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11.25.


《칼 라르손의 나의 집 나의 가족》

 칼 라르손 그림·폴리 로슨 글/김희정 옮김, 배수연 에세이, 알마, 2021.12.15.



새삼스레 푹 쉬려고 한다. 어제 이웃님하고 꽤 오래 돌아다니고 보니 등허리에 팔다리가 찌릿하다. 비슷한 듯 보이나 아주 다른 두 말 ‘입바르다·입발리다’를 생각해 본다. ‘입바른소리’를 하는 사람들은 오늘날 어떻게 지낼까? ‘입발린소리’를 하는 사람들은 또? ‘바른이’는 반짝이는 별빛 같은 살림길을 걷는다. ‘발린이’는 번드레한 겉치레로 별빛 시늉을 한다. 뒤꼍 감을 멧새가 잘 누린 듯싶다. 이제 한두 알 남는다. 올해에 꽤 많이 열렸어도 300이 넘는 새 모두를 겨우내 먹이기는 만만하지 않네. 그러게. 우리 집 뒤꼍이며 마당에 내려앉는 새가 꽤 많다. 이 시골에서는 ‘새가 많이 내려앉는 집’을 둘레에서 다들 싫어한다. 《칼 라르손의 나의 집 나의 가족》은 2003년에 처음 나온 판을 되살렸으나, ‘배수연 에세이’가 책을 아주 망가뜨렸다. 옮김말도 매우 나쁘다. 나는 2003년판을 읽은 사람이지만, 2021년판만 읽을 사람도 더없이 짜증을 낼 만하다. 책이름은 워낙 《Carl Larsson Home》이다. “나의 집 나의 가족” 따위는 어디에도 없다. “칼 라르손 우리 집”이다. “칼 라르손 우리 집 사람들”이나 “칼 라르손 우리 집 이야기”처럼 붙일 수는 있겠으나, 제발 ‘시골 숲집’에 발이라도 디뎌 보고서 말을 다루자.


#CarlLarsson #CarlLarssonHome


구시가지 빈민가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 옛거리 가난마을에서 태어났습니다

→ 옛날거리 가난한 집에서 태어났습니다


가재잡이 시즌이 시작되는 첫날인

→ 가재잡이철 첫날인

→ 가재를 잡는 첫날인


여덟 명의 자녀를 돌보느라 그림 그릴 시간을 내기 어려워진 카린은

→ 여덟 아이를 돌보느라 그림 그릴 틈을 내기 어려운 카린은


그림 대신 러그와 태피스트리를 짜기 시작했습니다

→ 그림 말고 깔개와 꽃피륙을 짭니다

→ 그림 아닌 덮개하고 꽃천을 짭니다


이 그림은 칼 라르손이 처음으로 실내 풍경을 그린 작품입니다

→ 이 그림은 칼 라르손이 처음으로 담은 집안살림입니다

→ 이 그림은 칼 라르손이 처음으로 옮긴 집안모습입니다


그는 점점 늘어나는 작품을 보관할 수 있는 스튜디오가 필요했습니다

→ 그는 차츰 늘어나는 그림을 둘 수 있는 그림칸을 마련해야 했습니다

→ 그는 더 늘어나는 그림을 놓을 수 있는 일칸을 지어야 했습니다


그림의 일부는 색을 칠하지 않고 종이의 하얀색이 그대로 빛나도록 했습니다

→ 그림 한켠은 하얀종이를 그대로 빛냈습니다

→ 그림 한쪽은 빛깔을 안 바르고 종이를 하얗게 두었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11.24.


《하프》

 레미 쿠르종 글·그림/권지현 옮김, 씨드북, 2017.11.7.



동강 이웃님이 찾아와서 쌀 한 자루를 건넨다. 이웃님 아버님이 짓던 논을 올해에 처음으로 물려받아서 지은 쌀이라고 한다. “쌀값 받으셔야지요.” “쌀값? 요새 쌀값이 을매나 되는 줄 아는감? 쌀값은 똥값도 안 돼. 논을 지으면 오히려 돈이 하나도 안 남아. 트랙터 쓰고 콤바인 쓰는 사람들만 벌어. 막상 논임자한테는 암것도 안 남는당께.” 이웃님 짐차를 큰아이랑 얻어타고서 고흥만으로 간다. 해마다 겨울이면 이곳에 철새가 허벌나게 찾아온다. 나라지기(대통령)가 바뀌기 앞서, 전남·경남 파란바다(해상 국립공원)에 ‘해상태양광·풍력’이 끔찍하게 들어섰다. 이쪽저쪽(민주당·국민의힘)을 밀건 안 밀건, 갑자기 마구잡이로 때려박은 이 미친짓을 제대로 짚는 모임(시민단체·언론사·지식집단)은 안 보인다. 망가지는 시골 논밭하고 바다를 한참 보다가 드디어 철새를 만난다. 가창오리떼에 고니무리를 본다. 〈더바구니〉를 들러서 집으로 온다. 《하프》는 꽤 잘 빚은 그림책이지 싶은데, 일찌감치 판이 끊긴다. 왜 안 읽힐까? 아니, 이러한 이야기를 눈여겨보면서 아이하고 어깨동무하는 하루를 짓는 어른은 어디 있을까? 아이는 ‘직업인·예술가’가 아닌 ‘사랑을 알고 나누는 어른’으로 자랄 적에 아름답다.


#LaHarpe #RemiCourgeon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11.23.


《인도민화로 떠나는 신화여행》

 하진희 글, 인문산책, 2010.4.30.첫/2019.11.30.고침



집에서 쉰다. 바람을 마신다. 고요히 하루를 누리고 싶다. 포근한 늦가을빛을 머금는 빨래를 한다. 겨울이 눈앞이다. 이제 시골집에서 책살림이며 글살림을 느긋이 추스르자고 생각한다. 잔뜩 쌓은 책더미를 치워 놓아야 아이들이 이 칸 저 칸 마음껏 드나들면서 놀고 수다를 펴겠지. 《인도민화로 떠나는 신화여행》을 읽다가 생각에 잠긴다. 거룩얘기(신화)가 없는 겨레나 나라는 없다. 우리는 이웃나라 거룩얘기를 더없이 많이 읽히거나 들려준다. 그런데 우리 거룩얘기는 얼마나 읽거나 살피거나 들려주거나 나누는지? 우리는 우리 거룩얘기를 살려서 북돋우는 눈빛을 얼마나 밝히는지? 온나라 곳곳에 거룩얘기 자취가 흐를 텐데, 우리 거룩얘기나 옛얘기를 찾아서 천천히 뚜벅뚜벅 거닐면서 하나하나 짚는 눈밝은 어른은 얼마나 있을까 모르겠다. 거룩얘기나 옛얘기가 아니더라도, 스스로 느긋하면서 넉넉할 적에 삶얘기·살림얘기·사랑얘기를 꽃피울 만하다. 우리는 오늘날 ‘이야기·얘기’를 등진 채 ‘소통·대화’란 수렁에 잠기지는 않았는가? 모든 아이는 놀이밥에 이야기밥을 먹으면서 말넋삶을 살찌운다. 모든 어른은 아이들이 놀이밥이랑 이야기밥을 누리면서 물려받을 터전을 닦을 적에 비로소 ‘어른’이면서 어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12.12.


《두르안키》

 스튜디오 가가 글·미우라 켄타로 그림/허윤 옮김, 대원씨아이, 2022.4.30.



작은아이가 ‘집짜장’이 아닌 ‘가게짜장’을 먹고 싶다고 한다. 어제는 해날(일요일)이라 시킬 수 없었고, 오늘은 달날(월요일)이니 면소재지에 전화를 한다. 오랜만에 시켜서 먹는 첫 젓가락에 “아, 너무 달다.” 소리가 나온다. 낮이 저물 즈음 비가 가볍게 내린다. 저녁에는 비가 그치고 하늘에 구름 한 조각 없이 별이 초롱초롱하다. 속(내장 하드디스크)은 3/4을 되살릴 수 있을 듯하고, 손질삯(수리비)은 52만 원이 나온다고 한다. 다만 느긋이 기다리라고 한다. 올해에 돌려받을 수 있으려나. 《두르안키》를 읽었다. 그림님은 밑틀을 잡고서 조금 그리다가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 이제 막 이야기를 펼 즈음 더는 뻗지 못 하는 셈이다. 처음도 끝도 아닌 그림꽃(만화)을 찬찬히 읽고서 두 사람 ‘테즈카 오사무’하고 ‘미즈키 시게루’를 떠올린다. 테즈카 오사무 님은 잠을 미루면서 어마어마하게 그려냈고, 미즈키 시게루 님은 느긋이 오래 자면서 외팔로 천천히 그려냈다. 한 분이 쉬엄쉬엄 그렸다면 오래 그렸을 테지만, 그무렵 그렇게 밀물로 그림꽃을 선보였기에 ‘그림꽃이란 무엇인가?’ 하고 생각하면서 사랑하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다고 느낀다. 씨앗은 작다. 이 작은 씨앗은 숲으로 가는 첫걸음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12.11.


《프레드릭》

 레오 리오니 글·그림/최순희 옮김, 시공주니어, 1999.11.15.



어제 해놓은 빨래를 아침에 내놓는다. 바람은 가벼운 듯하면서도 갑자기 휭 불어 빨랫대를 넘어뜨린다. 빨랫대를 세우고 보면 조용하다. 이러다 휭 불며 또 넘어뜨린다. 개구쟁이 겨울바람이로구나. 일찍 눕는다. 등허리를 말끔히 폈구나 싶을 무렵 눈을 번쩍 뜨니 한밤이다. 1980년에 《잠잠이》란 이름으로 처음 나오고, 얼추 스무 해가 지난 1999년에 《프레드릭》이 나왔다. 우리나라에 그림책다운 그림책이 아주 없다고 할 즈음, 분도출판사는 작고 가벼우며 값싸게 그림책을 꾸준히 내놓아 주었다. 인천에는 ‘성바오로서점’이 있었기에 이 작은 그림책을 ‘안 사더라도 그 책집’에서 구경할 수 있었다. 1980해무렵에 웬만한 마을책집은 ‘서서 읽기만 하고 안 사는 어린 책손’을 되게 싫어했다. 그때 성바오로서점 수녀님은 어린 책손을 곱게 지켜보았다고 느낀다. 다만, 분도출판사도 숱한 우리나라 펴냄터처럼 뒷말이 있다. 그러니 다른 곳에서 《잠잠이》도 여러 그림책도 데려갈 수 있지. 잠을 자는 듯한, 아니 낮잠도 밤잠도 누리면서 꿈빛을 품는 아이는 천천히 하루를 놀면서 마음 가득 사랑을 밝힌다. 아이는 빨리 자라야 하지 않는다. 어른은 빨리 죽어야 하지 않는다. 천천히 느릿느릿 즐겁게 이 삶을 누리면 언제나 사랑이다.


#Fredrick #LeoLionni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