

푸성귀소 많은 밥상드럼 들어와 있는 데


서콰내 사무드멘

서더먹케 싱경이무침 뒤더기던 손

들썩 들쏙 물회리 가게 되는 데 (항구마을―진주 말로 혹은 내 말로)



  진주말을 마음껏 쓸 수 있다면 이 고운 텃말을 수더분하게 쓰면 가장 좋으리라 생각합니다. 고장마다 텃말이 차츰 사라지거나 잊히는 까닭은 그 고장에서 오래도록 입에서 입으로 물려준 텃말을 그 고장 사람들 스스로 안 쓰기 때문이에요. 더욱이 글을 쓰는 분들 스스로 이녁 책이나 문학에 텃말을 안 쓰기 때문이고요.


  진주말이라서 더 아름답지 않습니다. 그러나 진주사람이 진주말을 하기 때문에 이 노래는 얼마든지 아름답습니다. 다른 고장에서는 넘볼 수 없는 말이요, 어느 누구도 따라할 수 없는 말입니다. 오직 한 곳에서 고이 흐르는 사랑으로 나눌 수 있는 노래입니다.



대구 덤버덩 국 끓이는 저녁 움파 조고곤 무시 숭숭덩

불근 고추가리 마늘 국에서 노닥 눈 헛파는 저녁이먼


어디 먼 데 가고 자파

먼 데 어느 멘지 몰로라 (대구 저녁국―진주 말로 혹은 내 말로)



  평화로 가려 한다면 낮고 작은 길을 걸을 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소꿉놀이를 하듯이 소꿉살림을 짓고, 소꿉마을이 되며, 소꿉집을 이루는 자리에는 언제나 평화가 흐른다고 느낍니다.


  커다랗게 올리거나 세우려고 하는 곳에는 좀처럼 평화가 깃들지 못해요. 커다랗게 올라서려는 곳에서는 자꾸 거머쥐거나 움켜쥐려고 하면서 총을 짓고 탱크를 짓지요. 미사일하고 전투기도 짓고요.


  작은 마을이나 집을 지키려고 하는 사람은 전쟁무기를 짓지 않아요. 호미 한 자루를 쥘 뿐입니다. 낫 한 자루로 풀을 벨 뿐입니다. 커다란 나라를 이루면서 울타리를 쌓기 때문에 전쟁무기를 짓고, 사람들을 군대로 끌어갑니다.



알 수 없는 거리에서 자라나는 아이가

꿈으로 들어왔다


아이는 총을 들고 아이는 군복을 입고

주머니에 박하사탕을 한 움큼 넣어달라고 했다 (그때)



  서울사람이 진주말을 배우는 자리에 평화가 흐릅니다. 부산사람이 광주말을 배우는 자리에 평화가 깃듭니다. 춘천사람이 평양말을 배우고, 의주사람이 대전말을 배우는 자리에 평화가 감돕니다. 서로서로 다른 고장을 가꾸어 온 사랑을 말 한 마디로 배우려 하기에 평화를 이룹니다.


  더 많은 군대나 더 커다란 전쟁무기를 휴전선 사이에 두기에 평화롭지 않아요. 서로서로 다르면서 같은 숨결이라는 대목을 바라보면서 말을 섞을 수 있기에 평화롭습니다. 진주랑 곡성이 어깨동무를 하고, 아이랑 어른이 손을 맞잡기에 평화로워요.



엄마

대포 소리가 저리도 가까운데

꽃 피는 소리가 들려요


얘야, 저건 오레안다꽃이 피는 소리란다

거리에서 자동차에 뭉개지면서 꽃이 우는 소리란다

그 자동차를 타고 가던 여인과 비밀경찰을 기억하니? (엄마)



  미국사람이 쿠바말이나 이라크말을 배우려 했다면 아무런 전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러시아에서 미국을 배우고, 일본에서 중국이나 한국을 배울 적에도 전쟁이 일어나지 않아요. 그리고 한국에서 일본도 중국도 미국도 러시아도 배우려 할 적에 전쟁이 일어날 틈이 없습니다.


  아주 작은 말 한 마디를 나누면서 평화입니다. 평화를 바라는 시인이라면 살며시 서울말을 내려놓고 고장말로, 텃말로, 마을말로, 사투리로 홀가분하면서 상냥하게 노래를 부를 수 있으면 좋겠어요. 마을 할매나 시골 할배 말씨로 신나게 노래를 부르면 좋겠습니다. 2017.8.22.불.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시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밥하면서 읽는 책 2017.8.20.


맛있고 즐겁게 밥을 먹자고 이야기를 하면서 밥상을 차린다. 우리 몸에 들어오는 밥한테뿐 아니라, 밥을 지어서 차리는 사람한테도 즐거움하고 고마움을 나타내는 말을 하자고 아이들한테 이야기해 본다. 우리 집에서는 내가 늘 밥을 차리니 ‘밥 지은 사람한테 고맙다는 말’을 굳이 안 하고 살았는데, 이러다 보니 아이들이 바깥에서 이웃님하고 밥을 먹을 때뿐 아니라, 할머니나 이모하고 밥을 먹을 적에도 할머니나 이모를 바라보지 않더라. 즐거이 차린 밥상맡에서 아이들이 수저질을 하는 모습을 지켜보다가 《경국대전을 펼쳐라!》를 펼친다. 경국대전이라니, 옛날 법을 펼친다는 이야기인데, 어린이 눈높이에 맞추어 옛날 법을 다루는 이야기가 꼭 옛날스럽지 않다. 오늘날 한국에 어떤 법이 있는가를 돌아볼 만하고, 오늘날 이 땅에서 법을 얼마나 법다이 지키는 살림을 이루는가를 헤아릴 만하다. 법은 사람이 지어서 사람을 아름답게 보듬는 길이 될까? 아니면, 법이라는 그물을 빠져나가는 이들이 있을까?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솔로 이야기 5
타니카와 후미코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7년 7월
평점 :
품절


혼자가 되려고 하지 않는다. 홀가분하고 싶을 뿐이다. 둘이 있어야 한다고 여기지 않는다. 즐겁게 살림을 지으면서 사랑을 속삭이고 싶을 뿐이다. 스스로 이루려는 꿈을 생각하면서 짝꿍을 사귄다. 함께 일구려는 보금자리를 헤아리면서 오늘 이곳에 있으려 한다. 머잖아 여섯째 권을 만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화유산을 지키는 사람들 - 오늘 만나는 우리 역사 생각을 더하면 12
이정화 지음, 송진욱 그림, 심준용 감수 / 책속물고기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책 읽는 삶 174


손수 짓는 살림이 바로 문화유산
― 문화유산을 지키는 사람들
 이정화 글
 송진욱 그림
 책속물고기 펴냄, 2017.6.5. 11000원


  다음 사람들한테 물려줄 만한 살림살이를 놓고 ‘문화유산’이라는 이름을 붙입니다. 다음 사람들이란 바로 어린이입니다. 이 땅에 새롭게 태어나서 자라는 어린이가 앞으로 어른이 될 무렵 넉넉히 누리거나 즐겁게 맞이할 만하도록 고이 간수하자고 하는 살림살이가 바로 ‘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어요.

  서울에 있는 남대문이나 수원에 있는 수원성이 문화유산입니다. 훈민정음이나 경주 첨성대나 팔만재장경이 문화유산입니다. 그리고 기와로 얹은 오래된 집이나 짚으로 지붕을 이은 시골집도 문화유산이지요. 오래된 도자기를 비롯해서 짚으로 엮은 숱한 세간도 문화유산입니다.


은성이 아빠는 유물을 발굴하고 연구하는 고고학자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은성이는 아빠가 무슨 일을 하는지도 몰랐다. 출장을 자주 가는 아빠가 집에 없는 날이 더 많은 게 그저 불만이었다. 하지만 얼마 전부터 은성이는 고고학자가 되어 아빠와 유물 발굴 현장에서 함께 일하고 싶다는 꿈을 갖게 되었다. (8쪽)


  어린이책 《문화유산을 지키는 사람들》(책속물고기,2017)은 우리 곁에서 크고작은 문화유산을 가꾸거나 지키거나 돌보거나 사랑하는 사람들 이야기를 찬찬히 들려줍니다. 언뜻 보자면 요즘 사회에서 그리 대수로워 보이지 않는 문화유산일 수 있다고 할 텐데, 찬찬히 들여다보면 그렇지 않아요. 슬기롭게 가꾼 살림살이가 있기에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살림살이를 지을 수 있어요. 오랜 살림살이가 있기에 이를 발판으로 삼아서 새로운 꿈을 키우는 길을 갑니다.

  예부터 종이를 얻거나 나무를 돌본 슬기를 오랜 ‘나무 살림살이’에 비추어서 오늘날 새로운 길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부터 흙이나 돌이나 나무나 짚만으로 튼튼하며 멋진 집을 지은 슬기를 비추어 보면서 오늘날 정갈하며 아름다운 집살림을 이루는 길을 엿볼 수 있습니다.


언제 찾아가도 깨끗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문화유산들은 그냥 지켜진 것이 아니에요. 오래도록 물려받은 문화유산을 그대로 다시 물려주기 위해 애쓰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에요. (42쪽)

“평생 모은 문화유산을 그냥 준다고요? 공짜로요? 그럼 할머니가 손해 보는 거 아니에요?” 또다시 시작된 태민이의 질문 공세에 할머니가 웃었다. “녀석, 숨도 안 찬 모양이네. 그동안 그림이며 도자기를 수집하느라 돈을 많이 썼으니 손해라고 할 수도 있지만 박물관에 기증하면 많은 사람들이 와서 보고 연구에도 보탬이 되니 더 좋은 일이지.” (68쪽)


  한쪽에서는 오랜 문화유산을 건사하고, 다른 한쪽에서는 오랜 문화유산에 깃든 이야기를 글로 쓰거나 말로 들려줍니다. 한쪽에서는 오랜 문화유산을 돌본다면, 다른 한쪽에서는 앞으로 새롭게 문화유산이 될 새로운 살림을 짓습니다.

  왜 그렇잖아요, 공장에서 수천만 개씩 똑같이 찍어낸 물건을 가리켜 문화유산이라 하지 않아요. 그러나 사람들이 저마다 품을 들이고 오랫동안 아끼면서 손수 지어낸 살림은 문화유산이라고 합니다.

  투박한 수저 한 벌이라 하더라도 우리가 손수 나무를 하고 깎고 다듬어서 지었다면, 얼마든지 문화유산이 되어요. 부채도 연도 베개도 문화유산이 될 수 있어요. 우리가 손수 지어서 즐겁게 누리는 살림을 적에는 ‘손때가 타는 문화유산’이 됩니다. 배냇저고리가 문화유산이 되지요. 색동저고리가 문화유산이 되어요. 누비옷이나 누비이불이 문화유산이 됩니다. 으리으리하게 올려세우지 않더라도, 우리가 날마다 만지고 쓰다듬는 자그마한 살림살이는 싱그러이 살아서 숨쉬는 따사로운 문화유산이 되지요.


“난 오늘 소원 하나를 이루는 거란 말이야.” “소원이 겨우 궁궐 지킴이였다고? 박물관장이 아니고?” “진짜 내 소원은 ‘문화유산 지킴이’로 살아가는 거야. 난 유물이나 유적이 정말 좋아. 이유는 모르겠지만 보고 있으면 그냥 막 가슴이 설레거든.” (84쪽)


  어린이책 《문화유산을 지키는 사람들》은 어린이한테 돋보이거나 놀랍다 싶은 이야기를 들려주려고 하지 않습니다. 잔잔하면서 차분한 이야기를 들려주려고 합니다. 유리 진열장에 꽁꽁 가두어 놓는 문화유산이 아니라, 우리 곁에서 늘 고이 흐르는 문화유산을 들려주려고 해요. 즐겁게 아끼고 기쁘게 나누던 작은 살림에서 피어난 문화유산을 들려주려고 합니다.

  달포에 걸쳐 장갑이나 모자나 조끼를 떠 봐요. 온누리에 오직 하나만 있는 멋진 살림을 지어 봐요. 돈 몇 푼을 내면 곧장 사들일 수 있는 장난감이 아닌, 어버이로서 넉넉히 사랑을 들여서 여러 날에 걸쳐 손수 깎은 놀잇감을 아이들한테 선물해 봐요.

  생각을 새롭게 북돋우는 발판이 되기에 문화유산입니다. 삶을 새롭게 사랑하는 길을 열기에 문화유산입니다. 오늘 이곳에서 살아가는 아름다움을 이웃하고 나누도록 이끌기에 문화유산입니다. 2017.8.21.달.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어린이책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누야샤 6
다카하시 루미코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책 즐겨읽기 716



마음을 담은 그릇

― 이누야샤 6

 타카하시 루미코 글·그림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펴냄, 2002.4.25. 4500원



“나는 너를 증오하며 죽었다. 혼이, 거기서 움직이질 않아. 네가 살아 있는 한, 난 구원받을 수 없어!” (18쪽)


‘카고메, 너는 그저 혼을 담은 그릇이 아니었던 게냐?’ (23쪽)


‘이젠 모르겠어. 구슬을 모아서 진짜 요괴가 되면, 그 다음엔 어떻게 하지? 요괴가 되면, 마음도 강해질까? 키쿄우도 잊고, 다시는 누구에게도 마음을 빼앗기지 않고.’ (52쪽)



  요괴인 아버지하고 사람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면 ‘반 요괴’에 ‘반 사람’이라고 여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무엇이 어떻게 반씩 갈리는가는 알 길이 없어요. 반씩 요괴이거나 사람이라기보다 ‘그저’ 요괴이면서 사람이라고 해야 할 뿐 아닌가 싶습니다. 어쩌면 요괴 비슷한 사람이라거나 사람 비슷한 요괴라고 할 수 있겠지요. 다만 요괴하고 사람 피를 함께 물려받았다고 해서 ‘참 요괴·아직 참이 아닌 요괴’로 가를 수 없다고 느껴요. 그러니 《이누야샤》에 나오는 이누야샤는 구슬을 다 모아서 ‘참 요괴’로 될 수 없는 노릇이지 싶습니다. 구슬을 다 모으지 않아도 이누야샤는 틀림없이 요괴요, 이러면서 틀림없이 사람이기도 합니다.


  이누야샤라는 아이 몸은 두 가지를 함께 담은 그릇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요괴 마음하고 사람 마음을 함께 담았지요. 요괴다이 살아가는 길하고 사람답게 살아가는 길을 한몸에 담았다고 할 만해요.


  아무래도 이 같은 길을 걸어간 앞선 요괴나 사람이 매우 드문 터라 이누야샤로서는 어지럽습니다. 헤맵니다. 길잡이가 안 보이니 어지럽습니다. 스스로 새로운 길을 걸어야겠는데 이 길도 저 길도 맞는 듯하다가도 아닌 듯하니 헤맵니다.


  그렇다면 오백 해라는 나날을 가로질러서 새로운 넋으로 태어난 카고메는 어떤 숨결일까요? 그저 옛사람 넋을 담은 그릇일 뿐일까요? 새롭게 태어나서 새로운 길을 걸어가려고 하는 작은 몸짓이 깃든 숨결은 아닐까요?


  한쪽 그릇인 이누야샤는 늘 헤매면서 길을 찾는 그릇입니다. 이누야샤하고 짝꿍을 이루는 카고메는 헤맬 일이 없이 스스로 씩씩하게 한길을 걸어가며 새롭게 사랑을 짓고 싶은 그릇입니다. 2017.8.21.달.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만화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