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6.6.


《가난한 사람들의 선언》

 프란시스코 판 더르 호프 보에르스마/박형준 옮김, 마농지, 2020.4.30.



새벽까지는 비이다. 아침부터 해이다. 가볍게 일렁이는 바람을 느끼다가, 두바퀴를 달려 들길을 가른다. 뒤꼍 개오동나무 꽃내음이 물씬 번진다. 해마다 맡은 달근한 꽃내음이 개오동나무였구나. 곰곰이 생각하자니, 인천 골목 곳곳에 오동나무도 개오동나무도 있다. ‘개’란 앞말이 붙으면 어쩐지 얄궂게 여기지만, “날이 개다”라든지 ‘갯벌’처럼 쓰는 ‘개’요, “이불을 개다”처럼 쓰기도 하다. 우리는 그야말로 우리말을 모르거나 등진다. ‘참꽃·개꽃’에서 ‘개’는 못 먹는다는 뜻일 뿐일까? ‘개나리’나 ‘개살구’는 무엇을 가리킬까? 스스로 생각하고 마음을 기울여야 한다. 《가난한 사람들의 선언》을 읽었다. 잘 여민 책이되, 참 어렵다. 가난한 사람들 가운데 누가 ‘선언’을 하겠는가. “가난한 사람들은 외친다”고 해야지. “가난한 사람들 목소리”라고 해야지. 이웃을 헤아리려고 한다면, 이웃이 마음을 가꾸고 생각을 밝히는 말을 살릴 노릇이다. 우리는 누구나 사이에 있다. 사람 사이에도, 마을 사이에도, 숲 사이에도 있을 뿐 아니라, 뭇별 사이에도 있다. 별하고 별 사이에 있는 나를 본다면, 너랑 나 사이에 바람이 흐르는 줄 느낀다면, 우리는 새롭게 눈을 뜨고 숨을 틔워서 활짝 피어날 만하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8.19.


《도시 상상 노트》

 제종길 글·이호중 그림, 자연과생태, 2018.3.10.



아침에 부천으로 간다. 〈용서점〉으로 걸어가는 길에 〈대성서점〉이 여는 모습을 본다. 이다음 부천마실을 할 적에 들르자고 생각한다. 우리가 찾는 책에는, 우리가 찾고픈 마음이 흐른다. 우리가 읽는 책에는, 우리가 익히고픈 숨결이 도사린다. 무엇을 찾거나 어느 길을 익히든 대수롭지 않다. ‘나다움’을 바라보면서 ‘우리(하늘)’로 어우러질 ‘너(너머)’를 보면 된다. 이윽고 서울 〈악어책방〉으로 건너가서 노래꽃수다(시창작교실)를 편다. 요새는 시골 어린이도 배움수렁(학원지옥)에 갇히지만, 서울 어린이는 너무 끔찍하게 배움수렁에 잡힌다고 느낀다. 저녁에 〈숨어있는 책〉에 들른다. 밤에 〈이 세상의 한 구석에〉를 다시 본다. 《도시 상상 노트》를 읽었다. 여러 이웃나라를 돌면서 우리나라 서울(도시)이 배울 대목이 무엇인가 하고 간추린 꾸러미이다. 그런데 책이름에 우리말이 없다. “서울을 그리다”나 “마을을 그리다”로 바라본다면, 굳이 먼먼 여러 나라를 다녀오지 않아도, 이곳에서 오순도순 어울릴 길을 찾을 만하다. ‘그리’지 않으니 ‘짓’지 않는다. 생각하지 않으니 사랑하지 않고, 사랑하지 않으니 생각하지 않는다. 나를 나로서 바라보기에 날개를 펴지만, 나를 안 보는 탓에 낡고 늙을 뿐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8.20.


《호기심 많은 고양이》

 버나딘 쿡 글·레미 찰립 그림/햇살과나무꾼 옮김, 비룡소, 2002.3.23.첫/2016.1.23.고침



서울 가좌나루 둘레 마을책집 네 곳을 들른다. 해날에는 안 열거나 늦게 연다. 그래도 책집 앞까지 걸어가면서 골목빛을 헤아리고, 노래꽃을 옮겨적어서 손잡이에 걸쳐놓는다. 일산으로 가시아버지한테 간다. 걷지도 못 하고, 쉬하러 움직이지도 못 하시는 몸이기에, 이제는 더 바깥일에 마음을 안 빼앗기면서 오롯이 ‘마음·나·하늘’을 읽을 때인데, 자꾸자꾸 ‘몸에 힘이 넘쳐서 밥도 많이 먹고 돈도 잘 벌던 예전’만 그리워하려고 하면서 갇힌다. 가시아버지는 스스로 갈 길을 갈 테지. 그러나 길은 언제나 누구나 스스로 바꿀 수 있다. 길손집에 일찍 드러누워 꿈나라로 간다. 《호기심 많은 고양이》를 돌아본다. 꽤 잘 여민 그림책이다. 무엇이든 궁금한 새끼 고양이는 스스럼없이 다가선다. 보라, 아기나 아이만 무엇이든 궁금할까? 어른이나 할매할배한테는 궁금한 일이 없는가? 삶이 여태 궁금했다면, 죽음을 이제 궁금하게 여기면서 똑바로 쳐다볼 일이 아닐까? 나무는 가을에 잎을 우수수 떨군대서 슬퍼하지 않는다. 들딸기는 겨울눈을 맞고 덩굴잎이 말라죽어도 섭섭하지 않다. 몸을 입은 넋을 바라보지 않을 적에는 어느 누구도 안 깨어난다.


#TheCuriousLittleKitten #BernadineCook #RemyCharlip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8.21.


《모나미 153 연대기》

 김영글 글, 돛과닻, 2019.11.14.



일산에서 아침을 맞는다. 부릉부릉 넘친다. 푸른노래가 없는 큰고장에서 아침을 맞고 밤을 보는 사람들은 삶죽음을 돌아볼 겨를이 없으리라. 삶부터 어질게 바라볼 틈이 없는데 죽음을 어떻게 슬기로이 맞아들일 수 있는가. 일산 가시아버지 끝낯(영정 사진)을 어떻게 골라야 할는지 모르겠다고 하기에, 이제는 활짝 웃는 얼굴을 넣어도 되고, 여럿 놓아도 되고, 가시아버지라면 우는 얼굴을 해도 된다고 얘기한다. 우리가 떠올릴 모습을 끝낯으로 삼으면 된다. 죽음은 덧없지 않고, 삶은 고되지 않다. 두 얼개를 읽는다면, 그야말로 하루하루 눈부실 텐데. 고흥 돌아가는 시외버스는 꽉 찬다. 글을 쓰다가 잠을 자다가 드디어 고흥읍에 닿는다. 20시 마지막 시골버스를 기다린다. 마을 어귀에 닿아 비로소 별밤에 풀벌레노래를 누린다. 《모나미 153 연대기》를 읽었다. 글붓 하나를 놓고서 풀어놓을 수다는 잔뜩 있을 텐데, 뭔가 ‘역사(연대기)’를 그려야 한다고 외곬로 몰아세웠구나 싶다. ‘발자국’이 아닌 ‘이야기’를 적으면 된다. ‘이름’이 아닌 ‘삶’을 펴면 된다. 글붓 한 자루를 누리고 나누고 즐기는 마음을 싣지 않으면 자꾸 샛길로 빠진다. 사잇길은 안 나쁘되, ‘사이 = 새’인 줄 모르면 그저 엇나갈 뿐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8.22.


《말하기를 말하기》

 김하나 글, 콜라주, 2020.6.30.



옆마을 포두면에 있는 포두중학교로 두바퀴를 달린다. 고개를 넘고 넘는다. 부릉부릉 옆으로 스치는 쇳덩이를 본다. 예전에는 걷거나 달려서 배움터를 오가는 사람이 많았다면, 이제는 시골도 서울도 스스로 마을빛을 느끼면서 배움터를 오가는 일이 없다시피 하다. 여태 들어가 본 배움터 가운데 ‘고흥 포두중학교’는 갖춤새(시설·설비)가 가장 훌륭한 듯싶다. 그러나 갖춤새보다 멧자락에 들러싸인 터전에, 앞냇물에 잔디터(잔디운동장)가 아름답다. 숲에 안긴 배움터에서는 숲을 들려주고 속삭이고 나눌 적에, 푸른씨도 어른씨도 함께 빛나리라. 《말하기를 말하기》를 읽었다. 나쁜책일 수는 없되, 어쩐지 빈글이 흐르는구나 싶다. 책이름부터 어느 글바치를 흉내낸 티가 나고, 글결도 삶빛이 아니라 꾸밈빛이 넘실거린다. ‘말’이란 ‘마음을 귀로 듣고 느끼려고 내는 소리’이다. 말이 무엇이고 마음이 어떠한가를 먼저 바라보고 받아들여서 배우지 않을 적에는 글도 뒤틀린다. 배웠다 하더라도 느긋이 삭이는 ‘익힘’이 없다면 말결도 글결도 어긋난다. 요 몇 해 사이에 ‘아무튼 꾸러미’가 꽤 나왔는데, ‘보고 듣고 느낀’ 데에서 멈추고서 ‘배움과 익힘’이 없는 채 ‘슬기와 사랑’이 빠진 채 글줄만 늘린다면 무슨 보람이 있겠는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