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2.5.


《욕망하는 천자문》

 김근 글, 삼인, 2003.6.27.



해가 떨어진 뒤에는 쌀쌀하지만, 해가 오른 뒤에는 따뜻하다. 겉옷을 빨래한다. 올겨울을 잘 났으니 고마웠다. 숲노래 씨 겉옷은 얇다고들 하지만 이 겉옷으로도 얼추 스무 해를 살아왔다. 그나마 예전에는 이 겉옷조차 없이 살다가, 2003년 가을부터 이오덕 어른 글갈무리(유고 정리)를 할 적에 받았다. 이오덕 어른 큰아드님이 “자네는 겉옷도 없나? 여기는 산골이라 겨울이면 엄청 추운데, 어째 그러고 사나? 손 좀 줘 보이소. 손이 차갑네. 참 딱하게 사는구만. 우리 아버지가 입던 옷이지만 겨울에 너무 춥게 살지 말라.” 하시면서 입혀 주었다. 얼결에 이오덕 어른 살림(유품)을 받았다. 이오덕 어른 큰아드님은 아버지 옷을 다 불태우셨는데, 그야말로 갑작스레 받은 옷 한 벌이 불타지 않고 남아서 내 곁에 있고, 이 겉옷을 겨울에 보름 즈음만 입는다. 옷이란 안 입으면 곰팡이가 슬기에 해마다 며칠씩 입고 빨아 놓는다. 《욕망하는 천자문》을 읽으며 내내 아쉬웠다. 한자 밑자락을 밝히는 글은 안 나쁘지만 부스러기(지식·정보)를 짚다가 그친다. 중국사람이 지핀 살림을 누가 왜 글에 얹었는가를 다루면서, 우리는 우리말에 어떤 살림을 옮기는가를 나란히 바라보지 않는다면, 이런 책은 뜻있더라도 참 허전하다. 말이란 마음이잖은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2.4.


《화 괴물이 나타났어!》

 미레이유 달랑세 글·그림/파비앙 옮김, 북뱅크, 2022.8.5.



둘레에서 살살 긁거나 우격다짐으로 달려들어서 부아를 일으키려고도 한다. 긁쟁이나 주먹꾼을 맞받으면 곧장 싸움판으로 번진다. 살살 긁는 이는 엉터리이게 마련이요, 우격다짐으로 달려드는 이는 얼치기이기 일쑤이다. 이들 스스로 새롭게 배우면서 거듭나려는 마음이 있다면 벌컥 성내는 일이 없다. 뜬금없이 성내면서 우리를 들볶거나 괴롭히는 무리하테 맞서야 할까, 아니면 우리 꿈그림을 새삼스레 되돌아보면서 고요히 사랑으로 다독이는 마음이어야 할까. 남을 갉거나 긁으려고 하는 모든 말은 그이 스스로 갉아먹거나 깎아내릴 뿐이다. 하루하루 다스릴 꿈그림을 바라보면서 나아가면 넉넉하다. 읍내로 저잣마실을 다녀오는데 이웃일꾼(이주노동자)이 시골버스에 가득하다. 오늘 다같이 쉬며 마실을 나왔다가 들어가는구나. 《화 괴물이 나타났어!》를 읽었다. 뜻있는 그림책이되 몹시 아쉽다. 요즘 들어 이렇게 ‘짜증·골·부아·불길’을 터뜨리는 줄거리에 ‘배려·소통·불편·감정’을 풀어내는 책이 쏟아진다. 틀림없이 맺고 풀 삶 가운데 하나일 테지만, 어디에도 ‘사랑’이란 없이 ‘감정소모·감정배출’을 ‘싸움·겨룸·다툼’을 보여주다가 슬그머니 매듭짓는다. ‘불’은 ‘깨비(괴물)’이 아니다. 금을 긋는 싸움은 지겹다.


#MireilledAllance #GrosseColere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2.2.


《시계 만드는 아이 조니》

에드워드 아디존 글·그림/이덕남 옮김, 북뱅크, 2005.5.5.



아침 일찍 작은아이랑 순천으로 마실을 간다. 상주 푸른누리 한실 님을 만나서 《푸른누리 배달말집》을 어떻게 여밀 만할까 하고 이야기를 한다. 이러고 나서 순천 이웃님하고 ‘말·넋·삶’을 헤아리면서 ‘말씨(말씨앗)·마음씨(마음씨앗)’를 가꾸는 길이란 무엇인가 하는 이야기꽃을 편다. 말은 씨가 되고, 마음은 밭이 된다. 우리가 쓰는 모든 말은 우리 마음에 스스로 심는 씨앗으로 자란다. 어떤 말을 하느냐는 어떤 마음으로 가꾸는 어떤 사람으로 자라나느냐 하는 실마리이다. 거친말이나 막말을 일삼는 사람은 스스로 마음을 망가뜨린다. 남이 안 망가뜨린다. 늘 스스로 망가뜨린다. 그리고 남이 안 살린다. 노상 스스로 살린다. 거짓말은 다 티가 난다. 어떻게 티가 날까? 거짓말 탓에 둘레 사람이 고달프지 않고, 거짓말을 하는 그이 스스로 그이 삶을 망가뜨리니 그이가 스스로 죽으려는 꼴이다. 《시계 만드는 아이 조니》는 에드워드 아디존 님이 베푼 아름다운 그림책이다. 그런데 ‘시계 만드는’이란 말씨가 껄끄럽다. 이 그림책에 나오는 아이는 ‘공장 일꾼’이 아닌, 스스로 생각해서 ‘짓는 살림꾼’이다. “시계를 사랑하는 아이 조니”라든지 “시계를 생각하는 아이 조니”쯤으로 가닥을 잡아야 줄거리를 제대로 밝힐 수 있다.


#EdwardArdizzone #JohnnyTheClockmaker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2.3.


《민족혁명가 김원봉》

 이원규 글, 한길사, 2019.11.5.



아침 일찍 면사무소로 간다. 오늘 고흥군 도화면에서 ‘고흥군수 정책 토론회’라는 자리가 있다고 이웃님이 귀띔을 했다. 이런 자리가 있는 줄 마을알림도 없고 어디에서도 안 알렸는데 이웃님은 어떻게 알았을까? 면사무소에 가 보니 부릉이가 어린배움터 너른터까지 들어찬다. 가만 보니 ‘이장·개발위원·부녀회장’만 몰래 부른 자리였다. 그런데 ‘정책 토론회’란 이름이라고? 공영민 고흥군수는 “10년 후 고흥인구 10만의 기반구축을 위한, 2023 도화면민과의 지역발전 전략 토론회”라고 내걸되, 이끎이(사회자)도 없이, 도화면장은 귀퉁이에 물러앉은 채 혼자 떠들고 자랑한다. 고흥군에 나라돈 몇 조를 끌어들였으니 손뼉 좀 치라고 부추기고, ‘광주·고흥 고속도로’에 ‘서울·고흥 고속철도’를 뚫겠다고 외친다. 시골을 살리는 길이 아닌 ‘눈먼 돈잔치’만 끌어들이는 짓을 하겠다는 ‘몰래자리(비밀회의)’ 한복판에 어쩌다 앉은 하루가 참 쓸쓸하다. 어린이를 눈꼽만큼도 안 살피는 이들이 군수요 공무원이요 이장이다. 《민족혁명가 김원봉》을 띄엄띄엄 읽는다. ‘민족혁명’이란 뭘까? 이런 으리으리한 이름을 꼭 붙여야 할까? 그저 ‘한 사람’을 바라보면서 ‘작은 이웃’을 들여다보는 ‘살림읽기(역사읽기)’는 안 팔리는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2.1.


《짜장면이 오면》

 김찬곤 글·정연주 그림, 상상의힘, 2019.1.20.



포근하면서 높이 오르는 해를 느끼는 하루로구나. 느긋이 저녁을 마무르려는데 순천에서 이웃님 세 분이 찾아오신다고 해서 고흥읍으로 시골버스를 타고 나간다. 두 시간 즈음 이야기꽃을 편다. 말넋삶이 하나로 흐르는 숨결을 도란도란 주고받는다. 생각을 틔우려는 사람은 늘 스스로 눈길을 틔운다. 마음을 열려는 사람은 언제나 스스로 사랑을 활짝 연다. 생각하지 않는 사람은 외곬로 치달으면서 죽음길을 붙잡고, 생각하는 사람은 어깨동무를 하는 춤사위로 살림길을 노래한다. 밤빛이 환하게 퍼지는 자리이다. 《짜장면이 오면》을 읽고 아쉬웠다. 어린이한테 들려줄 글을 쓰려는 사람이라면, ‘어린이 옆이나 둘레’가 아닌 ‘어린이 곁에서 어깨동무를 하며 노래하고 놀고 춤추고 함께 살림짓기를 하면서 숲빛으로 오늘을 그리면서 사랑을 씨앗으로 심는 길’이어야지 싶다. 서울(도시)에서 쳇바퀴로 굴러야 하는 어린이 모습을 구경하기만 하면서 쓰는 모든 글(동시·동화)이 어린이한테 이바지할 수 있을까? 얼핏 가려운 데는 긁을는지 몰라도, 오늘날 웬만한 어린이문학은 ‘소모품·소비재’ 같다. ‘서울 이야기’를 안 써야 할 까닭이 없다. 스스로 어른이라면 어느 곳에 서서 어떤 눈빛이어야 하는가를 생각할 노릇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