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꽃

나는 말꽃이다 45 바라볼 곳



  글을 읽으면서 ‘스스로 바라보는 곳’을 가다듬습니다. 글을 쓰면서 ‘스스로 바라볼 곳’을 짓습니다. 나라(정부)가 들려주는 말을 곧이곧대로 들으면 어느 하루도 바람이 잘 날이 없지 싶습니다. 우리는 마음에서 피어나는 말을 서로 들려주고 들을 적에 “바람이 노래하는 날”을 누린다고 느낍니다. 적잖은 붓바치(지식인·작가)는 나라(정부)가 들려주는 말(선전·선동)을 받아쓰기로 더 퍼뜨립니다. 새뜸(신문·방송)하고 책(인문·사회)은 우리가 스스로 마음에서 지피는 생각으로 즐겁게 꿈길로 가기보다는 “나라에서 길들이려는 생각씨앗”으로 묶기 일쑤입니다. 왜 걱정거리하고 두려움을 심는 글을 읽거나 써야 할까요? 어린이하고 어깨동무하면서 꿈씨앗하고 사랑씨앗을 심는 글을 읽거나 쓸 적에 스스로 즐겁고 아름다울 텐데요? 우리는 서로 미워하거나 갈라치기를 해야 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해님처럼 사귀고 바람처럼 일하고 빗방울처럼 놀고 풀꽃나무처럼 사랑하고 숲처럼 꿈꾸면 돼요. 모든 글은 해·바람·비·풀꽃나무·숲이라는 빛살로 쓰고 읽을 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무엇을 바라보렵니까? 누구를 바라보렵니까? 어떻게 바라보렵니까? 왜 바라보렵니까? 우리는 모두 어린이란 눈빛이면서 어른이란 살림꽃입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꽃

나는 말꽃이다 44 열일고여덟


어린배움터를 마치고 푸른배움터로 접어들던 무렵부터 둘레에서는 ‘일자리(직업)’를 생각해야 한다고 부추겼습니다. 열일곱 살이 되도록 앞으로 어떤 일을 하면 즐거울는지 갈피를 잡지 않았습니다. 그저 배우고, 배운 뒤 삭이고, 삭인 다음 가꾸는 나날이었습니다. 이러다가 ‘민중서관 콘사이스 국어사전’을 통째로 두 벌 읽으면서 혼잣말을 터뜨렸어요. “무슨 국어사전이 이 따위야? 이렇게 엉터리로 엮어도 사전이라면 차라리 내가 쓰겠다!” 열일고여덟 살에 외친 혼잣말을 까마득히 잊다가 스물여섯 살 무렵 떠올렸고, 마흔여섯 살을 지나면서 되돌아봅니다. 스스로 마음에 심은 생각이라는 말 한 마디가 씨앗이 되어 무럭무럭 자랐습니다. 씨앗은 그저 씨앗이라 어디에서나 싹틉니다. 귀퉁이나 한복판을 안 가립니다. 사랑이란 해바람비를 줄 적에 잘 자라요. 우리가 어른이라면 열일고여덟 살 푸름이가 마음에 심을 꿈씨앗을 아름말(아름다운 말)로 품도록 낱말책이며 배움책을 가다듬어야지 싶습니다. 아무 말이나 담는 낱말책이 아닌, 아무 얘기나 싣는 배움책이 아닌, 푸름이 스스로 열일고여덟 살을 눈부시게 피어나도록 꿈꾸는 씨앗이 될 아름말로 책을 엮고 글을 쓰고 말을 나누어야지 싶어요. 우리는 아름드리 말꽃이 될 일입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빛

나는 말꽃이다 43 짧고 깔끔하게


낱말풀이는 짧고 깔끔해야 한다고들 하지만, 짧거나 깔끔하기에 다 좋지는 않습니다. 때로는 길게 이야기를 붙일 만합니다. 몇 쪽에 걸쳐서 말밑을 짚을 만하고, 보기글을 스물이나 쉰까지 붙여도 됩니다. 이를테면 ‘가다·보다·있다·살다’ 같은 낱말을 그저 짧고 깔끔하게 풀이하고 그친다면 외려 말결을 헤아리기 어려워요. 글쓰기에서도 이와 같으니, 글을 꼭 짧거나 깔끔하게 써야 하지는 않습니다. 낱낱이 밝히거나 꼬치꼬치 캐내어도 좋아요. 어린이하고 어깨동무하고 읽도록 쉽게 쓴다든지, 풀꽃나무랑 어우러지듯 즐겁게 쓴다든지, 숲이랑 바다를 사랑하듯 노래처럼 써도 아름답겠지요. 글을 쓰기도 어렵고, 쉽게 쓰기는 더 어려운데 ‘아름답게 쓰기’를 해보자고 하면 엄청나게 어려우리라 여기는 분이 제법 많더군요. 그렇지만 우리는 스스로 생각한 대로 나아가기 마련입니다. 해보고 싶기에 자꾸 부딪히거나 넘어지거나 뒤처져도 다시 기운을 내어 달려들지요. 낱말풀이뿐 아니라 글쓰기를 놓고도 ‘짧고 깔끔히’에다가 ‘쉽고 즐겁게’를 보태고 ‘노래하며 아름답게’를 더해 봐요. ‘푸르고 사랑스레’에다가 ‘꽃처럼 피어나고 샘물처럼 솟아나는’을 달아도 좋습니다. 생각을 심는 글쓰기·글읽기입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빛

나는 말꽃이다 42 글쓰기가 어렵다면



  글쓰기가 어렵다고 여기는 분이 꽤 많습니다. 글쓰기란 더없이 쉽고 즐거우면서 사랑스럽고 재미난 줄 제대로 배우지 못한 탓이라고도 할 테지만, 이러한 얼거리로 가르치는 바탕이나 배움터가 아직 서지 못한 탓이라고도 할 텐데, 우리말꽃부터 ‘어렵고 딱딱한 올림말이나 보기글이나 뜻풀이’가 가득한 탓이라고도 하겠습니다. 국립국어원 낱말책은 ‘놀다’를 “2. 직업이나 일정히 하는 일이 없이 지내다”로, ‘변사체(變死體)’를 “1. 뜻밖의 사고로 죽은 사람의 시체 2. 범죄에 의하여 죽었을 것으로 의심이 가는 시체”로 풀이하더군요. ‘하는 일 = 직업’이니 겹말풀이요, ‘일정히’를 넣은 대목은 “따로 하는 일이 없이 지내다”쯤으로 손질하면 되어요. 그리고 “1. 뜻밖인 일로 죽은 사람 2. 누가 함부로 목숨을 앗은 주검”쯤으로 손질할 만합니다. 한자말 ‘시체’는 “= 주검”이니 이 낱말도 겹말풀이인데, 얄궂거나 어렵거나 겹친 말씨로 풀이하고 보기글을 붙이는 말꽃이 곁에 있다면, 사람들도 저절로 이런 글쓰기를 하도록 부추긴다고 할 만합니다. 글은 쉽게·즐겁게·꾸밈없이 쓰면 됩니다. 글은 사랑으로·살림으로·삶으로 쓰면 돼요. 글은 노래하듯·꿈꾸듯·이야기하듯 쓰면 되어요. 우리 마음을 그리듯 옮기니 글입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빛

나는 말꽃이다 41 좋은 글보다



  말꽃이란 책은 낱말을 그러모아서 보여주고, 낱말마다 쓰임새를 밝히기도 하지만, 이 낱말을 엮어서 이야기를 들려주는 글을 쓰는 길을 알려주기도 합니다. 여러 나라에서는 말꽃을 엮으며 보기글을 글꽃(문학)에서 따오곤 하지요. 어느 낱말을 ‘알맞게’ 살려서 쓴 보기를 헤아리려고 글꽃에서 보기글을 찾기도 하지만, ‘아름답게’ 지어낸 보기를 알려주는 셈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모든 낱말을 알맞으면서 아름답게 살려쓴 보기를 글꽃에서 다 찾아내지는 못해요. 글꽃을 짓는 분이 온누리 모든 낱말을 담아내지는 않거든요. 이때에는 말꽃을 짓는 사람이 ‘알맞으면서 아름답게’ 낱말을 살려쓰는 보기글을 손수 짓는데, 길지도 짧지도 않되 ‘어린이부터 누구나 지을 수 있도록’ 밑틀을 알려주어야 하지요. 이를테면 ‘어버이’란 낱말을 놓고서 “어버이날에 어머니랑 나무를 심을 생각이야”라든지 “내가 부르는 노래는 어릴 적부터 우리 어버이가 상냥하게 들려주었지”처럼 엮습니다. 아마 흔하고 쉬운 보기글일 텐데 ‘아름답게’란 ‘멋있게·보기좋게·대단하게’가 아닙니다. 누구나 손수 짓는 살림자리에서 사랑으로 삶을 가꾸는 마음을 생각하도록 부드러이 이끌기에 ‘아름답게’예요. 꾸밈없이 나누는 사랑을 글로 옮깁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