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유연성 2025.4.6.해.



부드러우면, 누가 힘으로 누르거나 치거나 밟을 적에 쉽게 깨지거나 부서지거나 망가진다고 여기더구나. 그렇지만, 부드럽기에 오히려 안 깨지고 안 부서지고 안 망가지곤 해. 단단하거나 딱딱하기에 조금만 부딪혀도 쉽게 깨지고 부서지고 망가진단다. 부드러울 적에는 스스로 온갖 빛을 품거나 받아들여서 바꿀 수 있어. 단단하거나 딱딱하기에 어느 빛도 못 품거나 못 받아들이거나 못 바꾼단다. 게다가 “난 단단하고 딱딱한걸?” 하는 마음이 굳은 탓에, 그저 그대로 마냥 눌러앉기까지 하는구나. 바람이 부는 결과 빛을 보렴. 물이 흐르고 비가 내리는 결과 빛을 봐. 바람하고 물은 가없이 부드럽단다. 비나 물은 아무리 무겁고 큰 집이나 쇠나 덩이도 가볍게 날릴 수 있으면서도, 살살이꽃이 소담스레 맺은 꽃을 살살 간질이기만 할 수 있어. 사람은 저 높은 하늘에서 내리는 비를 아무리 맞아도 안 다쳐. 빗물은 꽃송이도 풀잎도 안 어지럽힌단다. ‘부드러움(유연성)’이란 대단하고 놀랍지. 보살필 줄 아는 빛이기에 ‘보드라움(부드러움)’이야. 보듬을 수 있는 빛이기에 보드랍고 부드러워. 봄이라는 철마냥, 새롭게 일으키고 일어나면서 이루고 잇고 일구고 있는 빛인 부드러움이기도 하지. 네가 마음에 심으려는 빛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렴. 또는 네가 마음에 아무 빛을 안 심으면서 뒹굴기만 하려는지 돌아볼 일이야.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사전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내가 사랑한 사진책》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변덕 2025.4.7.달.



마음을 들여다보면서 스스로 길을 살피는 사람이라면, 모든 말과 때와 일이 다른 줄 알아. 다른 줄 알기에 늘 새롭게 짚고 생각하면서 움직여. 마음을 안 들여다보고 스스로 길을 안 살피는 사람이라면, 다 다른 날과 때와 일을 모를 뿐 아니라 아무 생각이 없어. 이런 사람은 버릇대로 움직이고 할 뿐이란다. 버릇대로 움직이고 하기에 “새살이 돋아도 못 느끼”고, “새살이 돋는 줄 알아보려는 눈”을 틔우지 못 한단다. 마음을 보고 생각을 짓고 꿈을 그리는 사람은, 늘 새롭게 하루를 살아. 마음을 안 보고 생각을 안 짓고 꿈을 안 그리는 사람은, 늘 똑같이 해야 한다고 여기느라 언제나 투덜투덜하면서 널뛰기(변덕)를 부린단다. 가꿀 수 있기에 바꾸어. 바꿀 수 있기에 받아들여서 배워. 가꾸지 않기에 널뛰기이고, 이러거나 저러거나 널뛰느라 정작 스스로 무엇을 하고 싶은지 모른단다. ‘한결같은’ 사람은 ‘똑같은’ 사람이지 않아. 마음을 한결같이 돌보고 가꾸려는 매무새이기에, 바람결을 살펴서 스스로 새롭게 피어나는 동안 ‘나’를 ‘나’로서 고이 잇는 매무새를 두고서 ‘한결같다’고 하지. 그저 똑같이 굴거나 맞추려고 하기에 “틀에 박힌다”고 해. 늘 다르고 새로운데, 다르거나 말거나 곧이곧대로 딱딱하게 굴기에 틀박이에 판박이란다. 이 틀을 다른 틀로 맞춰서 가두려 하지. 가둬서 다시 길들이기에 널뛰기(변덕)란다. 물은 한결같이 흐르기에 늘 새롭고 맑아.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사전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내가 사랑한 사진책》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짬짜미 2025.2.23.해.



무슨 일을 하든 얼거리를 짤 노릇이야. 아무 얼거리가 없다면 네가 하려는 일은 아무렇게나 흐르겠지. 잎에 얼거리가 있어. 나무 한 그루에도, 나무뿌리와 나무줄기에도 다 얼거리가 다르게 있어. 구름에도 물방울에도 흙에도 땅에도 얼거리가 있어. 나비한테도 날개에도 손과 발에도 얼거리가 있어. 말에도 얼거리가 있지. 마음에도 생각에도 저마다 달리 얼거리가 있어. 숨을 쉬든 걸어다니든 무엇을 하든 얼거리를 가만히 읽고서 스스로 움직일 길을 짤 노릇이지. 그런데 “일할 얼거리”가 아닌 “끼리끼리 거머쥘 틀”을 몰래 짜는 사람들이 있어. ‘짬짜미’라고 하지. “몰래 짜서 몰래 거머쥐고 몰래 다스리는 틀”일 텐데, 이런 뒷짓·몰래짓인 짬짜미는 그들 스스로 갉고 할퀴에서 죽어가는 굴레야. 돈·길미·힘·이름을 그들끼리 거머쥐려는 짬짜미는 “그들끼리 뭉치는 틀”이기에 다른 사람이 못 들어오는 높은 담벼락이게 마련이야. 닫아건 안쪽에서 보자면 넉넉하거나 서로 좋은 듯싶지만, ‘흐르’지 않는 굴레이고, ‘막힌’ 수렁이기에, 곧 고여서 고린내가 나며 썩어. 썩으니 죽어가지. 썩으며 죽어가는데 ‘짬짜미 담벼락’은 이 담을 더 단단히 틀어쥐는구나. 그래서 ‘담벼락 안쪽’은 더 고이고 썩어문드러지니 그들끼리도 이 고약한 냄새 탓에 죽을맛인데, 쪽창문 하나 못 내는구나. 냄새가 새어나가면 밖에서 다들 눈치를 챌 테니 더 가두고 더 숨기고 더 짬짜미를 해. 썩은잔치를 늘 벌이면서도 죽어가는 줄 모르고, 썩은내를 감추려고 화학약품을 내내 뿌리지. 너는 이런 ‘담안(담 안쪽 : in Seoul)’에 끼고 싶니? 너는 ‘담안’도 ‘담밖’도 아닌 들숲바다를 품어야 하지 않겠니?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이다음으로 2025.3.14.쇠.



꽃으로 피지 않고서 맺는 열매란 없어. 씨앗을 품지 않는 열매도 없어. 꽃과 잎이 살찌우고, 가지와 줄기가 북돋우고, 뿌리가 받치면서 곱게 영그는 열매야. 꽃은 스스럼없이 피어나고서 기꺼이 져. 씨앗은 열매 한켠에 알맞게 자리를 잡지. 이다음으로 땅에 드리워서 자라려면, 땅한테도 고맙다고 여쭈려고 달며 푸진 물빛(속살)을 품는 씨앗이야. 땅은 나무와 풀을 반기면서 언제나 까무잡잡 구수하게 살림터를 이뤄. 나무와 풀은 즐겁게 땅에 깃들면서 푸릇푸릇 싱그럽게 살림빛을 맺어. 사람은 속으로 무슨 씨를 품을까? 사람은 이다음으로 무엇을 할 셈일까? ‘씨앗’이란, 아기를 낳는 몸빛만 가리키지 않아. 씨앗이란, 손으로 일구는 솜씨에, 마음으로 담는 마음씨가 늘 어울린단다. 오늘을 살면서 이다음으로 내딛을 길을 헤아리렴. 오늘을 마무리하는 밤에 스스로 “고마워.” 하고 속삭이며 눈을 감으렴. 오늘을 여는 새벽에 스스로 “반가워.” 하고 속살이며 눈을 뜨렴. 이다음으로 할 일이 잔뜩 있지? 아무리 많구나 싶은 일이어도 한꺼번에 못 해치워. 다 하나하나 하지. 아무리 실컷 먹더라도 하나하나 집어서 따로따로 먹는단다. 그러니까 오늘 하루 할 만큼 즐겁게 하고서 닫으렴. 폭 닫고서 푹 쉬고, 활짝 열고서 환하게 하렴. 미처 매듭을 못 지었으니 이제부터 매듭을 지어. 아직 덜익었으니 이제부터 찬찬히 익어. 오늘은 어제와 모레를 이으면서, 이다음을 기쁘게 맞이하려는 길목이야. 길목 한복판에서 온곳을 둘러봐.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아프라고 때린다 2025.2.4.물.



때리거나 할퀴려고 달려드는 놈이 있어. 저한테 힘이 있다고 여기기에 때리거나 할퀴려고 달려들지. 저한테 힘이 없다고 여기면 때린다거나 할퀸다는 마음이란 없고, 아무렇게나 달려들지 않아. 때리려고 달려드는 놈은 “맞는 쪽”이 아프기를 바라지. 안 아프라고 때리지 않아. 안 아프게 때리지도 않고. 아프게 때려서 제 힘을 뽐내고 올라서려는 마음이야. 사람들이 아파서 울고 쓰러지기를 바라기에 때리거나 할퀴지. 이웃이나 동무를 안 살피는 미움으로 가득한 죽음늪인 하루이기에 남을 때리고 할퀴는데, 이런 주먹잡이는 늘 스스로 ‘제 사랑’을 때리고 할퀴어서 무너뜨리려고 하지. 저한테 있는 사랑이 퍼지고 돋고 자라고 깨어나면, 그만 남들보다 뒤지거나 못하거나 떨어진다고 여기는 죽음늪에 사로잡힌 마음이야. 사랑을 스스로 때려눕히며 우쭐거리는 ‘피끓는 젊은몸’인 주먹잡이란다. 주먹잡이는 주먹힘이 더는 남을 못 건드리고 못 쓰러뜨리는 ‘삭고 늙은 몸‘이 될 때까지 못 깨달아. 마침내 주먹은커녕 손가락을 까딱거릴 힘조차 없을 즈음에는 ‘지난날 주먹잡이’ 모습을 곱씹으면서 새삼스레 미움불씨를 당기더구나. 이러면서 몸과 마음이 마침내 잿더미로 부서져. 누가 너를 때리거나 할퀴려고 달려들기에 너도 나란히 서서 때리거나 할퀴려고 맞서면 될까? 서로 다치고 깨지고 멍들고 부러지다가 어느 쪽이 무릎을 꿇어야 주먹다짐을 멈출까? 그러나 주먹잡이뿐 아니라, ‘맞서서 싸우는 주먹’도 주먹다짐을 일으킨 뒤에 도무지 안 멈추더구나. 다른 주먹잡이를 찾아나서더라. 사랑을 마구 때리고 할퀴던 마음이기에, 늘 미움씨앗을 키우거든. 사랑은 주먹을 쥐지 않아. 사랑은 풀씨와 나무씨를 포근히 쥐는 마음씨란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