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11.30.


《아흔일곱 번의 봄여름가을겨울》

 이옥남 글, 양철북, 2018.8.7.



엊그제 보니 우리 동백나무에 꽃송이가 벌어졌다. 하나를 보고 둘을 본다. 대견하구나. 찬바람에 꽃망울이 더욱 단단하고, 찬비에 외려 붉게 꽃송이를 터뜨린다. 곰곰이 보면 모든 풀꽃나무는 겨울날 찬바람을 듬뿍 머금으면서 새봄을 푸르게 일으키는구나 싶다. 여름에 무럭무럭 자라고, 가을에 널리 나누어 주고는, 겨울에 깊이 꿈을 꾸고는, 봄에 푸릇푸릇 꽃내음을 편달까. 오늘부터 비로소 긴소매하고 긴바지를 입는다. 저녁에 부엌 돌쩌귀를 고친다. 선틀(문설주)을 파내어 경첩을 대고서 조임쇠를 박는다. 《아흔일곱 번의 봄여름가을겨울》은 틀림없이 한결 빛나는 책이 될 만했다. 할머니 하루쓰기를 담아내려는 뜻은 참으로 훌륭한데, 그저 수수하게 글을 모아 놓지 못 하는구나. 오늘날 숱한 글이며 책이 온통 꾸밈글인 탓일까. 안 꾸미고서 살림을 짓는 수수한 하루를 누리지 않는 서울살림(도시문화)인 터라, 할머니 글꾸러미를 어떻게 건사할 적에 빛나는가를 모를 만하리라. 늘 풀꽃나무를 곁에 두고, 언제나 풀노래·바람노래·별노래를 누리는 터전을 모른다면, 또 시골버스를 타고 천천히 오가는 시골길을 모른다면, 책에도 시골빛을 담는 눈망울을 모를 수밖에 없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11.29.


《100가지 사진으로 보는 우주의 신비》

 윌 게이터 글, 안젤라 리자·다니엘 롱 그림/장이린 옮김, 책과함께어린이, 2022.8.30.



오늘은 비가 그치나 싶더니 바람이 휭휭 분다. 이따금 비가 오다가 멎는다. 미역국을 한 솥 끓여놓고서 읍내에 간다. 옆 황산마을을 지나가는 시골버스를 타고서 돌아온다. 들길을 걷는데 집에서보다 바람이 훨씬 세차다. 얼굴이 얼얼하다. 고무신이 닳아서 새로 샀는데, 집에 와서 보니 275가 아닌 270을 샀더라. 바꿀까 생각하다가, 작은아이가 머잖아 발이 크면 신겠거니 여기면서 그냥 두기로 한다. 저녁에 비가 멎을 즈음 멧비둘기 한 마리가 전깃줄에 앉아 우리 집 마당을 물끄러미 바라본다. 오늘 하루도 새록새록 잘 흘러갔는가. 《100가지 사진으로 보는 우주의 신비》를 작은아이하고 읽었다. 영어 ‘Universe’를 일본사람은 한자말 ‘우주’로 옮겼다. ‘우주’는 오랜 한자말로 여기는 분이 꽤 있는 듯싶으나, 우리말은 ‘누리’이다. 푸른별에 깃든 너른 곳은 ‘나라’이고, 이 ‘나라’를 넘어선 너른 터전이 ‘누리’이다. 조금 생각할 수 있다면 ‘우리·누리·무리고리’는 ‘ㅇ·ㄴ·ㅁ·ㄱ’만 다를 뿐 한동아리이다. 겉(현상)으로 온누리를 읽어도 안 나쁘지만, 속(참빛)으로 온누리를 읽는 길을 어린이하고 마음으로 연다면 언제나 새롭고 환하리라. ‘우리’는 ‘누리’로 갈 수 있으나 ‘무리’나 ‘고리’에 갇힐 수도 있다.


#TheMysteriesOfTheUniverse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11.28.


《소에게 친절하세요》

 베아트리체 마시니 글·빅토리아 파키니 그림/김현주 옮김, 책속물고기, 2017.1.5.



엊저녁부터 구름이 조금씩 모이나 싶더니 아침에 가랑비가 뿌린다. 이윽고 빗줄기가 굵다. 후두두두둑 소리가 퍼지고, 짐차나 털털이 소리를 몽땅 잠재운다. 아니 겨울 앞둔 늦가을비가 쏟아지니 바깥으로 돌아다니는 사람도 부릉이도 없다. 고즈넉한 시골에 싱그러이 울리는 노래가 가득하다. 자잘소리도 자잘먼지도 씻어 주는구나. 봄비랑 여름비 못지않게 늦가을비하고 겨울비도 온누리를 새삼스레 다독이는 맑은 빛줄기이지 싶다. 《소에게 친절하세요》는 템플 그랜딘 님 삶자취를 다룬 여러 책 가운데 가장 낫다고 본다. 템플 그랜딘 님을 알고 싶다면 이분이 스스로 쓴 책을 읽으면 되는데, 어린이·푸름이한테 이분 삶넋을 들려주고 싶을 적에 이러한 책을 함께 펴면 즐거우리라. 그렇지만 옮김말씨는 매우 아쉽다. 이분이 어려운 영어를 썼을까? 이분 넋을 짚어 보려는 ‘영어 어린이책’은 어려운 영어였을까? “중요한 건 존재한다는 거야”를 어린이더러 알아들으라고 적은 글일까? ‘애착·섬세’ 같은 한자말도 솎아야 할 텐데 “슬퍼질 거야” 같은 말씨도 얄궂다. 말을 말다이 쓰고 다룰 수 있어야 마음을 마음답게 돌보고 바라볼 수 있다.



그럼 난 슬퍼질 거야

→ 그럼 난 슬퍼


모든 것을 이해할 수는 없지. 중요한 건 존재한다는 거야

→ 모두 알 수는 없지. 다만 여기 있을 뿐이야

→ 모두 알아낼 수는 없지. 그저 모두 여기에 있어


나는 장소에 더 애착이 가요

→ 나는 자리에 더 마음이 가요

→ 나는 자리에 더 끌려요

→ 나는 자리가 더 좋아요


템플에게 다른 사람과 다른 점이 있다면 자신이 고양이와 비슷한 존재가 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템플은 다른 사람과 닮지 않았으니, 고양이하고 비슷하게 있더라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 템플은 둘레하고 닮지 않았으니, 고양이랑 비슷하게 지내더라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푹신한 충전재를 써 조이는 느낌이 전보다 훨씬 섬세하고 부드러웠다

→ 푹신하게 채우니 예전보다 훨씬 부드럽게 조였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11.27.


《가을의 스웨터》

 이시이 무쓰미 글·후카와 아이코 그림/김숙 옮김, 주니어김영사, 2020.9.1.



밤마다 별잔치이다. 어둑살이 내릴 무렵이면 슬슬 별이 돋고, 시골마을에 별이 돋을 즈음이면 모든 자잘한 소리가 사라진다. 이윽고 “아! 별잔치!” 소리가 절로 터져나온다. 구름이 한 조각조차 없다. 늦가을에 아직 흰꽃을 피우고 까맣게 열매를 동글동글 맺는 까마중을 생각한다. 첫겨울까지 마지막힘을 끌어올리는 들풀 한 포기가 사람 곁에서 베푸는 숨빛을 헤아린다. 《가을의 스웨터》를 읽으며 어린 나날을 가만히 되새겼다. 이 그림책은 ‘마을과 이웃’을 들려주려고 ‘우리 엄마’가 아닌 ‘이웃 아줌마’가 뜨개질을 하는 길을 보여준다. 그림님이 조금 더 마음을 기울여 본다면, ‘우리 엄마’가 ‘나랑 둘이서’ 집에서 천천히 뜨개질을 하는 살림을 담을 수 있었다. 집살림은 옷살림만 있지 않으니, 뜨개바늘을 또각또각 쥐다가도 밥살림을 맡고, 아기를 돌아보고, 집안을 쓸고닦고, 밭을 매만지거나 저잣마실을 다녀온다. 빨래를 걷어서 개고, 이불을 털어서 말리고, 아이한테 들려줄 이야기를 곰곰이 생각한다. 같이 살림하며 두런두런 수다꽃에 노래꽃이 핀다. “가을 털옷”이나 “가을 뜨개옷”이다. 우리말을 쓰기를 빈다. 옮김말씨도 아이들한테 안 어울리기에 모조리 손질한 다음 아이들한테 건네주었다.



볼에 닿는 차가운 공기에 잠에서 깼어요

→ 볼에 닿는 바람이 차가워 잠에서 깨요


이런! 스웨터가 작아졌어요

→ 이런! 털옷이 작아요


밥을 먹고 나면 엄마는 바빠져요

→ 밥을 먹고 나면 엄마는 바빠요


바람이랑 달리기하고 싶어지고

→ 바람이랑 달리기하고 싶고


도와줘서 고맙다고 하실 거야

→ 도와줘서 고맙다고 하시겠지


그러면 주머니도 커질 거야

→ 그러면 주머니도 크지


스웨터를 크게 만들어 달라고 하자

→ 털옷을 크게 떠 달라고 하자


밝은 해님의 노란색과 노을의 빨간색이요

→ 해님처럼 밝고 노랗고 노을처럼 빨개요

→ 밝고 노란 해님과 빨간 노을이요


커다란 주머니도 정말 마음에 들어요

→ 커다란 주머니도 참 마음에 들어요

→ 커다란 주머니도 무척 마음에 들어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11.26.


《MR WUFFLES!》

 David Wiesner 글·그림, Andersen press, 2013.



커피콩을 사러 읍내를 다녀온다. 볕이 넉넉한 하루를 누리면서 걷는다. 집으로 돌아갈 버스를 기다릴 곳을 헤아려 본다. 전남도청보다 우람하게 지은 고흥군청 둘레로 잿집이 우글우글 서는데, 귀퉁이에 쉼터가 있네. 쉼터 걸상에 앉아서 볕바라기를 하며 생각한다. 흙을 밟고 풀내음을 맡고 나무그늘을 누릴 자리를 없애고서 잿빛으로 바꾸어야 ‘문화’라고 한다면, ‘문화’에는 ‘삶’이나 ‘살림’이 없겠지. 우리가 보금자리를 살림자리로 가꾸고, 마을을 살림터로 돌보는 숨결이라면, 문화도 예술도 사회도 정치도 교육도 아닌 오롯이 ‘살림빛’으로 스스로 즐거우면서 온누리에 기쁨씨앗을 심을 만하다고 생각한다. 《MR WUFFLES!》를 장만해서 읽었다. 한글판으로는 《이봐요, 까망 씨!》로 나왔다. ‘WUFFLES’를 ‘와플스’로 옮기기보다는 ‘까망’으로 옮기는 쪽이 나았겠지. 그런데 “이봐요”는 왜 넣었지? 《까망 씨》라고만 하면 넉넉할 텐데. 이래저래 한글판은 안 내켜서 영어판으로 장만했고, 우리 집 아이들은 ‘다른 말 없이 이야기로만’ 삶과 살림을 드러내는 흐름을 차근차근 느끼면서 읽는다. 우리는 ‘우리말’을 쓴다고 말하지만, 정작 ‘우리말다운 우리말을 즐겁게 쓰는’ 이웃은 아직 너무 드물다고 느낀다.


#이봐요까망씨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