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8.14.


《미즈키 시게루의 히틀러 전기》

 미즈키 시게루 글·그림/김진희 옮김, AK커뮤니케이션즈, 2023.7.15.



요즈막 햇볕은 이제 가을스럽다. 아직 늦여름이되 어느새 가을 어귀이다. 해가 저물면 제법 서늘하고, 새벽이 더디고 아침도 차츰 늦다. 한낮에는 아직 후끈후끈하다. 곧 나락꽃이 피리라. 오늘은 흰쌀을 장만하러 저잣마실을 간다. 작은아이하고 시골버스를 탄다. 흔들흔들 시골길을 한참 달린다. 20분 즈음 달리되, 이 길은 ‘서울 명동’부터 ‘광명시청’까지 가는 셈이다. 시골에서 마을하고 읍내는 꽤 멀다. 우리 마을에서 ‘녹동’이나 ‘나로’로 가는 길은, 서울에서 인천까지 가는 길만큼 멀다. 다만 큰고장은 사이에 빼곡하게 잿집이 있고, 시골은 사이에 들숲바다가 있다. 《미즈키 시게루의 히틀러 전기》를 읽었다. 테즈카 오사무 님이 그린 《아돌프에게 고한다》하고 살짝 다르되, 멍청하고 어리석은 싸움수렁을 찬찬히 들려준다. 히틀러 한 놈만 멍청했기에 독일과 뭇나라를 잿더미로 몰아넣지 않았다. 우리는 으레 ‘우두머리 한 놈’만 탓하거나 나무라는데, 이런 이들은 왜 우두머리가 될 수 있겠는가? 우리가 스스로 살림을 짓는 하루하고 등지고, 우리가 서로 마음으로 만나서 어깨동무하는 사랑을 잊는 탓이다. 어른은 ‘앙갚음(보복)’이 아닌 ‘풀기(화해)’를 한다. ‘풀기’는 ‘잊음(망각)’이 아닌 ‘품·풀·숲’이다.


ㅅㄴㄹ


#水木しげる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8.7.


《womankind vol. 20》

 나희영 엮음, 바다출판사, 2022.8.1.



풀벌레노래가 없는 아침을 맞이한다. “부산이니까 그렇지 뭐.” 하고 혼잣말을 하다가, 두멧시골 아닌 온나라 모든 곳이 새·개구리·매미·풀벌레가 새벽을 알리지 않는다면, 하루 내내 푸른노래를 못 듣는다면, 사람들은 무슨 소리를 마음에 담으면서 스스로 삶을 꾸리려나? 엄청나게 끔찍하지 않은가? 사람이 사람다움을 잊고, 순이돌이가 순이돌이다움을 잃는 까닭은 숲을 등진 탓 아닌가? ‘다움’은 굴레가 아닌 빛이다. 나무는 나무답기에 나무이다. 나비는 나비답기에 나비이다. 사람은 사람다워서 사람이다. 왜 가시내나 사내란 몸인가? ‘이 몸으로 사랑을 펴는 길을 누구나 스스로 골랐기 때문’이다. 이쁜 몸이나 얼굴이 아니고, 못생긴 얼굴이나 몸이 아니다. 저마다 다른 삶이자 길이자 하루이다. 그런데 숲빛을 등지고 서울(도시)만 마주하는 사이 그만 ‘왜 이 몸을 입고 사랑을 펴려고 태어났는가’를 몽땅 잊어버린다. 《womankind vol. 20》을 돌아본다. ‘맨카인드’는 어리석은 낱말인데, 굳이 ‘우-’를 앞에 붙여 함께 어리석지 않기를 빈다. 가르기에 갇힌다. 영어는 ‘man’를 돌보려고 ‘wo + man’으로 순이가 앞에 선다. 우리말은 그냥 ‘암수·어버이·가시버시’처럼 처음부터 고스란히 순이가 앞에 있다. 눈을 뜨자.


+


※ 덧붙이면, 돌이(남성·man)는 홀로서지 못하는 숨결이다. ‘심부름’은 하되 ‘일’을 하지는 못하는 돌이인데, 곁에서 순이(여성·woman)가 길머리를 잡는 멧숲(갓)으로 품기에 사랑을 알아보고서 ‘일하는 사람’으로 스스로 설 수 있다. 그러나 순이가 돌이를 일깨우는(일을 시키고 잠을 깨워 가르치는) 노릇을 안 하고서 가르기(분열)만 한다면, 돌이는 순이한테서 ‘가르기(편가르기·싸움)’를 배워서 그만 끼리끼리·서로서로 가르고 싸우는 굴레에 갇힌다. 이러면서 돌이도 순이도 서로 미워하는 마음만 키운다. 처음부터 돌이도 순이도 어느 쪽이 크거나 작지 않고, 낮거나 높지 않다. 그저 ‘암·수’로 태어날 뿐이다. ‘나·너’로 ‘우리’인 ‘사람’일 뿐이기에, 둘로 나타는 사이에서 사랑을 짓는 숨결로 푸르게 숲을 이루어야 빛나는 하루로 나아간다. 낱말에 얽힌 수수께끼를 풀면서 생각을 지필 노릇이다. ‘말장난’이 아닌 ‘말풀이’를 하면서, 순이돌이 둘이 어깨동무하면서 서로 사랑으로 마주할 새길을 찾도록 북돋우는 몫을 하기에 비로소 ‘어른’이자 ‘어버이(어머니 + 아버지)’라 할 수 있다.


영어로 보면 ‘man’은 “잠든 마음”이다. ‘잠든 마음(man)’ 앞에 ‘wo(wonder·wolf·warm)’가 찾아들어서 감싸고 가르치고 깨우기에 둘은 새롭게 하나인 사람으로 일어선다. 다만 ‘warm’을 잊으면서 ‘m(man)’을 그저 쳐내려고만 하면 ‘가시(war)’로 서고 만다.


우리말 ‘머스마’는 ‘머슴’이다. 우리말에서 ‘사내’가 왜 ‘머슴’이겠는가? ‘가시내·사내’에 똑같이 ‘-내’라는 말이 붙는 밑뜻을 읽어낼 노릇이다. ‘가시’는 ‘갓’이다. ‘갓’이 품는 깊고 넓게 힘센 숨결을 헤아릴 수 있다면, 이러한 낱말을 뿌리로 ‘가다’라는 낱말이 ㄱㄴㄷ에서 첫머리를 여는 수수께끼까지도 읽어낼 수 있다. ‘사내’는 ‘사다(삼다·살다·서다·설다·섬기다)’를 바탕으로 ‘사랑’으로 가려는 넋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8.8.


《만화 그리는 법》

 소복이 글·그림, 유유, 2021.8.4.



두바퀴를 달려 면소재지에서 모기그물을 산다. 가운칸 헌 모기그물을 떼고서 새로 단다. 바람이 훅훅 시원하게 흐른다. 흠씬 쏟은 땀줄기를 씻어낸다. 올해에는 8월에 들어선 뒤에라야 가운칸 미닫이를 연다. 그만큼 무덥지 않은 우리 보금자리였고, 우리 살림집을 둘러싼 푸나무가 잘 자라 주었다. 앞으로 열다섯 해쯤 더 지나면 더욱 푸르면서 시원하고 포근하리라. 저녁나절에는 등허리를 펴고 밤새 풀노래를 누린다. 《만화 그리는 법》을 아쉬우면서 안타깝게 여기면서 읽었다. 그림꽃을 여미는 분 누구나 ‘만화란 무엇인가’를 들려줄 만하되, 소복이 씨는 아직 그림꽃을 얼마 안 그렸을 텐데? 담아낼 삶을 담아내려면 삶눈을 밝힐 일이다. 글바치나 그림바치 모두 ‘외곬눈’ 아닌 ‘온눈’으로 바라보도록 스스로 다스리고 담금질을 할 적에 천천히 빛난다. 그동안 소복이 씨가 그린 그림꽃은 겉멋이 짙다. 힘을 빼고 허울은 걷어내고서 ‘말’도 수수하게 추스르는 길을 처음부터 배울 노릇이다. 이 나라에 태어났기에 ‘우리말’을 누구나 ‘제대로’ 펴지 않는다. 테즈카 오사무 님이나 미즈키 시게루 님이나 후지코 후지오 님이 선보인 ‘그림꽃을 말하는 책’을 보라. 아니면, 타카하시 루미코 님이 어떻게 그리는지를 좀 살펴보라.


ㅅㄴㄹ


너무 사소하고 아무것도 아닌 이야기도 만화가 되면 나조차 몰랐던 생각과 느낌이 만화 속에 담긴다

→ 작고 아무것도 아닌 이야기를 그림꽃으로 담으면 미처 몰랐던 생각과 느낌이 흐른다

→ 우리 삶을 그림꽃으로 옮기면 여태 몰랐던 생각과 흐름이 이야기로 피어난다

92쪽


내가 말해 준 것 중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한 것은?

→ 내가 한 말 가운데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면?

→ 내 말 가운데 말도 안 된다고 생각했다면?

97쪽


처음 만화를 시작했을 때

→ 처음 그림꽃을 했을 때

→ 처음 그려 보았을 때

100쪽


감동적인 남의 글을 만나는 일은 쉽지 않지만

→ 남이 쓴 글은 아름답다고 잘 느끼지 않지만

→ 아름다운 다른 글을 만나기는 쉽지 않지만

11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8.9.


《황금의 꽃 1》

 이현세 글·그림, 학산문화사, 2023.3.24.



엊저녁부터 구름이 모였고, 아침에 비를 뿌린다. 비는 오다가 멎기를 되풀이한다. 바람도 조금 세게 불다 잠들기를 되풀이한다. 마을 곳곳에서 쇠낫으로 풀을 치는 소리가 한참 퍼진다. 드디어 이 모든 자잘소리를 잠재우는 비가 시원스레 쏟아지고 바람도 훅훅 분다. 밤새 돌개바람이 가볍게 흔드는 사이사이 풀벌레 노랫가락이 섞인다. 풀벌레하고 풀 한 포기를 나눌 수 있기에, 우리 스스로 푸른바람을 머금고, 새가 먹이를 잡는다. 나무 한 그루를 돌볼 수 있기에, 매미가 깨어나 노래하고, 거미랑 새가 살림을 지으며, 사람도 푸른터를 누린다. 《황금의 꽃》이 스물일곱 해 만에 다시 나온다. 한겨레가 선보인 그림꽃이라 해도 오늘날 되읽히기 창피한 줄거리에 그림이지 않은가? 이런 그림꽃을 다시 낼 돈을 쓰지 말고, 《이 세상의 한 구석에》 같은 그림꽃을 되살리기를 바란다. 사람을 노리개로 다루는 나라(국가질서)를 나무라는 《황금의 꽃》이 아닌, 오히려 사람을 노리개로 다루는 줄거리로 눈길을 끌면서 이 얼개를 단단히 굳히려는 《황금의 꽃》이지 싶다. 이와 달리 ‘코오 후미코’라는 ‘히로시마 그림순이’가 여민 그림꽃은 ‘수수한 사람이 수수하게 일굴 푸른나라’를 수수한 들꽃으로 여미어 낸다. 우린 언제쯤 들꽃을 볼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8.10.


《여자도 달릴 수 있어!》

 아네트 베이 피멘텔 글·미카 아처 그림/정수진 옮김, 청어람아이, 2018.8.8.



새벽에 조금 세게 부는구나 싶던 바람이 아침에는 잦아들더니 이내 해가 난다. 고흥은 가볍게 지나가는 돌개바람이다. 곰곰이 보면, 큰물을 막아야 한다는 핑계로 멧자락을 허물고 잿더미(시멘트)를 들이붓는 삽질을 하려고, 자꾸 두려움씨를 심는다. 그러나 푸나무를 걷어내고서 잿더미를 씌우면 빗물이 매우 빠르고 거칠고 크게 휩쓴다. 풀숲하고 나무숲이 있을 적에는 풀뿌리랑 나무뿌리랑 흙이 빗물을 잡고 가둔다. 사람들이 들숲을 밀고서 잿더미를 늘릴수록 작은 돌개바람에도 큰물이 번진다. 더위를 다스리고 추위를 눅이며 큰물이며 가뭄을 다독이는 길은 오직 하나 ‘숲’이다. 저물녘에는 구름이 다 걷히고 별잔치를 이룬다. 모든 별이 깜빡이고, 미리내가 하얗게 밤하늘을 가로지른다. 이웃 누구나 별밤에 미리내를 맨눈으로 누리도록 서울 한복판도 숲으로 바꾸길 빈다. 《여자도 달릴 수 있어!》를 읽고서 돌아본다. “Girl Running”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누구나 달리기”를 바라는 마음인가, ‘두려움씨’ 못지않은 ‘미움씨’를 심으려는 굴레인가? 누구나 함께 맨발로 들숲바다를 달리기를 바란다. ‘우리 쪽’만 바라보려는 굴레가 아닌 ‘어깨동무하는 누구나’를 헤아리는 살림숲을 품을 수 있기를 빈다.


ㅅㄴㄹ


#GirlRunning #AnnetteBayPimentel #MichaArcher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