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문득 그곳에 (2022.8.29.)

― 제주 〈나이롱책방〉



  작은아이한테 묻습니다. “오늘은 새벽 일찍 움직여 오름 한 곳을 올랐고, 〈책밭서점〉 할아버지를 만났고, 밥도 먹었고, 어떠니? 더 걸을 수 있니?” “아직 걸을 만해요.” “아직 걸을 만하다면 힘들다는 뜻?” “음, 더 걸어 봐요.”


  늦여름해가 지는 제주시 한복판을 걷다가 버스를 탑니다. 안골목으로 깃들어 〈나이롱책방〉 앞에 섭니다. 작은아이가 “아버지, ‘나이롱’이 무슨 뜻이에요?” “나이롱? 음, 여러 가지일 텐데, 숲노래 씨는 ‘나는, 이제부터, 삐삐롱스타킹이다.’ 하고 생각해 볼래.”


  디딤칸을 밟고 천천히 들어섭니다. 한쪽에 우리 짐을 내려놓습니다. 책집을 닫을 때까지 얼마 안 남지만, 이곳에서 저녁나절 책내음을 맡고서 길손집으로 돌아가자고 생각합니다. 걸상에 앉은 작은아이한테 ‘월리’ 그림책을 건넵니다. 꼬물꼬물 그득한 사람밭 그림 사이에서 ‘월리’를 찾는 그림을 들여다보는 작은아이는 기운을 조금 차립니다. “아버지, 이 책 재미있는데요? 히히.”


  그러나 ‘월리’는 이곳에서만 읽을 수 있는 책입니다. 아쉬우나 이다음에 다른 데에서 만날 수 있을 테지요. 한글판 ‘월리’는 다 판이 끊긴 듯하나 영어판으로 장만하자고 생각합니다.


  아이 곁에서 함께 ‘월리’를 들여다보다가, ‘포카혼타스’ 펼침책을 넘기다가, 그림을 잘 그려야 할 까닭이 없고, 일을 잘 해내야 할 까닭이 없듯, 글을 잘 써내야 할 까닭이 없다고 느낍니다. 어버이 노릇을 훌륭히 해내야 하지 않아요. 아이도 어버이도 다리가 아프면 쉬고, 지치면 일찍 자고, 풀밭에 드러누워 구름바라기나 별바라기를 하면서 하루를 마무리하기에 즐겁습니다.


  우리는 “글을 못 써도 된다”도 “글을 잘 써야 한다”도 아닌, “그저 삶을 마음에 담아서 생각이라는 씨앗으로 돌보고서 고스란히 말로 들려주는 모습 그대로 옮기는 글”이라면 넉넉하구나 싶습니다. 언제나 “그냥 쓰면 다 아름다운 글”일 테지요. 아이하고 뭔가 남다르게 하루를 보내려 하기보다, 그저 같이 걷고 놀고 얘기하고 쉬고 잠들면 느긋합니다.


  작은아이가 묻습니다. “우리 잠자는 곳에 버스 타고 가면 얼마나 걸려요?” “음, 30분쯤.” “음, 그러면 우리 택시 타고 가요.” “힘들구나.” “아니, 힘들지는 않은데, 그냥.” “그래, 네가 바라는 대로 할게.”


  낮하늘빛은 파랗고 밤하늘빛은 까맣습니다. 파랑이랑 까망 사이에는 하양 보라 빨강 노랑 풀빛이 있습니다. 온누리 어디서나 무지개를 품을 수 있기를 빕니다.


ㅅㄴㄹ


《POCAHONTAS Pop-up book》(Kathryn Siegler 꾸밈/Vaccaro Associates·Eric Binder 그림/Rodger Smith 여밈, Disney Press, 1995.)

《꽃이 온 마음》(조민경, 커넥티드코리아, 2022.4.15.)

《모나미 153 연대기》(김영글, 돛과닻, 2019.11.14.첫/2020.8.31.2벌)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까만새 (2022.9.20.)

― 남양주 〈블랙버드북숍〉



  남양주라는 고장에 오늘 첫발을 떼었습니다. 이 고장에 있는 책집을 마실하려고 왔습니다. 먼저 〈곰씨네 그림책방〉에 들렀고, 〈블랙버드북숍〉으로 찾아갑니다. 두 곳 사이는 멀지 않습니다. 풀꽃나무 곁을 걷거나 골목을 지난다면 걸어갈 만한 길인데, 높다란 잿집(아파트) 둘레를 거쳐야 하기에 썩 걸을 만하지 않습니다. 잿집을 잔뜩 올린 곳은 어디나 뚜벅이를 보기 어렵습니다.


  남양주 시내버스 가운데 하나인 ‘땡큐11’ 버스를 탑니다. ‘땡큐11’이라는 이름은 재미있기는 하되, 우리말로 ‘기쁨11’이나 ‘고마움11’이나 ‘웃음11’처럼 지으면 얼마나 아름다울까 하고 생각합니다. 벼슬꾼(공무원)뿐 아니라 여느 일꾼(회사원)은 이름을 우리말로 지어서 누구보다 어린이한테 이바지하겠다는 마음이 없는 듯싶습니다. ‘어른 아닌’ 나이든 이들도 매한가지인 마음일 테고요.


  맨발로 땅을 디디고, 맨손으로 흙을 살살 쓰다듬고서, 흙 쓰다듬은 손으로 나무줄기를 어루만지면, 나무가 무척 반깁니다. 이 얼거리를 아는 분이 있으나, 모르는 분이 수두룩합니다. 우리는 어린이한테 무엇을 보여주거나 들려주거나 알려주는 사람일까요? 우리는 이 별과 이 땅에 어떤 마음을 씨앗으로 심는 말짓일까요?


  어마어마하거나 놀랍거나 훌륭하거나 멋진 일을 뽑아내거나 해내야 하지 않아요. 조그마한 말씨랑 몸짓을 사랑으로 돌볼 일입니다. 누구나 보금자리에서 집안일부터 즐겁게 스스로 건사할 일입니다. 이불이며 옷가지를 개고, 빨래를 하고, 비질하고 걸레질을 하고, 밥을 하고, 설거지를 하고, 일노래·놀이노래를 부르고, 사뿐사뿐 모든 걸음걸이를 춤사위로 누리고, 우리 땅을 돌아보고, 별빛을 헤아리고 햇볕을 머금고 빗물을 마시고 냇물에 손발을 담그면서 푸나무를 아낄 하루입니다.


  버스에서 내려 걷습니다. 잿집 사이에 야트막하게 작은숲이 남았습니다. 새로 심은 듯한 거리나무는 아직 작고 가늘고 여립니다. 앞으로 스무 해나 서른 해쯤 지나면 이 거리나무는 마을을 새롭게 밝힐 테지요. 〈블랙버드북숍〉 앞에 서는데 안 열렸습니다. 살짝 다른 볼일을 보러 비우신 듯합니다.


  등짐을 내려놓습니다. 어제 새로 쓴 노래꽃 한 자락을 옮겨적습니다. 부릉거리는 쇳소리 사이로 바람이 나뭇잎을 살랑이는 소리를 듣습니다. 부릉이(자동차)가 없어도 뭇목숨은 살아갈 수 있으나, 나무가 없으면 다 죽습니다. 잿집이 아니어도 살림할 수 있으나, 꽃과 벌나비와 새가 없으면 몽땅 죽습니다.


  바느질에도, 손으로 쓰는 글에도, 한 땀 한 땀에는 언제나 손길에 서리는 즐거운 바람이 스밉니다. 숲빛으로 한 줄씩 적은 글을 나누는 이웃이 늘기를 빕니다.


ㅅㄴㄹ


《쉬운 말이 평화》(숲노래 밑틀·최종규 글, 철수와영희, 2021)

.

.

책집마실을 하며 찍은 사진을

한동안 거의 못 씁니다.

예전 하드디스크가 잠들었거든요.


인스타그램에 걸친 사진을

몇 자락 살리면서,

다른 사진을 조금 곁들입니다.


남양주 책집마실을

새롭게 누릴 날을

손꼽아 보는 마음입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너른들 (2022.9.20.)

― 남양주 〈곰씨네 그림책방〉



  부천에서 새벽을 열며 오늘은 남양주를 마실하자고 생각합니다. 얼핏 보면 먼길일 테고, 남양주를 들러 서울로 가면 밤에는 고흥에 돌아갈 수 있어요.


  책집을 찾아가면서 어느 곳이든 멀다고 느낀 적이 없습니다. 어느 책집으로 마실을 하든 ‘그곳에 그 책집이 있는 뜻’을 길에서 물씬 느끼는 하루입니다. 고흥서 가까운 순천책집조차 길에서 한나절 남짓 보내야 다녀오는데, 이동안 빈책(공책)을 펼쳐 노래꽃(동시)에 얘기꽃(동화)을 씁니다. 책 몇 자락쯤 시외버스랑 시골버스에서 가볍게 읽어요.


  모든 아름다운 책은 우리가 쉬고 싶을 적에, 눈을 씻고 싶을 적에, 마음을 달래고 싶을 적에, 무엇보다 이 삶에서 사랑이 무언지 다시 생각하고 싶을 적에, 숲이 없는 매캐한 서울 한복판에서 왜 사는가를 되새기고 싶을 적에, 부드러이 말동무로 곁에 있구나 싶어요. 시골사람이라면 굳이 종이책을 곁에 품지 않아도 풀꽃나무랑 동무하고 해바람비랑 이웃하면서 삶빛을 읽어낼 수 있어요.


  전철로 한참 달립니다. 버스로 갈아탑니다. 뚜벅뚜벅 걷습니다. 남양주 〈곰씨네 그림책방〉에 닿습니다. 마침 책모임이 있는 날 같습니다. 바깥 골마루에서 기다립니다. 햇빛이 환하게 드는 싱그러운 자리에 마을책집이 있습니다.


  글을 담은 책을 살핍니다. ‘글’이라는 허물을 내려놓을 수 있다면 노래로 피어나리라 봅니다. ‘문학’이라는 고치에서 나올 수 있다면 노래가 되리라 봅니다. ‘시’라는 이름을 벗을 수 있다면 바로 노래로 나아가리라 봅니다. 남을 구경한 모습을 옮길 적에는 노래하고 멉니다. 그리 멀잖은 지난날 누구나 부르고 나누며 아이들이 물려받아 새로 부르던 노래는, 늘 스스로 짓는 삶을 스스로 바라보면서 울고 웃은 오늘입니다. 그림이며 빛꽃(사진)을 담은 책도 매한가지입니다. 이름값이나 허울이 아닌 숨결하고 손빛으로 여미고 지어 나누는 꾸러미입니다.


  읽히려고 짓는 책이 아닌, 나누려고 짓는 책입니다. ‘남이 알아주기(인정받고픔)’를 바라는 마음은 배움터살이(학교생활)를 오래 하며 ‘셈겨룸(시험성적)’에 기대고 길들어야 하는 틀로 보내느라 몸에 뿌리박게 마련입니다. 처음부터 배움터를 안 다니거나, 배움터를 훌훌 털어내야, 종잇조각(졸업장·자격증)이 아닌 삶길을 보고 살림결을 가꾸고 사랑씨앗을 심어요.


  지난날에는 서울도 남양주도 너른들이었습니다. 이제는 부릉부릉 매캐하며 빽빽한 잿마을이어도, 길꽃에 풀벌레노래를 만나고 구름밭에 햇살을 느낄 적마다 너른빛을 새록새록 돌아봅니다. 책짐을 다시 짊어지고 길을 나섭니다.


ㅅㄴㄹ


《하늘을 나는 마법약》(윌리엄 스타이그/김영진 옮김, 비룡소, 2017.2.24.첫/2019.9.3.3벌)

《깃털》(이자벨 심레르/이정주 옮김, 재능교육, 2014.12.5.첫/2021.1.18.8벌)

《푸른 시간》(이자벨 심레르/박혜정 옮김, 하늘콩, 2018.10.12.)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김주희 글·신민재 그림, 길벗스쿨, 2008.12.9.첫/2017.6.30.16벌)

.

.

책집마실을 하며 찍은 사진을

한동안 거의 못 씁니다.

예전 하드디스크가 잠들었거든요.


인스타그램에 걸친 사진을

몇 자락 살리면서,

다른 사진을 조금 곁들입니다.


남양주 책집마실을

새롭게 누릴 날을

손꼽아 보는 마음입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마실꽃

2023.1.30.


오늘은 조금 일찍

읍내 나와서

#카페보아즈 에서

#잎물 한모금 하면서

글월을 적는다.


이제 우체국에 들러

집으로 돌아가면 된다.


#고흥살이 #숲노래

#언어물리학개론

#돌아온외규장각의궤와외교관이야기


#시골버스 에서 읽을 책은 둘.


#숲노래노래꽃 #우리말동시사전


읍내길을 걸으며

#메뚜기 이야기를 썼다.

올해에도 메뚜기를 만날 수 있기를.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곁에 그림책 (2022.9.19.)

― 부천 〈용서점〉



  어질기에 할아버지라고 느낍니다. 슬기롭기에 할머니라고 느낍니다. 착하기에 아버지란 이름이 어울립니다. 참하기에 어머니란 이름이로구나 싶습니다. 때로는 슬기로운 할아버지에 어진 할머니가 있고, 참한 아버지에 착한 어머니가 있어요.


  착한 아버지로 살자면, 바느질을 하면서 밥짓기·빨래하기를 노래하며 누릴 줄 알아야지 싶습니다. 참한 어머니로 살자면, 뜨개질을 하면서 글쓰기·그림그리기로 삶을 가꾸어 아이하고 함께 놀 줄 알아야지 싶어요. 돈버는 일보다 집안일을 해야 빛나는 돌이요, 이름얻는 일보다 꿈그림을 빚어야 눈부신 순이라고 봅니다.


  전철을 타고 서울서 부천으로 가는 길에 생각에 잠깁니다. ‘비닐자루’가 나쁘대서 곳곳에서 치우려 한다지만, 막상 시골 밭뙈기는 비닐투성이에 비닐집입니다. 더구나 요 몇 해 동안 사람들 입을 ‘플라스틱 가리개’로 덮어씌웠습니다. 몇몇 분은 ‘플라스틱 가리개’가 나쁜 줄 알기에 ‘천 가리개’를 손수 뜨거나 지어서 썼는데, 나라(정부)에서는 ‘천 가리개’는 쓰면 안 되고 ‘플라스틱 가리개’만 써야 한다고 떠들었습니다.


  땅에 나쁜 비닐자루라면, 먹는샘물을 담은 페트병도 우리 몸에 나쁘고, 입가리개도 나쁠밖에 없습니다. 우리는 언제쯤 스스로 눈을 뜨고 귀를 열며 마음을 일으킬 수 있을까요?


  부천 〈용서점〉에 닿아 수다꽃을 느슨히 폅니다. 우리 곁 그림책이란, 줄거리도 가르침도 대수롭지 않습니다. 집에서 어버이가 아이를 무릎에 앉혀서 천천히 한 쪽씩 읽어 주면서 함께 즐겁습니다. 나중에 아이가 글을 떼면, 아이 목소리로 그림책을 누리면 새롭게 즐거워요.


  그림책도 만화책도 글책도 틀림없이 ‘아름책’하고 ‘장삿책’이 있습니다. 널리 알아보고 사랑하는 아름책이 있다면, 나라에서 우격다짐으로 ‘플라스틱 가리개’를 써야 돌림앓이에 안 걸린다고 뻥치듯 읽히는 장삿책이 있어요. 우리는 어떤 손길을 여미어 책을 쥐는 삶길인지 돌아봅니다.


  수다꽃을 펴며 자리맡에 빈책(공책)을 잔뜩 펼칩니다. 수다꽃을 마치고서 길손집으로 갈 적에는 빈책을 주섬주섬 다시 꾸립니다. 시골집을 떠나 먼길을 다녀올 적에는 이 길에 보고 듣고 겪고 배울 이야기를 적을 ‘빈책’을 품습니다.


  누가 가르쳐 주어야 알지 않습니다. 나무나 새한테 ‘플라스틱 가리개’를 씌우면 나무가 죽겠지요. 사람한테도 마찬가지입니다. 참빛을 생각하고 참길을 그리는 하루을 지으면, 누구나 아름길을 깨달으면서 스스로 살림꾼으로 서리라 봅니다.


ㅅㄴㄹ


《비밀 친구》(달과 강, 어떤우주, 2022.9.16.)

《나는 매일 그려요》(이정덕·우지현, 어떤우주, 2022.7.16.)

《주머니 속의 詩》(황동규·정현종 엮음, 열화당, 1977.11.20.첫/1978.4.20.재판)

《레닌》(루카치 외/김학노 옮김, 녹두, 1985.6.15.)

《브레히트의 리얼리즘론》(베르톨트 브레히트/서경하 옮김, 남녘, 1989.1.25.)

《독일문화사》(W.피스만/양도원 옮김, 한마당, 1987.9.1.)

《눈물은 한때 우리가 바다에 살았다는 흔적》(김성광, 걷는사람, 2019.2.22.)

《책숲마실》(숲노래·최종규·사름벼리, 스토리닷, 2020.9.16.)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