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6.26.


《권은중의 청소년 한국사 특강》

 권은중 글, 철수와영희, 2022.6.25.



비는 오실 듯 말 듯한 하늘이다. 구름이 짙게 덮은 모습을 하루 내내 본다. 숲노래 책숲으로 가서 그동안 고인 빗물로 골마루를 닦는다. 비가 시원스레 온 날이면, 우리 책숲으로 삼는 옛배움터(폐교) 한켠에 빗물이 잔뜩 고인다. 가랑비가 뿌린 날이면, 빗물이 딱히 안 고인다. 《권은중의 청소년 한국사 특강》을 읽었다. 삶자취를 밥살림으로 헤아리려는 얼거리는 돋보이되, 첫 줄부터 “역사란 인간이 자연과 그리고 인간과 투쟁하며 써 내려가는 기록입니다(15쪽).” 하고 적어서 소름이 돋았다. 사람은 숲하고 못 싸운다. 숲하고 싸워서 이기려고 하면 사람은 다 죽는다. 숲을 밀거나 망가뜨리면 사람한테는 죽음길뿐이다. 또한, 사람이 사람하고 싸워도 사람이 다 죽는다. ‘사람을 바보로 내몰려는 우두머리·글바치’가 뒤튼 ‘거짓글(위장된 역사)’로 본다면 ‘역사 = 싸움길’이요, 아이를 사랑으로 낳아 함께 살림하며 누린 삶으로 본다면 ‘역사 = 살림길’이다. 옛이야기는 모두 빗대는 말인 줄 안다면, 단군 옛이야기에 나오는 ‘쑥과 마늘’을 ‘적힌 자취(기록된 역사)’가 아닌 ‘삶·살림을 헤아려야’ 알아챌 수 있다. ‘쑥 = 나물’이요, ‘마늘 = 남새’이다. 쑥은 저절로 돋는 풀이요, 마늘은 심어서 가꾸는 열매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6.25.


《자동차, 문명의 이기인가 파괴자인가》

 스기타 사토시 글/임삼진 옮김, 따님, 1996.9.20.



빗소리를 듣다가, 개구리노래를 듣다가, 딱새노래를 맞이하다가, 엊그제 만난 두꺼비는 어디에 있을까 어림하다가, 조용히 흐르는 여름빛을 느낀다. 여름을 6·7·8월로 여기지만, 예전부터 우리나라 여름은 5·6·7로 바뀌었다고 느끼고, 7월을 앞둔 6월 끝자락이 가장 덥다가 7월 고비를 넘으며 천천히 수그러들어 ‘더운 가을’이 길게 흐른다고 느낀다. 지난여름 매실물 한 병(6리터)을 작은 병(500밀리리터)으로 옮긴다. 송명규 님이 쓴 책을 새삼스레 되읽다가 ‘따님’에서 펴낸 책을 하나씩 돌아본다. 《자동차, 문명의 이기인가 파괴자인가》는 숲책(생태환경책) 가운데 내 나름대로 다섯손가락에 꼽는다. 《침묵의 봄》도 나쁘지 않되, 그 책보다는 《자동차, 문명의 이기인가 파괴자인가》를 읽기를, 《오래된 미래》보다 ‘따님’에서 펴낸 아름책을 읽기를 비는 마음이다. ‘녹색당·진보당·사회운동·시민운동’을 하는 분들 가운데 부릉이(자가용)를 씩씩하게 내다버리고서 두 다리랑 자전거랑 버스랑 택시를 타는 이는 얼마쯤 있을까? ‘책읽는 사람’ 가운데 부릉이를 등지는 이는 얼마쯤 될까? ‘숲하고 부릉이’는 나란히 안 선다. ‘책하고 부릉이’도 함께 있을 수 없다. 그대가 ‘책사랑이’라면 운전면허증을 찢어버려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6.24.


《라니아가 떠나던 날》

 카롤 잘베르그 글·엘로디 발랑드라 그림/하정희 옮김, 숲속여우비, 2009.12.5.



오늘은 비가 시원하게 내리다가 그치다가 해가 나다가 오락가락한다. 숨가쁘게 달라지는 하늘을 바라보면서 웃는다. “고마워, 사랑해, 즐거워” 같은 말을 바람에 얹어서 띄운다. 오늘도 쉴 겨를이 없다. 이래저래 집안일을 하고 아이들이랑 하루쓰기를 하고 노래꽃 이야기를 하다가, 저녁에 읍내로 가서 ‘사람책 도서관’ 이야기꽃을 편다. 말빛을 읽고 숲빛을 헤아리겠다는 고흥 이웃님을 만나는 자리이기에 몸은 고단하고 졸려도 조곤조곤 수다꽃을 피운다. 아름다운 이웃을 만날 수 있으면, 더구나 시골에서 빛나는 이웃을 만날 적에는, 졸림도 고단함도 확 날아간다. 오늘 만나서 이야기할 자리를 마련한 분한테 ‘헨리 데이빗 소로우’ 이야기를 노래꽃(동시)으로 써서 드렸다. 밤하늘을 보니 구름이 걷히고 별이 보인다. 《라니아가 떠나던 날》을 모처럼 한 자락 새로 장만했다. 2009년에는 ‘숲속여우비’라는 펴냄터가 이렇게 빨리 사라질 줄 몰랐다. 요새는 작은 펴냄터를 돕는 틀(제도)이 제법 생겼으나, 예전에는 아주 홀로싸움이었다. 끔찍한 어린채찍(아동노동착취)을 부드러우면서 애틋이 담아낸 이 책을 되살릴 작은 펴냄터가 새로 있을까? 우리나라 거의 모든 아이들이 배움수렁(입시지옥+학원감옥)에서 헤매니 어려운 일일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

.


출판사가 사라졌기에

이 책도 알라딘에 안 뜬다.

다만 '중고도서 검색'을 하면 나오더라.

쓸쓸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6.23.


《톰 소여》

 타카하시 신 글·그림/서수진 옮김, 미우, 2008.10.15.



어젯밤에 고흥으로 돌아와 두런두런 이야기를 하다가 느즈막이 꿈나라로 갔고, 오늘은 아침에 폭 쉬다가 빨래를 한다. 다른 고장은 비가 신나게 오는데, 고흥만큼은 비가 안 오고 해가 나는구나. 뭐, 좋아. 해가 나오니 이렇게 빨래놀이를 할 수 있는걸. 쉴 겨를이 없이 몰아치다가 저녁에 ‘고흥교육회의’라는 곳에 간다. 드디어 올해 고흥군수도 전남교육감도 바꾸었다. 전남도지사는 못 바꾸어 안타깝지만, 한 ‘놈’이라도 갈아치워 “깃발만 꽂으면 뽑히는 고인물”을 바꾸는 밑길을 열기를 비는 마음이다. 저녁자리에서는 모둠을 지어 ‘고흥 교육 토론’을 단출하게 하네. 이 전남 시골에서는 으레 ‘탈 고흥·인 서울’을 놓고서 눈길이 엇갈린다. 〈참교육학부모회〉라는 모임이 언제부터 ‘명문대 바라기’를 외치는 곳이었을까. 1999∼2000년에 뒷배를 한 이 들꽃모임은 예전에 안 이랬는데. 《톰 소여》를 오랜만에 새로 읽는다. 무척 잘 여민 그림꽃(만화)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잘 알아보는 사람이 너무 적다. 일본 그림꽃은 서울(도쿄)이 아닌 시골이며 작은고장(소도시) 삶길을 수수하게 담아내기에 아름답다. 우리는 글도 그림도 빛꽃(사진)도 너무 서울에 얽매인다. 자랑할 까닭은 없되 ‘시골사람’이란 이름이 창피할 까닭이 없는데.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6.22.


《이도 일기》

 이도 글·그림, 탐프레스, 2022.6.7.



아침 일찍 전철을 타고서 〈책이당〉으로 간다. 책집은 더 있어야 연다. 후끈거리는 볕을 즐겁게 온몸으로 받으면서 기다리자니 옮김빛(번역가)으로 일하는 박중서 님이 온다. 우리 둘은 얼마 만에 만났을까. 예전에 숲노래 씨가 서울에서 살던 무렵에는 책집마실을 마친 저녁에 으레 만나서 책수다를 폈고, 이 자리에 책집지기님도 얼크러지곤 했다. 이다음에도 〈책이당〉에서 만날 만하리라 생각하며 헤어지고서 성대시장까지 걸었다. 서울은 낮에도 어디에나 사람이 많구나. 김밥집을 찾으려 하지만 안 보인다. 이제 김밥집은 마을가게(편의점)에 밀려 자취를 감추었을까. 장승배기역 〈문화서점〉은 아직 잘 있다. 동작구청 건너켠 〈책방 진호〉는 저녁 다섯 시 넘어야 여신다는데, 미닫이를 들여다보니 책시렁이 비었다. 이제 접으시려나. 버스나루에 닿아 고흥 돌아가는 시외버스를 기다린다. 17시 30분 버스에 빈자리가 없다. 이제 시외버스 좀 늘려도 될 텐데. 《이도 일기》를 읽는다. 대구란 터전에서 짓는 살림살이를 글그림으로 정갈하게 옮긴다. 우리는 저마다 다르게 살아가는 하루로 저마다 새롭게 이야기꽃을 여민다. 온누리 골골샅샅 모든 이웃님이 저마다 삶글에 삶그림을 엮으시기를 빈다. 빛나는 책은 언제나 ‘우리 이야기’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