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줄이는데 2022.8.11.나무.



너는 언제나 애쓰지. 누가 모르겠니? 다 안단다. 네 땀방울이 얼마나 값지다고 누가 말로 나타내지 않아도 네 땀방울은 늘 값지단다. 네가 애쓰는 줄 잘 알아보지 않거나 치켜세우지 않아서 섭섭하니? 너는 틀림없이 조금씩 줄이면서 바꾸어 나가는데, 네가 조금씩 줄이느라 애쓰는 땀방울을 둘레에서 안 알아보니 서운하니? 그런데 보렴. 네 둘레에서는 ‘네가 그냥 하루아침에 가볍게 싹 갈아엎을 수 있는 줄 아는데, 네가 미적미적하듯 부러 빙그르르 돌아가기만 한다’고 느낄 만해. 조금씩 줄이면서 바꾸어도 대단하지. 그런데 너는 ‘대단하구나’라든지 ‘잘하는구나’라든지 ‘훌륭하구나’ 같은 소리를 오래오래 들으려고 조금씩 바꾸니? 아닐 테지? 누가 너더러 “아직 안 하네?”라든지 “아직 멀었어?” 하고 묻거나 따진다면 “잘못했습니다. 처음부터 다시 마음을 추슬러서 새로 하겠습니다.” 하고 고개숙이며 말하렴. 넌 늘 처음부터 새마음으로 할 노릇이야. 그저 그대로 가다가는 끝이 안 나고, 둘레에서도 힘들기에, 비로소 너한테 말을 건단다. 너는 이 목소리를 기쁘면서 고맙게 들으렴. 누가 말하든 반가이 절하렴. 어떻게 말하든 “곰곰이 짚으면서 고치겠습니다.” 하고 수그리렴. 수그리지 않는 나락은 알맹이가 못 여물어. 수그리는 나락이어야 알맹이를 넉넉히 열어. 넌 늘 한단다. 봄에 꽃이 피듯, 여름에 잎이 푸르듯, 가을에 열매가 익듯, 겨울에 씨앗이 꿈꾸듯, 네 하루를 새롭게 받아들일 수 있기를 바란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소리 2021.12.13.달.



소리·말·이야기, 이 셋이 가만히 흐르지. 그저 흐르며 들리지만 무슨 뜻인 줄 모르기에 ‘소리’야. 흐르며 들리는 줄 느끼지 못하면 ‘바람’이지. 이제 무슨 뜻인가 읽는다면 ‘말’이란다. 이 말을 혼자 품기보다 둘레에 나누려고 저마다 삶을 담으면 ‘이야기’로 나아가지. ‘소리·말·이야기’ 셋이 다른 줄 생각해 봤니? 이 셋이 네 곁에서 어떻게 흐르고 자라고 퍼지는가를 헤아려 봤니? 그저 들리기만 하고, 뜻이 감도는 줄 못 느낀다면 ‘소리’란다. 아직 네가 마음을 기울이지 않을 적에도 ‘소리’야. 듣고 싶지 않거나 하고 싶지 않을 적에는 ‘잔소리’로 여긴다는 셈이고, 새가 ‘노래한다’고 하면 새하고 마음으로 틔워서 만난다는 셈이야. 마음을 기울여 생각을 담기에 ‘말’이잖아. 이 말을 나누려 할 적에는 마음을 ‘잇는’단다. ‘잇는 말 = 이야기’야. ‘잇는 말’이기에 너도 말을 하고 나도 말을 하지. “이야기 = 잇는 말 = 오가는 말/주고받는 말/나누는 말/흐르는 말”이지. ‘이야기’는 그저 생각만 나누는 말·일·자리가 아니야. 생각에 담은 뜻을 서로 펴면서 하루를 새롭게 짓고 싶은 꿈이 흐르기에 ‘이야기’란다. 이 이야기를 펴면서 가르치고 배워. ‘이야기 = 가르치고 배우는 자리’라고도 하겠지. 먼 옛날부터 ‘삶을 손수 짓고, 살림을 함께 가꾸며, 사랑을 스스로 길어올린 사람’은 ‘이야기’에 슬기를 얹어서 들려주었어. 이야기를 물려주고 물려받으면서 ‘손수짓기(자급자족)’를 깨달았단다. 이야기를 들으며 집·밥·옷을 짓는 길을 익혀 왔어. 너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소리’만 내겠니? ‘말’만 하겠니? ‘이야기’를 펴고 듣겠니? 삶·살림·사랑을 짓는 사람으로 가려 한다면 꼭 ‘소리·말·이야기’를 제대로 바라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든 2021.12.12.해.



아직 없으니까 데려오고 싶지. 이제 있다면 이곳에 있는 대로 실컷 쓰면 돼. 아직 있으니까 나누고 싶어. 이제 없다면 가볍게 탁 털고서 일어서면 돼. 없으니 얻어. 없으니 엉성하거나 어지러울 만한데, 없으니 어디이든 간단다. 있으니 이어주지. 있으니 이따금 이야기로 하는데, 있으니 이제부터 새길을 간단다. 너한테 무엇이 없고 있는지 들여다보렴. 너한테 무엇이 없어서 즐겁고 서운한지 바라보렴. 너한테 무엇이 있어서 신나고 시무룩한지 헤아리렴. 없기에 바라도 되고, 있기에 가꾸어도 돼. 없기에 가벼우면 되고, 있기에 활짝 펴서 홀가분하면 돼. 없기에 슬프다면, 있기에 똑같이 슬프단다. 있기에 벅차면, 없기에 늘 버겁지. ‘있고없음·없고있음’은 늘 함께야. 따로인 적은 없어. 있기에 없고, 없기에 있지. 네가 눈을 제대로 뜨면 ‘있든 없든’ 네 눈으로 보면서 네 길을 가더라. 네가 눈을 질끈 감으면 ‘있든 없든’ 남 눈에 휘말리면서 남이 시키는 대로 휘둘리지. 그러나 휘말리고 휘둘리기에 네 몸에는 ‘남이 시키는 멋’이 무엇인지 찬찬히 쌓여. 쌓여서 ‘있기’에 길들며 잠들기도 하고, 쌓여서 ‘있더’라도 곧 털어내려고 눈뜨기도 해. 스스로 그려서 하노라면 ‘남을 볼 일’이 없으니까 휘말림·휘두름을 모르지. 알 까닭이 없어. 스스로 그려서 하는 오늘이 ‘있기’에 한결같이 노래하고 춤추는데, 스스로 그려서 하는 오늘이 ‘있기’에 한결같이 노래하고 춤추는데, 스스로 그려서 하는 오늘이 ‘있더’라도 문득 넋을 놓으면 조금씩 남을 쳐다보다가 ‘네가 여기 있는’ 줄 잊어 간단다. 깨달았기에 안 흔들리고 가면 좋니? 깨달았기에 출렁출렁 오르내리며 놀면 어떠니? 못 깨달았기에 또 남을 쳐다보면서 헤헤거리면 어때? 안 깨달으면서 쳇바퀴를 맴돌면 나쁘니? 곧게 가는 길이야. 돌아가는 길이야. 헤매도 길이야. 껑충 뛰거나 날아도 길이야. 어느 길에 서든 네가 있는 곳을 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옳고 그름 2021.12.11.흙.



무엇을 먹어야 좋다는 생각을 자꾸 하면, ‘이쪽으로 가야 옳’고, ‘저쪽으로 가면 나쁘다’고 여기면서 서로 가르지. 이런 ‘가름’은 ‘싸움’이야. 싸우는 길로 젖어들거나 길들면서 남(권력·우두머리)이 시키는 대로 받아들이고 싶다면 ‘좋고 나쁨’을 자꾸 생각하렴. 그러나 ‘싸움’을 바라지 않고 ‘사랑’이라는 기쁨길을 가고 싶다면 ‘이렇게 해야 좋고, 저렇게 하면 나쁘다’는 생각을 이제부터 씻으렴. 빗물에 씻고, 바람에 씻어. 별빛에 씻고, 햇빛에 씻어. 잎빛하고 꽃빛에 씻고, 멧새노래랑 풀벌레노래랑 개구리노래로 씻어. 물줄기노래로 씻고, 냇물에 몸을 담가서 씻어. 너희 삶은 무엇이든 해보면서 모두 배우는 길이야. 배울 적에는 ‘좋고 나쁨’이나 ‘높고 낮음’이나 ‘옳고 그름’이 없어. 튼튼한 몸을 배우고, 끙끙 앓거나 다치며 배워. 심심하면서 배우고, 재미나면서 배우지. 맞추면서 배우고 틀리면서 배워. 그리고 좋으면서 배우다가 싫으면서 배워. 자, 삶이란, 온하루가 배움길인데, 배우기만 하다가는 생각이 어지러워. 뭘 배우고 나면 ‘자야’ 해. ‘재우’지. 너희는 김치를 담그더군. 겉절이라 해서 바로 먹기도 하지만, ‘익’도록 ‘재우’잖아? 무엇을 해보고서 배웠으면 곧 쉬렴. 몸이 쉬고 잠이 들어야, ‘배운 길’을 꿈나라에서 ‘익히는(삭히는)’ 마음으로 가. ‘그림 → 삶 → 배움 → 생각 → 익힘 → 꿈’으로 흐르고, 이 흐름은 죽 나아가는 사이에 스스로 천천히 ‘사랑’이 싹터. 왜 겨울이 있는 줄 알겠니? 자라는 뜻이야. 꿈꾸며 익혀서 사랑으로 가라는 뜻이야. 겨우내 사랑으로 무르익는 꿈을 지어야, 새철인 봄에 온마음으로 ‘처음’부터 ‘새’롭게 ‘보’면서 너희 몸·마음이 든든히 선단다. 그래서 12월을 너희는 ‘섣달’이라 하고, 새해 첫날을 ‘설날’이라 하더구나.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옹이 2023.2.8.물.



나무는 ‘옹이’가 지기에 서. 굵어가면서 새롭게 뻗을 적마다 ‘마디’를 잇는 곳에 ‘옹이’가 박히면서 든든히 받치고 감싸지. 너희는 속살이 부드러우면서 가득하게 흐르도록 겉살(거죽)이 나지. 겉살은 너희가 서거나 걷거나 움직이거나 무엇을 할 적마다 ‘길’이 들면서 반들반들한 빛이 나고 차츰 단단한 살로 박혀. ‘굳은살(꾸덕살)’이라고도 하고 ‘옹이’라고도 하지. ‘옹이’란, 나무이든 사람이든 스스로 하거나 가고 싶은 모든 길을 바탕으로 이루면서 잇는 자리이지. 옹이가 지지 않으면 나뭇가지는 쉽게 부러지다가, 나무가 통째로 시들시들하겠지. 너희 몸도 곳곳에 옹이가 지면서, 쥐든 걷든 달리든 만지든 디디든 걱정이란 없이 든든하게 나아간단다. 그러니까 너희 겉살이 말랑말랑하기만 할 적에는 너희 스스로 너희 살림을 가꾸거나 짓기 어렵다는 뜻이야. ‘굳은살·옹이’란 너희가 하루하루 다지면서 쌓아가는 ‘켜·겹’이라고 여길 만해. 하루아침에 박히는 옹이가 아니란다. 하루아침에 갑자기 옹이가 박히려고 하면, 오히려 겉살이 찢어지거나 망가져서 속살까지 다치지. 차근차근 조금씩 두고두고 다독이면서 나아가려 하기에, 퍽 천천하면서 느긋하게 ‘옹이’가 지지. 서두르려 하면 몽땅 무너지고, 나긋나긋 날마다 새롭게 배우면서 맞아들이려 할 적애는 늘 단단하면서 반짝반짝 빛나는 몸으로 거듭난단다. ‘몸’을 입었으면 하루아침에 한꺼번에 하려고 달려들지 마.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