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숲노래 마음노래 . 건널목


부릉이가 없던 때에는 건널목이 없지. 칙폭이가 없던 때에도 건널목이 없어. 쇳덩이가 더 빠르게 달리려는 곳에 건널목이 있어. 걷는 사람은 멈추라면서 건널목을 둔단다. ‘걸어가라’는 건널목이 아니야. 부릉부릉 길을 채우면서 ‘사람을 밀어내는 구실’인 건널목이야. 쇳덩이가 길을 차지하지 않던 무렵에는 누구나 길을 호젓이 걸으면서 바람을 마시고 풀벌레노래·새노래를 듣고 해바라기·별바라기로 어우러졌어. 곰·여우·늑대·범도, 지렁이·사마귀·메뚜기·땅강아지도 같은 길을 누렸어. 이제 길에 누가 있니? 길에 사람이 있니? 길에 쇳덩이만 있지 않아? 골목에서 공을 차거나 노는 어린이가 있니? 골목에서 모임을 하거나 이야기꽃을 피우는 사람이 얼마나 있니? 서울을 보면, 버스·전철에 사람이 물결치잖아? 이 사람물결 사이에 파리나 벌이나 모기라도 있니? 잠자리나 나비나 무당벌레가 있니? 오직 사람만 빼곡한 채 서로 밀고 밀리는 판이지 않아? 시골은 어떨까? 개구리나 풀벌레가 깃들 자리는 얼마나 있니? 새가 둥지를 틀거나 거미가 집을 지을 틈이 있니? 서울도 시골도 ‘삶터·살림터’가 아닌 ‘죽음터·사슬터’이지는 않아? 무엇이 길을 건널 수 있을까? 누구 발걸음을 막아설까? 파란하늘하고 푸른들을 마음에 담을 짬도 없지만, 파란하늘하고 푸른들을 진작 밀어없애지는 않았니? 어디로 가는 길이니? 무슨 마음이 되어 건너가려고 하니? 네가 선 곳은 누가 드나들고 어떤 이야기가 흐르니? 너는 무슨 생각을 하면서 쇳덩이 앞에 서니? 2022.10.24.달.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숲노래 마음노래 . 찾아왔다


무엇이든 제때에 나타나. 언뜻 보면, 왜 이렇게 늦거나 이르냐고 툴툴거릴 수 있는데, ‘늦은 제때’이고 ‘이른 제때’일 뿐이야. 늦게 나타나는 일도 ‘제때’이고, 이르게 나타나는 일도 ‘제때’란다. 뭔가 반가운 일도 싫은 일도 좋은 일도 서운한 일도 그저 ‘제때’야. 너희 몸은 ‘느낌’을 먹으면서 ‘마음’을 차근차근 이룬단다. 모든 느낌을 고이 여기면서 보렴. ‘이 느낌’은 무엇을 보고 배워서 살아내라는 뜻일까? ‘저 느낌’은 무엇을 보고 배워서 사랑하라는 뜻일까? 날마다 똑같은 느낌만 찾아오더라도 ‘제때’란다. 이 똑같은 느낌이 나한테 무엇을 보여주면서 가르치려 하는가를 가만히 생각해서 마음에 담으렴. 서울 밤하늘에 별이 거의 안 보이더라도 별은 늘 반짝이잖니? ‘별이 없다고 느낄 만한 서울’이라는 곳은 사람이 가장 많이 몰린 곳이야. 다들 별빛쯤 잊거나 잃어도 대수롭지 않게 여기지. 그곳에서는 무엇을 보고 느낄까? 그곳이 아닌 이곳에 있는 너는 무엇을 보고 느끼나? 서로 다른 밤하늘을 보고 느끼는데, 서로 말이 섞일 만할까? 서로 다르게 보고 느낄 텐데, 마음이 만날 수 있을까? 걱정스런 일이 찾아오니? 즐거운 일이 찾아오니? 하루는 얼마나 길거나 짧니? 알고 싶으면 물어봐야 해. 네가 물어볼 때마다 이야기를 지을 수 있는 ‘제때’가 찾아온단다. 이때(제때가 찾아올 때)마다 새록새록 느끼고 보기를 바라. 네 수수께끼는 네가 풀려고 ‘너(나)’라는 옷을 입고 태어나거든. “말도 안 돼! 내가 어떻게 풀어?” 하고 외치거나 생각한다면, 네가 스스로 풀 때까지 ‘늘 같은 일’이 찾아온단다. 2022.11.30.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숲노래 마음노래 . 숲



너희는 숲을 몰라. 너희가 숲을 안다면 숲에서 살 테고, 늘 숲빛으로 살림을 지을 테고, 너희 말글은 언제나 숲가락으로 흐르는 숲노래일 테지. 너희는 숲을 배울 마음이 있니? 숲을 등진 채 서울(도시)에서만 돈을 벌고 이름을 얻고 일거리를 찾으려 한다면, 너희는 스스로 마음을 갉거나 몸을 무너뜨리는 셈이야. 참으로 모르겠니? 모든 밥·옷·집을 숲에서 얻지. 모든 숨결은 숲에서 어우러져. 너희가 몸을 입고서 살아가는 푸른별(지구)은 바로 이 숲이 있기에 저마다 다르게 숨결을 누리지. 이 별에 숲이 없으면 너희는 바로 숨막혀서 죽어. 배고파 죽기 앞서 숨부터 막히지. 생각해 봐. 너희는 보름도 달포도 굶을 수 있지만, 1초는커녕 0.1초나 0.01초라도 숨을 안 쉰다면 바로 몸이 먼지처럼 사그라들지. 숨을 쉴 수 있는 바탕이 숲이야. 이 숲은 들을 옆에 둔단다. 숲이며 들은 둘레에 바다를 둬. 드넓게 바다를 품기에 숲이 푸르고, 바다는 바다대로 맑아. 바다랑 숲은 서로 하나인 듯 다른 숨결로 만나. 그래서 푸른별에 온갖 목숨이 춤추고 노래하지. 들·숲·바다라는 결을 잊다가 잃으면, 사람부터 모든 목숨붙이는 먼지가 되지. 뭐, 그런데, 너흰 먼지가 되더라도 ‘먼지가 된 줄조차 모르는 먼지’이겠지. 슬플 일도 아쉬울 일도 모르는 채 하루아침에 잿더미에 갇혀. 숲은 모두 씨앗 한 톨부터 자랐어. 아름드리로 커다란 덩이가 똑 떨어지지 않았어. 아주 조그맣디조그만 씨앗 한 톨이 처음으로 ‘먼지 알갱이’마냥 이 별에 깃들었고, 이 티끌 같아 보이는 씨앗이 오래오래 꿈을 그리면서 천천히 자랐기에 풀꽃나무로 우거지는 숲으로 뻗었지. 넌 숲을 아니? 2022.11.20.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숲노래 마음노래 . 지도자


앞에서 이끄는 사람이 ‘지도자’라고 잘못 알곤 하더라. 한자말 뜻풀이로 보면 ‘지도’란 “어느 곳 가리키기”야. “가리키는 놈”이 지도자이지. 알겠어? ‘지도자’는 앞에서 안 이끌어. 뒤에 혼자 아늑하게 퍼질러앉아서 다른 사람들더러 앞으로 나가서 ‘받이’를 하라고 시키는 놈이란다. ‘받이’란 ‘화살받이·총알받이·욕받이’야. 숱한 사람들 목숨을 마치 허수아비처럼 다루고 부려서 제 목숨만 건사하는 놈이 ‘지도자’야. 그런데 숱한 사람들은 ‘받이’가 되어 목숨도 삶도 잃는데, 뒤에 멀쩡히 숨어서 ‘시키는(가리키는)’ 놈은 가슴팍에 번쩍번쩍 보람(훈장)을 주렁주렁 달더구나. 너희한테 ‘지도자’가 있어야 한다면, 너희는 스스로 생각하기를 그만두고서 심부름만 하겠다는 뜻이야. 어떤 ‘지도자’이든 사람들이 스스로 생각을 못 하도록 막거든. 남들한테 시키고서, 저는 뒤에 아늑히 물러앉아야 자리를 지킬 뿐 아니라 돈·힘·이름을 얻어. 너희는 ‘지도자’를 바라거나 부르거나 모시지 마. 그저 너희 스스로 해. 그리고 어느 엉터리가 위로 올라서서 ‘우쭐짓(지도자 행세)’을 한다면, 그냥 그를 쳐다보지 마. 멍청한 지도자를 끌어내린다면 다른 멍청한 지도자가 그 자리를 꿰차거든. 지도자 따위에 홀리지 마. 너희 삶은 너희가 돌봐. 너희 길은 너희가 골라서 가. 지도자가 있느니 없느니 탓하지 마. 지도자가 잘못했다고 타박하지 마. 네가 할 일을 네가 안 하고서, 심부름(시키는 일)만 받아서 노닥거리려 한 네 민낯을 봐. 손가락을 까딱까딱 가리키기만 하는 배불뚝이가 굶든 말든 쳐다보지 마. 그놈이 배고프면 스스로 기어내려와서 호미를 쥘 테니까. 2022.11.18.쇠.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숲노래 마음노래 . 옮기는 말



남이 옮기는 말은 ‘네가 들을 말’도 ‘네가 지을 하루에 놓을 말’도 아니란다. 네가 그리는 말이 네 하루에 놓을 말이고, 네가 짓는 말이 네 마음을 살찌우는 말이야. 아름답거나 훌륭하거나 놀랍구나 싶은 ‘다른 사람 말씀’을 받아적을 수 있겠지. 그런데 ‘받아적은 말’을 그대로 옮기지 마. 네 마음으로 삭이고 풀어내어서 네 삶으로 새롭게 펼치기를 바라. 너는 네 넋이 지은 옷인 네 몸으로 네 하루를 맞이하잖니? 그럼 너는 네 몸을 살리는 네 마음빛을 펼쳐야지. 네 마음이 빛나도록 네 말을 스스로 짓고 누려야지. 뜨고 지는 해는 늘 해 그대로야. 해를 바라보며 빙그르르 도는 푸른별(지구)은 늘 푸른별 그대로야. 해는 오직 해로 뜨고 지면서 산단다. 푸른별은 오직 푸른별이라는 숨결로 빙그르르 돌아. 해에는 누가 살까? 해가 퍼뜨리는 기운은 어느 별을 어떻게 가꿀까? 네가 살아가는 별에서는 안팎으로 누가 무슨 기운을 펴고 받아들이면서 하루를 지을까? 네가 스스로 닫아걸 적에는 아침도 저녁도 느끼지 않아. 네가 스스로 열어젖힐 적에는 아침해·저녁해뿐 아니라 아침바람·저녁바람도 아침새·저녁새도 아침별·저녁별도 아침꽃·저녁꽃도 느끼고 바라보면서 알아차리지. 남이 지은 말을 옮길 적에는 ‘남이 느끼고 보며 알던 틀’에 네 삶을 맞추는 버릇이 생겨. 너는 너인데 네가 너를 잊는 틀이 바로 ‘옮기기’야. ‘옮기는 말’은 ‘베낌(필사)’으로 흐르지. 못난 말도 잘난 말도 없어. 그저 우리를 드러내는 말이야. 누가 한 말을 섣불리 옮기려 하지 말고, 네 마음을 담아서 드러내도록 하기를 바라. 네 마음을 담은 말이어야 네 사랑이 깨어나. 2022.11.14.달.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