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차꼬를 2023.2.10.쇠.



네가 무엇을 배우려고 어느 모임에 갔다고 해보자. 그런데 그 모임에서 첫자리(1교시)부터 엉망이라면? 넌 첫자리를 하는 동안에 벌떡 일어나서 나오겠니? 두자리(2교시)·석자리(3교시) 지켜보겠니? 넉자리(4교시)·닷자리(5교시)를 그냥 듣거나 너무 지겨워서 배움모임에서 딴짓을 하겠니? 여섯자리(6교시)까지 견디다가 드디어 일곱자리(7교시)에서 박차고 나오겠니? 여덟자리(8교시)까지 들으면 너한테 ‘다 들었다는 자격’을 줄 테니 그냥 있으라고 할 적에 넌 ‘자격’을 얻으려고 눌러앉겠니? 아니면 “한 시간이어도 내가 나답게 나를 가꾸는 데에 쓰겠다!”고 외치면서 “거짓으로 길들여 거짓 자격을 주는 차꼬”를 내가 스스로 뒤집어쓸 마음이 없다고 거듭 외칠 수 있겠니? 돈·이름·힘이나 자격증·졸업장이 하나도 안 나쁘단다. ‘나쁜짓’은 없어. 다루는 마음이 엉클어지거나 비틀리거나 시커멓기에 거짓을 부리거나 사람들을 차꼬에 가두려는 짓이 있지. 다만, 생각하고 거듭 생각하렴. ‘차꼬에 가두려는 짓’이 ‘나쁜짓’이라고 여기지 마. 저렇게 하는 무리를 ‘나쁜놈’으로 여기지 마. ‘좋고 나쁨’으로 가르려 들지 마. 그저 저들이 ‘무슨 짓’을 하는가만 느껴서, “그대는 ○○짓을 하는군요.” 하고 나긋나긋 들려주렴. 거짓말을 하는 이더러 “거짓말을 하니 넌 나빠!” 하고 ‘좋고 나쁨’으로 가르면, 그들이 노리는 대로 ‘좋고 나쁨으로 가르는 싸움’이라는 차꼬에 갇힌단다. 넌 그저 “그대는 거짓말을 하는군요.” 하고 말하면 돼. 거짓이니 거짓이라 얘기하고, 참이니 참이라고 말하면 된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핵무기 2023.2.16.나무.



너한테 총칼이 있으면, 이 총칼은 ‘너(나)를 지키는 길’에 쓰지 않아. 모든 총칼은 ‘나(너)를 죽이는 굴레’로 쓴단다. 네가 총칼을 거머쥐고서 ‘둘레에서 너를 노리는 놈’이 있다고 여기면서 물리치려고 마음을 먹는다면, 넌 너를 못 지킬 뿐 아니라 ‘죽음수렁’에 너 스스로 가둔단다. 네가 너를 지키고 싶으면, 모든 총칼을 녹여서 호미·낫·쟁기·붓으로 바꿀 노릇이야. 이러면서 네 모든 몸·마음에 ‘사랑빛’을 씨앗으로 심어서 언제나 새롭게 돌보고 가꾸면 돼. 네가 너를 지키는 길은 ‘스스로 마음에 심고 품는 사랑빛씨앗’ 한 톨이란다. 열 톨 백 톨 즈믄 톨조차 아니야. 딱 한 톨이면 돼. 그저 ‘사랑빛씨앗’ 한 톨일 뿐이야. 그러나 네가 마음에 ‘사랑으로 빛나는 씨앗’이 아닌 ‘두렵거나 무서워하는 굴레’를 심거나 ‘미워하거나 좋아하거나 등돌리거나 따르는(따라가는) 마음’을 심는다면, 넌 스스로 모든 총칼(전쟁무기)을 끌어들여서 너도 죽고 남도 죽여 다같이 죽는 수렁으로 갈 테지. 생각을 하지 않고 느낌(감정)에 따라서 움직이고 길들기에 싸우고 싸우려 하고 싸움이라는 마음을 자꾸 부추기지. 왜 이겨야 하지? 왜 져야 하지? 왜 없애야 하지? 왜 있으면 안 되지? 이쪽이냐 저쪽이냐 하고 가르는 마음이 모두 싸움(전쟁)이야. ‘나눔’은 좋거나 나쁘거나 옳거나 그르지 않아. 나도 너도 누리는 노래·놀이를 사랑으로 심기에 ‘사랑나눔’이요, 너(나)부터 스스로 이기거나 져야 한다는 느낌(감정)을 심기에 ‘쪽나눔’, 곧 ‘편가르기(편파)’란다. 핵무기란 늘 ‘쪽나눔’인, 같이 죽자는 길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옆에서 2023.2.18.흙.



옆에서 누가 떠드니? 떠드는 소리는 왜 들릴까? 옆에서 누가 쓰레기를 버리니? 쓰레기 버리는 모습은 왜 보일까? 옆에서 누가 장난을 거니? 장난 거는 짓을 왜 느낄까? 옆에서 새가 노래하니? 새노래를 느꼈어? 아니면, 새를 못 느끼거나 못 볼 만큼 다른 곳에 마음이 있니? ‘옆에서’ 무엇이 어쩌건 말건 네가 왜 보고 느끼고 마음을 기울여야 하니? 옆에서 춤추건 떠들건 왜 네 숨결이 아닌 딴곳을 쳐다보아야 하니? 네가 걸어가는 곳에 꽃이 피었니? 왜 네 옆에 꽃이 피고, 너는 그 꽃을 알아볼까? 네가 있는 옆으로 새가 내려앉아 노래하니? 왜 네 옆에 새가 내려앉고, 노래까지 할까? 옆에서 일어나는 모습은 무엇일까? 너는 어느 모습을 흘려보내고, 어느 모습은 못 흘려보낼까? 너는 어느 모습에 마음이 가고, 어느 모습은 못 느끼거나 안 쳐다볼까? 옆을 느끼거나 보기에 나쁠 일은 없어. 그저 네가 옆을 볼 적마다 너를 잊고 놓칠 뿐이야. 옆에서 누가 지나가거나 소리를 내든, 너는 네 발걸음이랑 몸짓으로 살아내고, 네 목소리로 네 이야기를 들려주면 돼. 옆에서 쿡쿡 찌르기에 알아볼 수 있겠지. 옆에서 시키니 문득 쳐다볼 수 있겠지. 그리고 네가 지은 마음을 옆에 얹거나 심을 수 있어. 누가 네 씨앗(마음씨·말씨·글씨·솜씨·맵시)을 이러쿵저러쿵 하거나 말거나 너는 네 씨앗을 웃고 노래하면서 심을 만해. 네가 걸어가는 길을 따라서, 네 보금자리 둘레에, 네가 그리는 꿈씨를 한 톨씩 심으면서 네가 모두 바꾸어낼 만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카드 2023.2.19.해.



네가 버스를 타거나 전철을 탈 적에 ‘카드’를 대지. 조그마한 판 하나를 대고서 무엇이든 타고다닐 수 있어. ‘카드’란 무엇일까? ‘교통카드·신용카드·체크카드’가 있고, ‘크리스마스카드·생일카드’가 있어. 돈처럼 다루는 카드에 글·그림을 담는 카드는 다 작아. 작으면서 가벼워. 그런데 이 작으면서 가벼운 카드에 ‘네가 쓰고 싶은 돈’을 넉넉히 담고, ‘네가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를 즐겁게 담는단다. 넌 언제 어디를 가더라도 ‘카드’를 챙기지. 그래, 그러면 “네 몸에 이바지하는 살림”을 ‘카드(신용카드)’에 담는다면 “네 마음을 이루는 살림”을 ‘카드(그림카드)’에 담을 수 있겠지? 네 꿈을, 네 사랑을, 네 뜻을, 네 앞길과 오늘을 ‘카드(그림카드)’에 담을 만해. 다시 말해서 ‘꿈그림’을 아주 조그마한 종이에 글이나 그림으로 가볍게 담고서 늘 품고 다닐 만하지. 알 수 있을까? 네가 깃든 집에는 네가 눈으로 보고 다시 마음에 담도록, ‘꿈그림(그림카드)’을 붙여 보렴. 네가 바라보는 ‘꿈그림 카드’를 언제 어디에서나 떠올릴 수 있도록 마음에 담으렴. ‘카드는 작고 가볍다’는 대목을 되새기기를 바라. 네가 스스로 이루는 꿈은 ‘카드’처럼 언제나 작고 가볍게 그려서 늘 거뜬하고 넉넉하게 품기를 바라. 꿈이 작고 가볍기에 삶을 얼마든지 마음껏 펼치면서 누리지. 꿈그림을 작고 가벼운 ‘쪽(카드)’에 담아서 늘 품을 수 있도록 ‘씨앗’으로 쥐고서 심으렴. 그래, ‘카드 = 꿈그림 = 작고 가벼운 것 = 날개(자유) = 씨앗’이야. ‘말씨·마음씨·글씨’ 같은 ‘씨앗’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펼쳐 2022.3.1.불.



펼쳐놓아 봐. 펼친 곳에서 무엇을 할는지 아직 몰라도 돼. 머리가 멍해도 되고, 손이 안 움직여도 돼. 바로 하거나 빨리 해야 하지는 않거든. 그대로 두렴. 뭔가 돕거나 꾸며야 하지 않아. 뭘 더 해놓거나 해줄 일은 없어. 비면 비는 대로, 차면 차는 대로 두렴. 언제나 그대로 어울린단다. 바람은 어느 곳에나 가만히 불면서 모두 어루만지지. 바람을 맞아들이지 않으면 풀꽃나무는 시들어. 잘 보면, 뿌리도 줄기도 잎도 고루고루 바람을 먹는단다. 바람이 들지 않는 곳이면 어느새 시들거나 곪거나 썩어. 바람이 들기에, 이 바람에 햇볕이나 빗물이 감돌면서 사르르 녹으며 스민단다. 기름진 흙도, 메마른 흙도, 잎이 지며 차곡차곡 쌓인 흙도, 풀벌레가 살아가는 흙도, 모두 바람을 같이 머금으면서 푸르지. 네가 무엇을 하려는지 안다면, 네가 아는 만큼 마음을 죽 펼쳐놓으면 돼. 아직 모르겠다면, 모르는 대로 그저 펼쳐놓으면 되지. 펼쳐놓기에 바람이 살살 어루만지면서 군힘을 씻어 준단다. 펼쳐놓으면 바람이 슬슬 토닥여서 울퉁불퉁한 데를 고르게 품지. 네가 받고 싶은 햇빛·별빛·꽃빛·흙빛을 물끄러미 보듯 생각하면서 펼쳐놓아. 네가 짓고 싶은 손빛·얼굴빛·말빛·숨빛을 구름을 보듯 천천히 펼쳐놓아. 바람줄기는 언제나 코끝부터 온몸을 돌고, 살갗부터 온몸을 휘감아. 바람줄기가 몸 구석구석을 돌기에 너는 네 몸을 움직일 수 있어. 바탕이 물이기에 싱그럽고, 이 물은 바람이 흘러서 움직이기에 삶을 누리지. ‘물이 바람을 타고 움직이며 삶을 이루’니, 이 삶은 저마다 다른 ‘별씨앗빛’이 되어 네 모든 곳에 드리운단다. 뜨는 해를 봐. 뜨는 햇빛은 모두 사랑한단다. 지는 해를 봐. 지는 햇살은 모두 생각하지. 사랑하고 생각하고, 생각하고 사랑하면서, 하루가 찬찬히 흘러. 하루가 찬찬히 흐르는 길을 바라보기에 너는 늘 너라는 빛을 그대로 돌볼 수 있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