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오늘책

오늘 읽기 2022.7.22.


《어둠의 왼손》

 어슐러 K.르 귄 글/최용준 옮김, 시공사, 1995.5.1.첫/2014.9.5.두벌고침



우리 집 매미가 노래한다. 어떻게 우리 집 매미인 줄 아느냐 하면, 우리 집에서 자라는 나무에 허물이 붙고, 이 나무에서 마을을 쩌렁쩌렁 울릴 만큼 노래를 하니까. 개구리노래는 슬슬 잦아들고, 풀벌레노래가 조금씩 피어나는데, 풀죽임물(농약)을 요새 날마다 아침저녁으로 허벌나게 뿌려댄다. 곰곰이 돌아본다. 개구리노래가 너무 일찍 잦아든다. 다 풀죽임물 탓이다. 게다가 논도랑을 거의 잿빛(시멘트)으로 바꾼 탓이다. 어느 이웃님이 들려주던데, 논도랑을 잿빛으로 바꾸면서 돈을 억수로 쓴다더라. ‘○○ 정비사업’이란 이름으로 삽질을 해대며 검은돈이 넘친다지. 흙도랑이 사라지며 개구리에 맹꽁이가 떼죽음이요, 반딧불이도 자취를 감춘다. 비님, 다시 오시겠습니까. 늦은낮에 빨래를 하고서 작은아이랑 걸어서 천등산 골짜기로 다녀온다. 《어둠의 왼손》을 자리맡에 두지만 어쩐지 안 읽힌다. ‘어슐러 르 귄’ 님 글은 도무지 안 읽힌다. 이녁 어머니인 ‘디오도러 크로버’ 님 글은 술술 읽히고 아름다운데. 아직 손에 안 잡힌다면 이녁 글을 읽을 때가 아니란 뜻일 테지. 더 묵혀 놓자. 묵히고 묵히고 자꾸자꾸 묵히다 보면 어느 날 비로소 읽힐 수 있겠지. 그때까지도 안 읽히면 책시렁으로 얌전히 옮겨놓자.


ㅅㄴㄹ

#TheLeftHandofDarkness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7.21.


《엄마도 계속 클게》

 박희정 글·그림, 꿈꾸는늘보, 2021.7.26.



비는 아침에 그치고 해가 나오는 하늘이다. 해가 나면서 파랗게 빛나는 모습을 새삼스레 바라본다. 밤이 지나고 새벽이 찾아들면 하루가 새롭고, 비가 그치면서 더욱 파랗게 물든 하늘을 보면 오늘이 반갑다. 낮잠으로 푹 쉬고서 면소재지 우체국을 다녀온다. 책꾸러미를 나르고, 우리 책숲에 고인 빗물로 골마루를 닦는다. 《엄마도 계속 클게》는 ‘아이돌봄글(육아일기)’이라기보다 ‘아이 곁에서 배운 글’을 갈무리한 그림책이라 할 만하다. 어릴 적에는 마음으로 알았고, 어버이로 살면서 몸으로 배우는데, “아이는 어른을 가르치고, 어른은 아이한테서 배우는 사이”이다. 어른은 아이를 못 가르친다. 어른은 아이한테서 배울 뿐이다. 이 대목을 잊는다면 삶을 잃는다. 아이들이 어른한테서 길들도록 내몬다면 어른이 아닌데, 둘레를 보면 아이들 등을 억지로 배움터(학교)로 떠밀고 일터(회사)도 내몬다. 우리가 어른이라면, 아이를 사랑으로 낳아 살림을 함께 짓는 어버이로 거듭날 노릇일 텐데. 삶터가 오롯이 배움터이자 일터일 텐데. 살림터이기에 사랑터로 빛나고, 이곳은 언제나 숲터로 피어나면서 어울림터에 소꿉터로 흐를 텐데. 어른은 이야기꾼이다. 아이는 노래꾼이고 춤꾼이다. 요새는 잔소리꾼으로 바뀐 늙은이가 너무 많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7.20.


《이제부터 세금은 쌀로 내도록 하라》

 손주현·이광희 글, 장선환 그림, 책과함께어린이, 2017.12.13.



서울에서 고흥으로 돌아가는 시외버스에 빈자리가 없다. 곰곰이 생각하다가 안산으로 가서 타기로 한다. 버스를 타기 앞서까지 틈이 있으니 먼저 안양 〈뜻밖의 여행〉으로 간다. 전철을 내려 땡볕을 신나게 쬐며 걷는다. 부릉부릉 넘치는 길은 나라 어디나 시끄럽다. 부릉이한테 길을 내준 사람들은 삶을 스스로 버린 셈이라고 느낀다. 마을책집을 비로소 찾아내어 들어가려는데, 늙수그레한 아저씨가 불쑥 “남자 새끼가 여자옷을 입어” 하고 떠들면서 지나간다. ‘새끼 새끼’ 떠드는 늙은이한테 “사람 새끼가 눈이 멀었어” 하고 한마디 쏘아주려 했는데, 벌써 저 멀리 달아난다. 불쌍한 저이는 들꽃도 별빛도 책도 마음으로 품지 않겠구나. 마을숲(근린공원)을 품은 책집은 호젓하다. 이곳으로 찾아오는 사람들은 푸르게 빛나는 새터로 마실하는 셈일 테지. 《이제부터 세금은 쌀로 내도록 하라》를 여러 해 앞서 읽었는데 퍽 아쉬웠다. 아무래도 다루기 쉬워서일 텐데 ‘어린이 역사책’은 거의 ‘조선을 둘러싼 발자취’만 짚는데, ‘조선 무렵 말씨’가 아닌 ‘2010∼20년 요샛말’로 풀어낸다. 그럴 수밖에 없나 싶으면서도 아쉽다. 어느 자리에서 바라보는 어떤 눈높이일까? 어린이가 부스러기(지식)를 외워야 하나, 삶길을 헤아려야 하나?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7.19.


《둥지 밖의 언어》

 이상규 글, 생각의나무, 2008.11.10.



아침에 부천에서 전철에 버스를 갈아타고 연천으로 간다. 얼마나 멀랴 싶더니 얼추 네 시간이 걸린다. ‘38선’을 넘고, ‘싸움터(군대) 옆 찻집(다방)·머리집(이발소)’ 옆을 스친다. 피가 튀기는 싸움판뿐 아니라, 젊은 사내를 총칼로 길들이는 싸움터도 순이를 노리개로 삼는 터전일 뿐이다. 연천 시내버스를 타고서 한참 돌고도는 길에서 만나는 낡아가는 마을가게 앞에 꽃그릇 줄줄이 있다. 다 다른 손길로 다 다르게 가꾸는 꽃그릇이 싱그럽다. 먼저 〈오늘과 내일〉에 닿는다. 이곳 책집지기님은 어깨동무(평화)를 이루는 길을 찾고 나누려는 마음으로 연천에서 길손집이자 빵집이자 책집을 꾸리신다고 즐거이 말씀한다. 이윽고 〈굼벵책방〉에 깃든다. 책집은 멧숲으로 둘러싼 너른들에 있고, 곁에는 말이 울음소리를 내며 달린다. 그림책집이 있을 만한 아늑한 자리이다. 이제 연천에서 서울로 한참 먼길을 간다. 〈조은이책〉까지 들르고서 책짐을 안고 지고서 길손집에 깃든다. 《둥지 밖의 언어》를 읽으며 내내 아쉬웠다. 국립국어원 이끎이까지 맡은 분조차 ‘말’이란 우리말을 쓸 줄 모른다. ‘말·말결·말씨·말꽃·말길·말빛·말넋·말삶·말새’를 알맞게 쓸 수 있다면, 비로소 우리말을 조금 우리말스럽게 하는 사람이리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7.18.


《가슴이 콕콕》

 하세가와 슈헤이 글·그림/김숙 옮김, 북뱅크, 2017.11.15.



고흥에 함박비가 드디어 온다. 가문 시골을 촉촉히 적시고 말끔히 씻어 줄까. 함박비가 온 이튿날은 골짝마실을 하면 즐겁다만, 오늘은 서울하고 부천에 수다꽃을 펴러 마실을 간다. 비가 쏟아지는 새벽나절 두 아이가 마을 앞까지 나와서 배웅을 한다. 잘 놀렴. 하루를 기쁨으로 그리렴. 오늘을 언제나 새롭게 맞이하렴. 숲노래 씨도 수다꽃 마실길을 기쁘게 매듭지을게. 시골버스를 타고 시외버스를 타고 전철을 타고서 서울 잠실나루에 닿는다. 바깥일을 보러 다닐 적에는 밥도 물도 안 먹으면서 가벼이 움직인다. 〈서울책보고〉에서는 부산 헌책집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윽고 전철을 다시 타고서 부천 원미동으로 간다. 〈용서점〉에서는 ‘모임·두레·품앗이’라는 오랜 우리말이 어떻게 결이 다르고 말밑이 새삼스러운가 하고 짚으면서, 우리가 다 다른 마을에서 다 다르게 빛나는 자리를 가꾸는 바탕을 사랑으로 다스리면 스스로 웃고 노래할 만하다는 이야기를 편다. 《가슴이 콕콕》은 두 아이가 서로 콕콕 찌르는 말로 갈라서다가 빗물이 톡톡 찾아들어 달래듯 새롭게 얼굴을 마주하면서 부드러이 앙금을 푸는 줄거리를 들려준다. 사랑으로 여기면 쿡쿡 찌르는 말이 안 나온다. 사랑으로 들으면 모두 반갑고, 사랑인 줄 모르면 다 밉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