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밟을 일을 근심하다 창비시선 417
장석남 지음 / 창비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를 노래하는 말 317


똥 누는 아이 얼굴을 찍듯이 시를 그리는
― 꽃 밟을 일을 근심하다
 장석남, 창비, 2017.12.8.


오는 봄
꽃 밟을 일을 근심한다
발이 땅에 닿아야만 하니까 (입춘 부근/12쪽)


  아침이면, 아니 새벽이면 쌀을 씻습니다. 조용히 부엌으로 가서 고요히 하루를 헤아리면서 찬찬히 쌀을 씻어 불립니다. 아이들이 아침 일찍 일어나면 넌지시 말합니다. “우리 이쁜 아이들아, 누가 우리 아침에 맛있게 먹을 밥이 될 쌀을 씻어 볼까?”

  스스로 씻든 아이들한테 맡기든 곰곰이 돌아봅니다. 아침 아닌 새벽마다 쌀씻기가 번거롭거나 귀찮다면, 이런 마음으로 씻어서 불린 쌀로 지은 밥이 맛날 수 있을까 하고. 아이들한테 쌀씻기를 맡길 적에 낯을 찌푸리거나 성가시다는 말씨로 아이들을 부르면 아이들이 반길까 하고.


나는 꽃이 되어서 꽃집으로 들어가 꽃들 속에 섞여서 오가는 사람들을 맞고 오가는 사람들로 시들어, 시들어 (꽃집에서/23쪽)


  장석남 님 시집 《꽃 밟을 일을 근심하다》(창비, 2017)를 읽습니다. 시집을 손에 쥐고서 살며시 고개를 갸우뚱합니다. 꽃 밟을 일을 근심하다니, 어째서?

  봄이 와서 뒤꼍이며 마당이며 들이며 숲에 들꽃이 가득하면, 아이들 걸음걸이가 더디곤 합니다. 들꽃을 밟을까 자꾸 근심하지요. 이때 아이들한테 이야기합니다. “우리 꽃순아 꽃돌아, 들꽃은 한두 번 밟힌들 꺾이거나 눌리지 않아. 너희들이 근심하면서 그렇게 하면 외려 들꽃은 더 아프단다. 사뿐사뿐 걸으면 들꽃은 모두 아무 걱정도 근심도 없어. 가만히 앞을 보며 걸으렴.”


현관에 벚꽃 잎들 날려오니 자주 와서 꽃을 쓰는 노파여
꽃을 쓸어 깨끗이 하려는가?
하늘을 쓰는 노파여
옛날을 쓰는 노파여
꽃 쓸어 감추는 노파여
얼결에 마침 노을도 쓸어내는 노파여
꽃을 쓸어 밤을 맞는 노파여
꽃에게 이기지 못할 노파여 (꽃을 쓰는 노파여/26쪽)


  한겨울에 꽃을 자꾸 이야기하는 시집을 읽으며 봄꽃을 새삼스레 헤아려 봅니다. 봄에는 여름이 멀지 않았다고 여기고, 겨울에는 봄이 멀지 않았다고 여길 수 있어요. 12월을 지나 1월 한복판에 선다면, 우리 집이나 마을에서는 언제쯤 동백꽃이 터질까 하고 손을 꼽아 봅니다. 가을이 지나고 겨울로 접어들 무렵 차츰 맺는 동백꽃망울을 지켜보고 살살 만지면서 어쩜 이렇게 나날이 굵고 단단히 여무나 하고 설렙니다.

  추운 철이기에 따뜻한 꽃을 그립니다. 따뜻한 철이기에 시원하게 부는 바람을 그립니다. 열매가 익는 철이기에 온통 하얗게 덮는 눈을 그립니다. 돌고 돌면서 새로운 살림과 길을 그리는 하루입니다.

  골목에서 꽃이며 잎을 쓰는 할머니는 예부터 익힌 몸짓대로 정갈하게 보금자리를 가꾸는 모습이지 싶어요. 꽃을 한 군데에 모으면서 꽃이 더 도드라지게 한달 수 있고, 꽃을 가만히 쓸면서 꽃내를 한몸에 맞아들인달 수 있고요.


각색 양말을 빨아 방바닥에 널어놓고
나도 모르게 짝을 맞춰 그리해놓고
나는 그리해놓았다
전에는 없는 일이라 핸드폰으로 찍어놓고
나는 흐뭇하다 (다섯켤레의 양말/44쪽)


  시인은 모처럼 양말을 빨아서 짝을 맞추었다고 합니다. 아마 예전에는 이런 집안일을 곁님(가시내)한테만 도맡겼을 수 있습니다. 이제 이런 집안일을 살짝 거들면서 스스로 대견하구나 싶을 만합니다.

  참말 그래요. 아이들을 지켜보면서도 이 대목을 느껴요. 아이들은 심부름이 때로는 벅차다고 여기면서도 끝까지 해내면 얼마나 해맑게 웃으면서 두 손을 번쩍 치켜올리면서 춤추는지 몰라요.

  스스로 한다는 보람이란 놀라운 기쁨이라고 봅니다. 스스로 해내면서 온몸에 흐르는 짜릿한 기운이란 우리를 새롭게 살리는 웃음이지 싶어요. 스스로 잔빨래나 잔심부름을 하는 데에서 그치지 말고, 더 손을 뻗어 이 일 저 살림 건사해 본다면, 우리가 쓰는 시 한 줄은 한결 싱그러이 피어날 만합니다.


놀던 카메라를 팔고
눈이 멀었네
내 푸른 피의 사치였던 물건

첫아이의 똥 누는 표정을, 그 동생의 부러진 앞니의 웃음을,
그 에미의 아직 밝던 고단을 찍던 (카메라를 팔고, leica m6/82쪽)


  꽃이 고와 꽃을 사진으로 찍습니다. 아이들이 고와 아이들을 사진으로 찍습니다. 삶이 고와 삶을 시 한 줄로 여밉니다. 하늘이 고와 하늘을 고요히 노래 한 마디로 부릅니다.

  사진을 찍는 마음이란, 시를 쓰는 마음이란, 밥을 짓고 살림을 하는 마음이란, 빨래를 하고 아이들 이마를 쓸어넘기는 마음이란, 모두 한동아리가 되리라 느낍니다. 겨울이 아무리 길어도 봄이 오니, 겨우내 아무리 추워도 봄꽃은 찬바람을 머금으며 피어나니, 오늘 하루를 더욱 씩씩하게 열자고 다짐합니다. 마음 한켠에 시 한 줄을 살며시 놓으면서. 2018.1.5.쇠.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시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읽기 2018.1.4.


《포토닷》 49호(2018.1.)

편집부 엮음, 포토닷, 2018.1.1.



  밥을 하고 빨래를 하고 고양이를 살피고 하늘을 보다가 생각한다. 오늘은 어제보다 살짝 쌀쌀하구나. 그러나 이런 쌀쌀한 바람도 다른 고장에서는 봄 날씨라고 여길 만하다. 나는 이런 날에도 반소매차림으로 돌아다닐 수 있으니까. 평상에 앉았다가 마루에 앉아서 사진잡지 《포토닷》을 펼친다. 예전에는 이 사진잡지를 누리책방에서 만날 수 있었는데 이제는 누리책방에 안 들어가는구나 싶다. 누리책방에조차 안 들어가면 새로운 이웃을 찾기 더 어려울 텐데 싶으면서도, 외려 새로운 팔림새를 찾아보는 일도 좋으리라 본다. 알차고 재미있으면 누구라도 스스로 찾아내어 볼 테니까. 《포토닷》은 첫발은 뜻있었으나 ‘사진 아닌 디자인·건축’을 하는 젊은 분들이 한동안 이 잡지를 쥐고 흔들면서 매우 빛이 바랬다고 느낀다. 그 ‘디자인·건축’ 젊은 분들은 이 잡지를 ‘사진잡지 아닌 디자인·건축잡지’로 뒤흔들다가 모조리 나가서 다른 잡지를 내던데 그분들은 왜 처음부터 사진잡지에 끼어들었을까? 아무쪼록 사진잡지가 사진잡지로 고이 남기를 빈다. 이 잡지에 사진비평을 다시 보내 볼까 하고 생각해 본다.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틸드는 쓰레기 박사 다릿돌읽기
소피 세레 지음, 길미향 옮김, 이수영 그림 / 크레용하우스 / 2011년 9월
평점 :
절판


어린이책 읽는 삶 181


‘올림픽 쓰레기’를 얼마나 생각해 볼까?
― 마틸드는 쓰레기 박사
 소피 세레 글·이수영 그림/길미향 옮김
 크레용하우스, 2011.9.30.


  2018년에 한국에서는 겨울올림픽을 치른다고 합니다. 이 겨울올림픽을 앞두고 깊은 멧골 숲을 함부로 밀어내어 말썽이 되곤 했습니다. 경기장이나 찻길이나 숙소나 여러 시설은 대회를 열려고 마련한다지만, 숲은 우리가 늘 싱그러운 바람을 마시도록 해 주고, 우리 보금자리를 보듬는 터전이거든요.

  그런데 여름올림픽이나 겨울올림픽, 또 세계축구대회 같은 커다란 운동경기를 치를 적마다 ‘쓰레기가 얼마나 나올는지?’ 하고 묻는 분은 얼마나 있을까요. 또는 ‘큰 운동경기를 치르며 쏟아질 쓰레기를 어떻게 다루려는가?’ 하고 묻는 분은 얼마나 될까요.


마틸드가 생각하는 진짜 중요한 문제는 그게 아니었다. 정말로 심각한 것은 해마다 사월이면 봄맞이 대청소를 또다시 시작한다는 점이었다. (5쪽)

봄맞이 대청소는 일 년 동안 마구 더럽혔다가 한꺼번에 치우는 행사일 뿐 아무 쓸모도 없었다. ‘소풍 가듯이 즐거운 마음으로 대청소를 하면 얼마나 좋을까? 자연을 느끼며 산책하고, 그 속에서 기대하지 않았던 발견도 하고, 선생님들과 대화도 나누고 말이야!” (8쪽)


  어린이책 《마틸드는 쓰레기 박사》(크레용하우스, 2011)는 여러 가지 쓰레기 말썽거리를 건드립니다. 먼저 학교하고 마을에서 해마다 벌이는 ‘학교·마을 봄맞이 큰청소’를 짚어요. 어린이 마틸드가 보기에 어른들은 한 해 내내 쓰레기를 여기저기 마구 버리다가 이듬해 봄에 ‘자, 이제 치워 볼까?’ 하면서 바보스러운 짓을 일삼는구나 싶대요. 치워야 할 쓰레기라면 여느 때부터 아무 데나 버리지 말 노릇이요, 언제나 물건을 알맞게 마련해서 쓰고 갈무리하는 살림으로 나아갈 노릇이라고 여깁니다.

  게다가 어른들은 봄맞이 큰청소를 한다면서 아이들한테 ‘한쓰임 비닐장갑’(한 번 쓰고 버리는 물건)을 나눠 준대요. 쓰레기를 치우자고 하면서 외려 쓰레기를 내놓는 일이라고 할 만합니다.


그와는 반대로 (월드컵) 결승전 날이 마냥 즐겁지만은 않은 사람들도 있었다. 신문 기사에서 말하길 ‘축구 경기장을 반짝반짝 빛이 나도록 청소해야 하는’ 환경미화원들이었다. 그날 환경미화원들은 어마어마한 쓰레기를 치웠다고 했다. 약 4만 개의 컵, 4만 개의 플라스틱 병, 2만 개의 휴지, 1백만 개의 색종이 조각, 4만 개의 응원 수술, 1백만 개의 비닐봉지. 사람들이 저마다 휘두른 깃발, 응원 문구를 적은 종이와 카드까지. (13쪽)


  《마틸드는 쓰레기 박사》는 프랑스 어린이문학입니다. 이리하여 프랑스에서 벌어진 세계축구대회 뒷이야기가를 함께 다뤄요. 프랑스가 결승전에 오른 그 운동경기에서 엄청난 사람들이 경기장을 찾았고, 엄청난 응원 물결은 엄청난 쓰레기를 남겼대요. 사람들은 빛종이를 어마어마하게 뿌려댔고, 두루마리 휴지를 휙휙 던지면서 응원을 했다는군요.

  더군다나 경기장에서 먹고 마시면서 버린 쓰레기는 이루 말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이리하여 응원 관중은 프랑스가 경기에서 이길 적에 기뻐했을 테지만, 경기장 청소 일꾼은 이 엄청난 쓰레기더미를 치우느라 몸살을 앓았으니 그저 기뻐할 수만은 없는 노릇이라고 여겨요.


“너 어디 아프니? 이건 내 생일 선물이야. 제발 진정해. 이게 없으면 사진을 찍을 수가 없잖아.” “이런 잡동사니가 쌓이고 쌓여 자연에서 썩으려면 최소 백 년 이상 걸린다는 사실을 몰라? 완전히 썩는지조차 알 수 없어. 네가 이러면 어떡해! 일회용품은 불매운동을 해야 해! 이런 것들은 우리를 책임감 없는 환경 파괴범으로 만든다고!” (23쪽)


  쓰레기를 아이 눈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지 싶습니다. 먹고 마시고 즐긴다고 하는 어른 눈이 아닌, 앞으로 이 땅에서, 이 나라에서, 이 지구에서 새로운 살림지기로 살아갈 아이 눈으로 쓰레기를 지켜볼 수 있어야지 싶어요.

  우리 어른은 아이한테 커다란 경기장을 물려주면 좋을까요? 우리 어른은 아이한테 아름답고 정갈하며 사랑스러운 삶터하고 숲을 물려주면 좋을까요? 우리 어른은 아이한테 커다란 유원지나 관광시설이나 골프장이나 핵발전소를 물려주면 좋을까요? 우리 어른은 아이한테 맑은 냇물하고 시원한 바다하고 깊은 골짜기하고 숱한 숲짐승을 이웃으로 물려주면 좋을까요?


“넌 이제 쓰레기 처리장에 오지 않겠지? 너 같은 아이들이 쓰레기 처리장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을 바꾸고, 세상을 바꿀 수 있는데.” 마틸드는 활짝 웃으며 말했다. “기회가 생길 때마다, 생각날 때마다 쓰레기 처리장에 놀러 갈게요. 친구들과 함께요.” (78쪽)


  한 번 쓰고 버리는 물건이 넘쳐나지만 이를 둘러싸고서 어른으로서 슬기로운 생각을 밝히는 일은 좀 드물지 싶습니다. 되쓰기나 되살림을 넘어서 꾸준하게 오래오래 즐겁게 가꾸는 살림을 찾아서 나아가는 길도 아직 피어나지 못하는구나 싶어요.

  겨울올림픽을 앞두고 ‘올림픽 쓰레기’를 헤아려 봅니다. 쓰레기더미로 뒤덮이는 경기장이나 삶터가 아닌, 즐거운 손길하고 고운 마음길로 환하게 피어날 삶터를 그려 봅니다. 오늘부터 우리가 생각도 마음도 삶터도 마을도 나라도 새롭게 바꿀 수 있기를 빌어 봅니다. 2018.1.4.나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어린이책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밥 하는 여자 한복선 음식 시집 1
한복선 지음 / 에르디아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이 시집이 처음 나올 즈음 사서 읽었는데 까맣게 잊고는 다시 샀다. 다시 읽으며 ‘꽤 따분하다’고 느낀다. 밥짓는 즐거움?밥짓는 길을 수수하게 여느 밥살림꾼 자리에서 쉽게 적기만 해도 엄청난 글이 될 텐데 자꾸 글치레를 하고 만다. 궁중밥이 아닌 여느 살림밥이어도 얼마든지 멋밥?맛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할린의 한인들
김지연 지음 / 눈빛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날 한국에서 사할린 이웃을 사진하고 글로 엮어서 들려줄 수 있는 책으로는 가장 고우면서 센 목소리를 담지 않았나 하고 헤아려 본다. 끝자락에 유골 모시는 사진은 좀 많다. 이 대목은 한두 장으로 줄이고, ‘영주귀국’을 한 이웃이 어찌 지내는가를 더 다루면 좋았을 텐데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