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학년 2023.12.31.해.



여느 배움터라면, 한 해가 지날 적마다 나이를 한 칸씩 먹는다고 여겨서, 자리도 한 칸씩 올리더라. 칸이 높을수록 배움터를 오래 다녔다는 뜻일 텐데, 6학년이나 12학년이나 30학년이나 50학년이면 가장 깊거나 넓을까? 나이를 먹기에 어질지 않아. 나이를 먹을수록 잘 알거나 옳게 다루지 않아. 나이가 아닌 마음을 다스려서 생각을 빛내고 눈빛을 밝혀서 꿈을 그리고 짓는 사랑으로 푸르게 노래하고 놀 줄 알 때라야, 비로소 즐겁게 알고 새롭게 나누고 기꺼이 베풀면서 깊고 넓단다. 1학년이기에 모르지 않아. 3학년이기에 1학년보다 높지 않아. 나이를 세는 사람은 스스로 늙어서 죽음을 바란다는 뜻이야. 나이를 헤아리니까 철을 안 헤아리지. 나이를 따지니까 철을 못 따져. 나이를 살피니까, 철눈을 살피는 눈길이 없어. ‘배움눈’이란 ‘배움칸(학년)’이 아니란다. 꽃이름·풀이름·나무이름을 하나씩 익히기에 배움눈이 깊어. 새이름·벌레이름·바람이름을 하나씩 읽기에 배움눈이 넓어. ‘이름’은 겉모습이 아닌 ‘속씨’란다. 어떻게 가리키는지만 외울 적에는 아직 “이름을 알지 않는다”고 여겨. 그러면 언제 “이름을 안다”고 여길까? 네가 스스로 읽는 속빛을 네가 이야기를 지어서 스스로 이름을 붙일 적에, 비로소 “이름을 안다”고 여겨. 그러니까, ‘이름짓기 = 이름알기’이고, ‘살림짓기 = 살림알기’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헤맴 2022.3.20.해.



헤맨다면, 헤매기에 보는 길이 있어. 찾는다면, 찾기에 아는 길이 있어. 헤매지 않고서는 못 보는 길이 있지. 찾아내고서 새롭게 아는 길이 있고. 얼핏 ‘헤매는구나’ 싶을 적에 차근차근 보렴. 겉모습은 틀림없이 ‘헤맴’일 텐데, 이곳저곳을 온몸으로 누비면서 여태 모르던 낯선 모습이 눈에 들어오지 않아? 찾아낼 적에 가만히 생각해 봐. ‘찾아낸’ 길은 어디에 있니? 까마득히 먼 곳이니, 아니면 늘 네 곁이었니? 아이한테서 배우니, 아니면 아이한테 가르치니? 구름을 보며 스스로 느끼니, 아니면 누가 구름을 알려주어야 구름을 느끼거나 아니? 곁을 보되 늘 네 넋을 생각하렴. 네 넋을 보면서 네 곁을 느껴 봐. 참길은 늘 너한테서 태어나. 다 다른 너(나)가 다 다르게 참빛이기에 서로서로 만나서 새록새록 느낀단다. 다 다른 너(나)가 스스로 참빛이 아니라면 아무 이야기가 싹트지 않지. 스스로 참빛이 아닌 사람들은 겉돌고 맴돌면서 떠도느라 아무런 이야기가 없어. 헛돌고 쳇바퀴에 갇힌 굴레일 뿐이야. 자, 다시 처음부터 볼까? 아이들은 헤매니, 안 헤매니? 아이들은 스스로 찾니, 안 찾니? 아이들은 스스로 아니, 어른이 가르쳐야 아니? 너(나)를 이루는 마음이 어떤 빛인지 헤아리렴. 네 넋은 어떤 얼을 드러내면서 빛나고, 마음에 어떤 생각을 심어서 키우고 뛰노는 아이인가를 살피렴. 왜 헤매느냐 하면, 스스로 보고 느끼면 스스로 찾게 마련인데, 스스로 안 찾았거든. 왜 헤매면서 힘든가 하면, ‘헤매는 놀이’를 “놀이 아닌 고단한 가시밭길”로 여기느라 스스로 지치거든. 헤매기에 헤엄을 치지. 헤매기에 헤아려. 헤매는 너는 수수께끼를 풀면서 노래하는 마음일 적에 어둠을 걷어내어 별빛으로 돋는단다. 헤매기에 찾아. 헤매지 않으면 제자리에 멈추다가 고이고 말아. 기쁘게 헤매기를 바라. 나비처럼 마음껏 팔랑거리는 춤을 지으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아픈 몸 2022.3.23.물.



“어린이 마음이어야 하늘나라에 간다”는 말은 “누구나 하늘나라로 간다”는 뜻이야. 모든 사람은 ‘아기’로 태어나서 ‘아이’로 자랐거든. 스스로 아이인 줄 느끼는 그때에 하늘나라로 가지. 스스로 아이인 줄 느끼지 않으면 ‘몸은 아이’여도 하늘나라로 가지 않아. ‘나이 어린’ 사람이 가는 하늘나라가 아니야. ‘마음 여린’ 사람이 하늘나라에 간단다. 마음이 여리니 이웃을 부드러이 바라봐. 마음이 여리니 동무를 상냥하게 불러. 마음이 여리니 풀잎이 안 다치도록 가볍게 걷고, 마음이 여리니 바람을 가만히 마시며 조용히 숨을 고른단다. 마음이 여리지 않기에 거칠게 말하지. 마음이 여리지 않으니 둘레를 품지 않더라. 마음이 여릴 적에 어린이뿐 아니라 힘없는 어른을 고이 보듬는 손길을 뻗어. 네 몸이 여리다면 너는 너부터 고이 품고서 둘레를 고이 품는 숨빛을 바라고 바라보며 나아간다는 뜻이야. 네 마음이 여리다면 너는 너부터 고이 살피면서 둘레를 고이 헤아리는 눈빛을 편다는 뜻이지. 힘이 세거나 몸이 튼튼하거나 돈이 많을 적에 스스로 사랑하면서 둘레를 사랑할까? 마음이 굳세거나 단단하기에 스스로 생각하면서 둘레를 생각할까? 튼튼한 사람은 딱딱하지 않아. 참다이 센 사람은 깃철처럼 가볍고 부드러워. 얼핏 단단해 보이는 사람일수록 몸이 굳거나 뻗뻗해서 새길을 안 받아들이더라. 언뜻 굳세어 보이는 사람이 오히려 마음을 꾹 닫아걸고서 새빛을 안 보더라. 여리고, 쉽게 아프고, 자주 앓는 너는, 누구보다 너를 스스로 차분히 깊고 넓게 바라보게 마련이야. 겉몸이 서둘러 튼튼하기를 바랄 적에는 아직 마음이 여물지 않은 터라, 풋내조차 없는 안 익은 채 굳어버릴 수 있어. 봄볕에 여름볕에 가을볕까지 고루 품어야 비로소 영글지. 여린이가 여무는 길을 가기에 ‘야무지다’고 한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기운 2022.3.24.나무.



해보면 돼. 해보니까 돼. 하려고 들면 움찔거리거나 힘들게 마련이고, 해야 한다면 억지로 힘쓰느라 지치기 쉽고 고단하지. “하면 되기”는 한데, “그냥 한다”기보다 “그리는 대로 한다”고 해야겠지. 그리고 늘 마음이 가벼워서 놀이를 하는 몸짓이어야 이루니, “해보면 돼”라 해야 어울려. 자, 밥을 해볼까. 말을 해볼까. 걸어 볼까. 누워 볼까. 먹어 볼까. 생각해 볼까. 가만히 해보렴. 첫째가 될 까닭이 없고, 누구보다 앞서야 하지 않아. 너는 네 목소리를 얹어서 노래하기에 빛나. 너는 네 손가락을 튕겨 가락틀(악기)에 얹기에 눈부시지. 네가 남을 흉내내면 풀벌레나 새는 널 안 쳐다봐. 네가 너로서 너를 드러내면 풀벌레랑 새가 널 쳐다보지. 누가 너를 왜 볼까? 너를 보는 누구는 누구일까? 어쩌면 너한테서 기운을 얻고 싶어 너를 볼는지 몰라. 그 누구는 그이 기운을 너한테 주고플 수 있어. 너는 어떻게 하고 싶니? 네 기운을 ‘어느 누구’한테 주겠니? ‘어느 누구’ 기운을 너한테 받아들이겠니? 네 기운을 어느 누구한테 주더라도 네 기운은 안 사라져. 어느 누구 기운을 네가 받더라도 네 기운이 물들지 않아. 너를 살리는 네 기운은 늘 너한테서 흘러나오거든. 자, 나무 곁에 서 보렴. 나무한테서 흘러나오는 기운을 느끼지? 풀꽃 곁에 앉아 보렴. 풀꽃한테서 흘러나오는 기운을 느끼니? 네가 해를 쬔다면 해한테서 피어나는 기운을 느끼면서, 이 기운을 너 스스로 지어낸단다. 나무하고 풀꽃한테서도 같아. 틀(기계)이나 풀죽임물(농약)이나 비닐한테서도 같지. 네가 반기면 너 스스로 반기는 기운을 짓고, 네가 꺼리면 너 스스로 꺼리는 기운을 지어. 네가 누리고 네가 지으며 너한테서 흐르는 기운은 남지 짓지 않아. 모두 그때그때 너 스스로 짓지. 자, 너는 어디에 있으면서 마음으로 무엇을 보고 느끼니? 네가 파란하늘을 가르는 제비를 그리고 느끼고 보면, 넌 잿더미 한복판에서도 ‘파란하늘 제비’로 있는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듣다 2022.3.25.쇠.



듣고 싶은 마음은 모든 소리를 다 다르게 갈라. 소리를 하나씩 갈라 보면서 이 다른 소리마다 흐르는 이야기를 느끼고 읽지. 듣기 싫은 마음은 아무 소리도 맞아들일 뜻이 없으니, 참으로 다른 소리여도 그저 시끄럽다고 여겨서 똑같이 쳐내고 싶지. 듣기에 조금씩 움직여. 빗방울이 차근차근 들으면서 땅이 촉촉히 젖고, 풀꽃나무가 천천히 씻고 하늘이 찬찬히 열려. 귀로 차근차근 들으면서 마음이 천천히 자라고 생각이 찬찬히 트여. 들을 줄 아니, 어느새 읽어서 새기는 눈을 틔우지. 눈을 하나하나 틔우니 조금조금 알아가면서 머리에 이야기가 차올라. 이 이야기란, 네가 스스로 받아들여서 키우는 빛알갱이야. 처음에는 그저 작고 몇 안 되는 조각이었다면, 어느새 부피도 크기도 늘면서 반짝반짝 네 생각으로 피어나지. 무엇을 어디에서 듣든 모두 너를 너답게 너로서 이루는 길로 나아간단다. 귀를 막고 싶을 적에도, 두 팔을 뻗어 안고 싶을 적에도, 너는 늘 네 이야기를 가꾼단다. 겨울이 저무는 소리를 들었니? 봄이 오는 소리나 꽃이 피는 소리를 들었니? 새가 날아앉아 노래하는 소리를 듣니? 개구리가 깨어나서 기뻐하는 소리를 듣니? 개미가 기는 소리도, 구름이 피어나서 흐르는 소리도 들을 수 있어. 바위가 속삭이는 소리도, 사마귀가 속살이는 소리도 얼마든지 듣는단다. 다만, 네가 스스로 ‘알아가면서 이야기를 가꾸는 오늘’을 짓겠다고 생각하면서 마음을 열려고 눈을 뜨기에 이 여러 가지 소리를 듣지. 별빛이 쏟아지는 소리를 듣는다면, 네 몸을 이룬 별알갱이가 늘 반짝이는 소리에 새록새록 사랑이 깨어나겠지. 몸을 곧게 펴렴. 그러고서 이 몸을 입은 넋을 깨워서 가만히 일어나렴. 숨빛을 터뜨리면 귀가 트여. 숨빛을 품으면 사근사근 찾아드는 소리에 네 마음씨를 슬쩍 묻고서 네 왼날개에는 꿈을 달고 네 오른날개에는 말을 얹는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