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4.19.


《엄마도 페미야?》

 강준만 글, 인물과사상사, 2022.8.12.



읍내로 우체국마실에 저잣마실을 다녀온다. 안개비처럼 뿌연 하루이다. 어떤 이는 이런 날씨를 ‘구질구질’이나 ‘지랄맞다’로 나타내지만, 숲노래 씨는 ‘부슬부슬’이나 ‘자잘한 소리를 잠재우며 잎싹이 트는 하루’로 여긴다. 멧새랑 개구리랑 풀벌레가 함노래를 이루는 놀라운 한봄이다. 오롯이 시골사람 눈길로 이 날씨를 바라보고 얘기한다. 비가 어떻게 구질구질하겠는가? 비가 지랄맞다니 뭔 뜬금없는 마음인가? 비가 오는 까닭을 잊거나 등지는 사람이 구질구질하고, 들숲바다를 등돌린 채 서울에 박힌 하루가 지랄맞지 않은가? 《엄마도 페미야?》는 첫머리는 뜻깊게 여는가 싶더니, 복판을 지나고 끝으로 갈수록 길을 잃었구나 싶다. 강준만 씨는 토막글은 잘 쓰되, 어쩐지 ‘책 한 덩이’로는 엉성하다. 이모저모 바라보며 곧게 내는 목소리는 훌륭하지만, 너무 ‘정치·언론·사회’라는 눈으로 재려고 든다. 이녁 잣대는 옳다. 그러나 예나 이제나 ‘손수 짓는 삶·집살림을 하는 몸·숲을 품는 마음’이 빠졌다. 이제는 글(이론)로만 이야기를 엮지 말고, 제발 집안일을 하는 손길과 숲에서 숨쉬는 몸짓으로 피어나기를 빈다. “엄마도 페미야?”라고 하는 슬프면서 아픈 오늘날 우리 민낯으로 ‘다가서기’만 하면 끝이 아니다.


ㅅㄴㄹ


개탄과 분노만 할 게 아니라 이에 대한 성찰부터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넋두리와 부아만 내지 말고 이를 되새겨 보아야 좋을 듯하다

→ 한숨에 발칵만 하지 말고 이를 곱씹어 보면 좋을 듯싶다


그냥 지지의 뜻만 밝히거나 박수만 쳐야 한다

→ 그냥 받들거나 손뼉만 쳐야 한다

→ 그냥 떠받들거나 손뼉만 쳐야 한다

→ 그냥 치켜세우거나 손뼉만 쳐야 한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4.18.


《나무의 어두움에 대하여》

 이난영 글·그림, 소동, 2023.3.8.



비가 가볍게 뿌릴 동 말 동하다. 등허리를 가만히 펴면서 집안일을 돌본다. 큰아이가 ‘람타(www.ramtha.com)’ 이야기를 배운다. 이제 스스로 마음꽃을 피우면서 꿈씨앗을 가다듬는 얼거리를 차근차근 여민다. 씨앗(양자물리학)을 읽을 줄 알아야 마음을 다스리고, 생각을 밝히면서, 삶을 스스로 짓는다. ‘씨앗’은 ‘부스러기(이론·지식·수식·과학·수학)’가 아니다. 소쩍새에 휘파람새에 범지빠귀에 제비에 박새에 직박구리에 할미새에, 온갖 새가 노래물결을 이루고, 개구리하고 풀벌레가 나란히 노래잔치를 여민다. 이 봄날에 불쑥불쑥 터지는 한 마디는 “대단하구나!”이다. 《나무의 어두움에 대하여》를 읽고 보니 ‘나무’ 이야기가 아닌, 글쓴이 스스로 마음을 어둡게 누른 이야기로구나 싶다. 그러면 처음부터 대놓고 “나는 어둡다”라 밝힐 노릇이다. 스스로 갉은 “내 어둠”을 고스란히 보면 된다. 밤이 와야 새벽이 밝는다. 밤을 맞이해야 몸을 쉬면서 새빛(아침)으로 나아간다. 어둠(밤빛)은 안 나쁘다. 낮을 내려놓아야 비로소 나를 낮추면서, 다시 나한테 나무 같은 푸른빛을 베풀 수 있다. 나를 사랑하면 언제나 쉽고 수수하게 말할 텐데, 이 책에 춤추는 얄궂거나 어려운 꾸밈말(지식인 말씨)도 퍽 아쉽다.


ㅅㄴㄹ


나무에 대한 일말의 지식도 추억도 없는 내가

→ 나무를 하나도 모르고 이야기도 없는 내가

→ 나무를 쥐뿔도 모르고 얽힌 일도 없는 내가

→ 나무를 잘 모르고 떠올릴 얘기도 없는 내가


왜 뭇 생명들은 강제로 이주를 당하고, 뿌리 뽑히는 삶을 살아야만 할까

→ 왜 뭇목숨은 억지로 옮기고, 뿌리뽑히며 살아야만 할까

→ 왜 뭇숨은 마구 쫓기고, 뿌리뽑히는 삶이어야만 할까


황급히 새들이 날아와 나무의 어두움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 새가 바삐 날아와 나무 사이로 사라졌습니다

→ 새가 부랴부랴 날아와 나무 틈으로 사라졌습니다


들판에서 꽃을 키우는 게 아닌 이상 씨앗을 채취해야만 자라날 꽃에게도 좋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 들판에서 꽃을 키우지 않는다면 씨앗을 받아야만 자라날 꽃한테도 좋은 줄 깨달았다


쉬는 날에 가끔씩

→ 쉬는 날에 가끔


가끔씩 할머니가 앉아 있던 계단에 앉아

→ 할머니가 앉던 디딤턱에 가끔 앉아

→ 할머니가 앉던 자리에 이따금 앉아


틈새마다 양치식물이 가득한 그 길은 거대한 나무가 있는 숲길처럼 신비롭고 오래된 느낌을 준다

→ 틈새마다 홀씨풀이 가득한 길은 우람한 나무가 있는 숲길처럼 그윽하고 오래된 듯하다


홀로 선 나무는 격정적인 춤을 추고 있었다

→ 홀로 선 나무는 신나게 춤을 추었다

→ 홀로 선 나무는 힘차게 춤을 추었다

→ 홀로 선 나무는 활활 춤을 추었다


벌목 이후 벌거벗은 땅에서는 수많은 씨앗이 발아해 푸르름을 더했다

→ 잘려서 벌거벗은 땅에서는 숱한 씨앗이 싹터 더 푸르다

→ 베어나가 벌거벗은 땅에서는 온갖 씨앗이 나와 짙푸르다


이 세상에는 단지 살아 있다는 이유만으로도 아름다운 존재들이 참 많다

→ 이 땅에는 살아숨쉬기만 해도 아름다운 숨결이 참 많다

→ 온누리에는 그저 있기만 해도 아름다운 숨빛이 참 많다


꽃잎처럼 앉아계신다

→ 꽃잎처럼 앉으신다

→ 꽃잎처럼 앉는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4.17.


《참된 시작》

 박노해 글, 창비, 1993.6.15.첫/2012.10.22.2판 16벌



쉰다. 푹 쉰다. 일어나서 맨발로 마당이랑 뒤꼍을 걷다가 다시 쉰다. 멧새노래를 듣고 개구리노래를 듣는다. 드러누워 등허리를 펴고 팔다리에 기운을 끌어올리면서 바람노래를 듣는다. 살림집이나 일터에서 듣고 보고 맞아들이는 숨결이 우리 몸과 마음을 고스란히 이룬다. 엊그제부터 ‘내가 안 쓰는 말’이라는 이름으로 노래꽃(시)을 차곡차곡 여민다. 여태까지는 ‘내가 쓰는 말’을 썼고, 이제부터는 ‘내가 안 쓰는 말’을 글이름(제목)으로 붙여서 이야기를 담아낸 뒤에, ‘왜 이런 낱말을 안 쓰면서 이 삶을 누리는지’를 보탬말로 얹는다. 《참된 시작》이 처음 나오던 해에는 푸름배움터 막바지였다. ‘전향서’란 이름으로 ‘뉘우침글(반성문)’을 쓰고 사슬에서 벗어난다는 박노해 씨를 놓고서 한참 말이 많았는데, 무슨 글을 쓰든 그분들 마음이다. 글 한 줄로 모두 바꿀 수 없지만, 바로 글 한 줄부터 모두 바꾸는 첫걸음이다. 퍽 오랜만에 《참된 시작》을 읽자니, 1993∼2023년이라는 나날을 비추는 ‘1993년 첫씨앗’은 ‘옷(겉옷·치레)’이었구나 싶다. 요새 《노동의 새벽》을 되읽었는데, ‘일하는(노동자) 말’이 아닌 ‘먹물(지식인) 말씨’였다. 접었다. 일하고, 살림하고, 놀고, 노래하고, 숲을 품으면 ‘살림말’일 텐데.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4.16.


《테세우스의 배 2》

 히가시모토 도시야 글·그림/장선정 옮김, 비채, 2023.1.13.



아침에 걸어서 ‘보수동책골목’으로 간다. 오늘은 〈대영서점〉에 들른다. 책골목을 지키면서 돌보는 사람은 바로 ‘수수한 책집지기’이다. 책집과 책골목과 책을 알려면 ‘책집에 가서 한나절 머물면서 조용히 책을 읽고서 장만하면’ 된다. 예나 이제나 적잖은 글꾼(서평가·평론가·지식인)은 책집마실을 안 하면서 글을 쓴다. 이들 글꾼은 참말로 책을 사읽나? 남(다른 글꾼·펴냄터)이 거저로 주는 책만 받는가? 누리책집에서만 사는가? 〈낭독서점 시집〉을 들를 수 있을까 했는데, 알림판에 여러 가지가 다 떨어지고, 짐을 꾸려서 나가려는 낌새이다. 책집을 비우려면 얼른 비워야 할 텐데, ‘폐허’인 모습을 한참 그냥 두는 듯싶다. 시외버스가 달려 섬진강에 광양·순천·벌교를 지나 고흥으로 들어선다. 짐꾸러미를 지고 인 채 걷다가 제비 세 마리 노랫소리를 듣는다. 시끌소리를 막으려고 소릿줄(이어폰)을 했는데, 제비 노랫가락은 소릿줄을 갈로질로 온몸으로 꽂힌다. 마음을 기울이면 언제 어디에서라도 다 보고 듣고 누릴 수 있다. 《테세우스의 배》를 거의 다 읽었다. 마지막 두 자락만 남겼다. ‘사랑’을 못 받았다고 여기는 마음으로 ‘스스로 미워하기’를 하다가 ‘남을 미워하며 불태우기’로 치닫는 사람들 모습이 슬프다.


#テセウスの船 #東元俊哉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4.13.


《버마전선 일본군 위안부 문옥주》

 모리카와 마치코 글/김정성 옮김, 아름다운사람들, 2005.8.8.



하늘은 맑고 파랗다. 작은아이는 오늘도 뒤꼍하고 옆터에서 풀놀이를 하느라 바쁘다. 자전거를 달려 면소재지 중국집에서 짜장국수를 시켜서 나른다. 전화로 여쭐 수 있되, 전화로 시키면 플라스틱이 수북히 쌓인다. 집에서 통을 챙겨서 자전거를 달리면, 플라스틱 쓰레기는 하나도 없다. 들길을 땀나게 달리면서 짜장국수를 나르면서 봄바람을 마시고 봄볕을 머금는다. 언제부터 통을 챙겨서 다녔는지 돌아본다. 어릴 적에 어머니 심부름으로 가게를 다녀올 적에도 챙겼고, 혼자 살던 스물∼서른에도 으레 챙겼고, 아이들이 우리 곁에 온 뒤로도 챙겼다. 얼추 마흔 해쯤 몸에 밴 살림길이다. 이튿날 부산으로 짊어질 책을 꾸린다. 책꾸러미를 잘 안고서 가자. 《버마전선 일본군 위안부 문옥주》를 되읽었다. 도무지 안 팔려서 일찍 판끊긴 책이다. 지난 2005년에 이 책을 장만할 적부터 ‘아, 이 책은 한 해도 못 버티고 책집에서 사라지지 않을까?’ 하고 걱정했다. 이렇게 꽃할매(종군위안부 피해자) 이야기를 속깊이 다룬 아름책은 오히려 사람들이 등돌리고, 글바치(기자·평론가·작가)도 모르쇠이더라. 꽃할매는 젊은날 봄꽃으로 피어나는 길이 뚝 끊긴 삶이었지만, ‘늦꽃’으로 새롭게 사랑을 우리한테 속삭이는 길잡이라고 느낀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