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꽃

나는 말꽃이다 10 살구



  숱한 책을 펴낸 ‘행림’이란 곳이 있습니다. 이 ‘행림’이 한자말인 줄 알면서 막상 낱말책을 뒤적이지는 않다가 요새 살폈어요. ‘살구숲 = 행림(杏林)’이더군요. 말뜻을 알아내고서 한동안 멍했습니다. 왜 이름을 ‘살구숲 출판사’라 안 하고 ‘행림 출판사’라 해야 했을까요? 예전에 책집 이름으로 ‘서림’을 붙인 곳이 많습니다. 2018년에 일본마실을 다녀오다가 ‘-書林’이란 이름을 붙인 책집이 꽤 많아서 갸우뚱하다가 퍼뜩 깨달았어요. 한글로 적은 ‘서림’이건 일본에 수두룩한 ‘書林’이건 우리말로는 ‘책숲’입니다. 왜 우리는 책집 이름으로 ‘-책숲’처럼 붙이지 못 하거나 않았을까요? 살구꽃은 ‘살구꽃’일 뿐, ‘행화(杏花)’가 아닙니다. 복사꽃은 ‘복사꽃·복숭아꽃’일 뿐, ‘도화(桃花)’가 아니지요. 낱말책을 짓는 이는 이 대목을 늘 헤아려야 합니다. 한자말꽃(한자말사전)이 아닌 우리말꽃을 짓는다면, 이 땅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어떤 낱말을 처음 만나면서 생각을 새롭게 지펴서 마음에 씨앗으로 심도록 이끌 적에 아름답고 즐거워서 다같이 훨훨 날아오르는 숨빛으로 피어날 만한가를 헤아릴 노릇이에요. 낱말만 많이 싣기보다는, 낱말을 살려서 쓰는 길을 사랑으로 밝히고 즐겁게 북돋아야 참다이 낱말책입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9 군국주의



  우리가 쓰는 말을 더럽히려는 이들이 있으나, 말이 더러워진 일은 없지 싶습니다. 말을 더럽히려는 몇몇 사람·무리는 있기에 그런 사람들 마음은 더러워졌겠지요. 이를테면 ‘동무’나 ‘가시내’ 같은 낱말을 낮춤말이나 나쁜말로 여기려는 사람·무리가 있었고, 오늘도 있어요. 왜 우리말은 낮거나 나쁘게 여기고, 한자말 ‘친구·여자·여성’이나 영어 ‘메이트·페미’는 낫거나 좋게 여겨야 할까요? 말밑을 살피면 ‘동무’는 ‘동글다·동그라미’에서 비롯합니다. 동그랗게 어울리는 사이라서, 모가 나지 않게 마주하는 사람이라서 동무예요. ‘가시내’는 ‘갓 + 시내(실내)’나 ‘갓 + 이 + 나이(내)’나 ‘갓 + 아이(아해)’로 풀 텐데, ‘갓’은 높음(메·산·모자·뾰족가시)을 나타냅니다. ‘시내(시냇물·물줄기)’나 ‘아이·아해(알·알맹이)’를 헤아리면 ‘가시내’는 무척 깊이 생각해서 지은 이름입니다. 이런 말씨는 일본 군국주의가 쳐들어오며 거의 무너졌어요. 그런데 어느 날 둘레에서 묻더군요. “‘군국주의’를 아이들이 못 알아듣는데 쉽게 풀 수 있나요?” 하고. 곰곰이 생각했어요. 지난날 일본뿐 아니라 오늘날도 총칼을 앞세워 싸움판으로 윽박지르는 무리가 있어요. 바로 ‘총칼나라·총칼질’에 ‘싸움나라’입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8 독고다이



  어제까지는 ‘독고다이’가 무슨 말이요 뜻인지 몰랐습니다. 오늘은 ‘독고다이’가 무슨 말이며 뜻인지 압니다. 마흔 몇 해를 모르고 살던 낱말이어도 이 말씨를 바라보고 헤아리고 찾아보고 돌아보노라면 오늘이 첫날이라 하더라도 마음으로 깊이 스며들면서 알아차리는 낱말이 되곤 합니다. ‘독고다이’가 알맞춤한지 글러먹었는지 올바른지 그릇된 말인지는 나중에 따지기로 합니다. 말꽃을 쓰려면 다 들어야 합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이야기를 들어 보고서, 어느 말이 나아갈 길을 어림하고 갈피를 잡아서 갈래를 지을 노릇입니다. 한글로만 적을 적에는 ‘독고다이’가 무엇인지 몰랐고, 얼핏 ‘독(獨)’ 같은 한자를 쓰려나 싶었는데, 알고 보니 이 낱말은 ‘특공대’라는 한자말을 일본사람이 읽은 소릿값이더군요. 일본 말꽃을 펴면 “홀로 목숨을 바치는 싸울아비”를 가리킨다고 풀이합니다. 이른바 ‘가미카제 특공대’라고 하는, 슬프면서 안쓰러운 싸울아비를 ‘독고다이’라 한다더군요. 우리는 이 낱말을 우리 말꽃에 실어야 할까요? 싣는다면 어떻게 실어야 할까요? ‘독고다이 (일본말) → 홀몸. 빈몸. 맨몸. 혼자’쯤으로 다루면 될까요? 이런 낱말은 말꽃에 안 싣고 씻어내자고 해야 될까요? 길은 두 가지입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숲노래 글쓰기

나는 말꽃이다 7 혼배움



  ‘보편성’이란 말을 곰곰이 생각해 보면 좋겠어요. “사람들한테 익숙한 일본 한자말”이란 썩 알맞지 않은 말이에요. ‘사람들’이 아닌 ‘몇몇 어른’이라 해야 할 테고, ‘책을 좀 읽은 어른’이나 ‘배움터를 오래 다닌 어른’이나 ‘벼슬자리나 일터를 다니는 어른’이라 해야겠지요. 시골에서 흙을 짓는 어른이라든지 어린이는 사뭇 다르거든요. 아무리 어른한테 익숙한 일본 한자말이어도 어린이나 시골사람한테는 매우 낯설어요. 게다가 이웃나라 사람한테도 낯설 뿐 아니라 어렵지요. ‘자작·자작자음’ 같은 한자말은 어린이도 이웃나라 사람도 참 까다롭습니다만, ‘혼술’, 곧 ‘혼 + 술’ 얼개로 지은 말은 어린이도 이웃나라 사람도 참 쉬워요. 게다가 말을 이렇게 지으면서 우리 나름대로 살아가는 모습을 우리 삶결대로 스스럼없이 나타내면 되는구나 하고 깨달을 만하지요. 붓꾼이 지어 주는 말이 아니라, 살림하고 살아가고 사랑하는 사람 누구나 스스로 즐겁게 지으며 이웃 누구나 서글서글 받아들일 만한 말을 지을 수 있다고 알려주는 말꽃입니다. ‘혼’을 붙여 ‘혼배움’이라면 ‘독학’이며 ‘가정교육·홈스쿨링’을 가리켜요. 집에서 혼자(스스로) 배우기에 ‘혼배움’이거든요. 삶을 지으면 말을 함께 지어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숲노래 글쓰기

나는 말꽃이다 6 보편성



  말꽃 가운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다 보니 꽤 자주 “그런데 있잖아요, 그 말은 아직 사람들이 널리 안 쓰는, 이른바 보편성이 떨어져 보이는데, 그런 낱말을 말꽃에 실어도 돼요? 그냥 익숙한 일본 한자말을 쓰면 되지 않아요?” 하는 말을 듣습니다. 이때 저는 아주 홀가분하게 “네, 얼핏 보자면 어느 말은 아직 사람들이 덜 쓸는지 몰라요. 그래서 이제부터 쓰자는 뜻으로 말꽃에 실어요. 말꽃에 싣는 말이란 ‘사람들이 자주 쓰거나 흔히 쓰는 말’이 되기도 하지만, ‘사람들이 앞으로 즐겁거나 새롭게 쓸 말’이 되기도 해요. 늘 이 두 갈래를 갈마들면서 올림말을 다룬답니다.” 하고 이야기합니다. 그래요, 국립국어원 낱말책은 ‘혼밥·혼술’ 같은 낱말을 올림말로 다룰 생각이 없어 보입니다. ‘혼술’은 국립국어원 낱말책에 없으나 ‘자작(自酌)’은 있어요. 게다가 ‘자작자음(自酌自飮)’ 같은 한자말까지 싣더군요. 제가 쓰는 말꽃에는 ‘자작(자작자음) → 혼술’처럼 다룹니다. 이러면서 ‘혼술’을 즐겁게 올림말로 삼으면서 뜻풀이를 붙이지요. 제가 쓰는 말꽃은 ‘혼밥’뿐 아니라 ‘혼멋·혼살림·혼마실·혼배움·혼노래·혼넋’ 같은 낱말도 나란히 실으면서 우리 스스로 말길을 새롭게 여는 실마리를 보여줍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