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2.15.


《피리 부는 거북이 자부치》

 제럴드 맥더멋 글·그림/서남희 옮김, 열린어린이, 2012.7.12.



먼지띠만 가득하던 하늘에 구름이 낀다. 이 구름은 먼지띠를 씻어내리는 비를 뿌려 줄까? 비가 뿌리기에 숨을 쉴 하늘이 밝고, 몸을 살리려고 마실 물이 맑다. 사람이건 풀꽃나무이건 짐승이건 풀벌레이건, 밝고 맑은 기운을 받아들이기에 스스로 빛나면서 싱그러이 살아갈 수 있다. ‘밝맑’을 잊을 적에는 숨결을 잃는다는 소리요, 삶을 등지고 살림하고 멀다는 뜻이다. ‘삶을 쓴다’는 무엇이겠는가. 쳇바퀴를 옮기기만 하면 삶쓰기가 아닌 틀박이로 흐른다. 언제나 다른 하루를 헤아리면서 스스로 생각을 지펴 밝맑이라는 기운으로 오늘을 노래하려는 마음일 적에 비로소 삶쓰기라 여길 만하다. 《피리 부는 거북이 자부치》를 아이들한테 읽힌 어버이나 어른은 무슨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을까? 그저 ‘좋은책’이니 읽으라고 건네고서 끝일까, 아니면 삶을 지우며 살림을 가꾸는 사랑은 언제나 ‘노래’가 바탕이요, 우리가 늘 읊는 ‘말’에 ‘마음을 살리는 숨결을 씨앗으로 담아야’ 스스로 빛나는 줄 알아채고는, 이런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을까? ‘말씨·마음씨·글씨·솜씨·맵시’ 같은 오랜 우리말에 ‘-씨’가 붙는 뜻을 읽어야 비로소 어른이다. 이 뜻을 모른다면 아무리 아름그림책을 많이 읽더라도 쳇바퀴에 갇히는 헛발질이다.


#JabutiTheTortoise #GeraldMcDermott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2.14.


《샹피뇽의 마녀 2》

 히구치 타치바나 글·그림/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22.4.15.



구름이 없지만 안 맑은 하늘이네. 뿌옇게 먼지띠가 덮는다. 시골이 이만큼 덮는다면 서울은 얼마나 뿌옇게 어지러울까. 돌림앓이가 온누리를 휘감을 즈음 하늘나루가 거의 닫으면서 하늘빛이 파랗게 돌아오고, 뱃길도 꽤 멈추면서 바다빛이 파랗게 반짝였다면, 이제 하늘도 바다도 들숲도 다시 뿌옇고 매캐하다. 아니, 그동안 쇳덩이(자동차)가 부쩍 늘면서 길은 더 막히고 어지럽다고 여길 만하다. 쇳덩이를 타고다니기에 나쁠 일은 없다. 쇳덩이가 뭔지 읽으려 하지 않으니 늘 스스로 좀먹을 뿐이다. 먼지를 가라앉히거나 달랠 풀꽃나무를 돌보려 하지 않으면 어찌 될는지 생각하는 일꾼이나 글꾼은 어디 있을까. 배움터에서는 무슨 이야기를 들려주고, 어른 자리에 있는 사람은 무슨 글을 쓰는가. 《샹피뇽의 마녀 2》을 읽고서 석걸음도 읽었다. 앞으로도 꾸준히 지켜보려고 한다. 그림결은 서툴고, 어긋나는 대목도 꽤 보이지만, 줄거리는 잘 잡은 듯싶다. 다만, 부피를 늘리려고 샛길로 빠진다든지 어거지로 자잘한 그림을 집어넣지 않으면 된다. 어린이나 푸름이한테 읽힐 수 있을는지는 아직 모르겠다. 끝에서 확 바뀌는 결이 없다면 숲노래 씨 혼자 읽다가 그칠 수 있으리라. 풀꽃이 궁금하면 풀꽃한테 물어보면 모든 수수께끼를 누구나 푼다.


#シャンピニオンの魔女 #樋口橘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2.13.


《쌀을 닮다》

 이현주 글·강진주 사진, 진주식당, 2019;5.15.



봄이 코앞이되 아직 늦겨울이다. 날은 꽤 쌀쌀한데, 늦겨울 쌀쌀바람은 첫겨울이나 한겨울에 대면 되게 부드럽다. 비는 먼지잼보다 조금 굵었다. 이만 한 비로는 오늘날 매캐한 하늘을 씻기는 벅차구나. 온나라에 서로 미워하고 싫어하면서 갈라치기로 치닫는 말이 춤춘다. 책조차 갈라치기 부스러기(지식·정보)를 담기 일쑤요, 이쪽에 선 책이 많이 팔리느냐 저쪽에 선 책이 많이 팔리느냐 하고 겨룬다. 이러는 동안 참빛을 다루는 착한 책이나 정갈한 책이나 아름다운 책은 밀리는 듯싶다. 모든 무리짓기는 ‘나만 옳다’는 마음을 서로서로 욱여넣으려는 주먹다툼이다. 무리를 짓지 않고 홀로서기를 하는 사람은 홀가분하니, 스스로 날개를 펼쳐서 가볍게 바람을 타고 꿀꽃가루를 누리는 나비랑 동무하며 살아간다. 《쌀을 닮다》를 장만하고서 이태 남짓 묵혔다. ‘나락’도 아니고 ‘벼’도 아닌 ‘쌀’을, ‘담다’도 아닌 ‘닮다’라고 하는 마음이 뭔가 하고 생각했다. 이 책은 시골사람이 못 본다. 글씨가 깨알보다 작고 안쏠림이라 먹혀든다. 104쪽에 비로소 ‘낫’을 담는데 조선낫도 아닌 왜낫이다. 논밭일은 호미·낫·쟁기가 바탕인데, 나락도 벼도 아닌 ‘쌀’을, 누런쌀 아닌 흰쌀만 바라보느라, 새도 거미도 이슬도 풀벌레도 놓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2.12.


《작은 시집》

 김연희 글, 꾸뽀몸모, 2015.1.2.



비가 올 듯 말 듯하면서 안 오다가 살짝 뿌리는 하늘. 겨울이 수그러드는 늦겨울비가 올 동 말 동하면서 그냥 지나가려나. 조용히 흐르는 오늘이다. 큰아이가 밤마다 만나는 꿈누리 이야기를 글로 차곡차곡 옮겼단다. 숲노래 씨더러 읽어 보라고 보여준다. 천천히 읽기로 한다. 한밤에 마당에 나왔더니 앵두나무 쪽에서 개구리 한 마리가 가늘게 운다. 초피나무 쪽에서 울던 개구리가 살살 이쪽으로 왔을까. 어쩌면 그럴 수 있으나, 다른 개구리일 수 있다. 우리 집에는 여러 개구리가 여기저기에서 다 다르게 살아간다. 얼추 다섯 가지를 보았다. 두꺼비도 함께 살아가는데 맹꽁이는 아직 못 본다. 언젠가 맹꽁이까지 우리 집에 깃들 수 있으려나. 부산 이웃인 ‘곳간’ 지기님이 《작은 시집》을 보내 주셔서 고맙게 읽었다. 요즈막 쏟아지는 숱한 ‘시집’은 참으로 읽어 주기 어려운데, 가뭄에 단비처럼 젖어드는 노래라고 느낀다. 참 오랜만에 ‘노래’를 느낀다. ‘시’를 쓰려 하지 말고, 삶을 ‘노래’하려 하면 누구나 노래님이 되는데, 어쩐지 ‘노래님’이기를 바라는 사람은 드물고, 하나같이 ‘시인’이라는 허울을 뒤집어쓰려 한다. ‘시인이 창작하는 시라는 문학’에 삶이 있는가? 없다. ‘굴레’도 삶이라면 시도 문학이긴 하겠지.


https://smartstore.naver.com/dasibookshop

〈다시서점〉에서 《작은 시집》을 살 수 있다.


나도 닮고 남편도 닮은

아이들은 노래처럼 속삭인다

엄마 나는 보배이지요?

이 세상에 선물로 왔지요?

나는 보이지 않게 고개를 끄덕이고

거울을 본다 (이를 닦다가/17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2.11.


《서울 골목길 비밀정원》

 김인수 글·사진, 목수책방, 2019.11.5.



부엌일을 하고, 글일을 추스르고, 빨래를 하노라니 어느새 13시 50분. 뒷일은 큰아이한테 맡기고서 부랴부랴 작은아이랑 짐을 챙겨 마을 앞으로 간다. 14시 시골버스를 타고 읍내로 간다. 2월 28일까지 고흥읍 커피집 〈카페 보아즈〉에 내걸 새 노래판(동시그림판) 23자락을 챙겼다. 그동안 내건 노래판을 뗀다. 새로 노래판을 걸고서 작은아이랑 잎물을 한 모금 한다. 이러고서 붕어빵을 장만해서 집으로 돌아간다. 아침나절에는 구름이 제법 끼는구나 싶더니 밤에는 싹 걷히고 별이 가득하다. 《서울 골목길 비밀정원》은 서울이라는 고장이 왜 서울빛인가 하는 대목을 다리품으로 보여준다. 진작에 나왔어야 할 책인데 2019년에서야 나오는구나. 글님은 ‘비밀정원’이라 했는데, 골목꽃이나 골목밭은 ‘숨은뜰(비밀정원)’이 아니다. 골목사람은 볕이 잘 드는 곳에 꽃밭을 꾸린다. 마을사람도 나그네도 새랑 나비랑 풀벌레도 스스럼없이 누릴 작은 ‘서울쉼터’가 골목길이다. 큰고장이건 작은고장이건 부릉이(자동차)를 걷어치우고서 조곤조곤 ‘골목빛’을 바라보기를 바란다. 어려운 말을 걷어내듯 쇳덩이를 걷어낼 적에 온누리 어느 곳이나 사람빛으로 반짝이고, 숲빛이 스며들고, 살림빛이 깨어난다. 글빛도 그림빛도 풀빛에서 비롯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