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마음노래

잿빛



몸을 녹이면 ‘새로 태어날 곳’으로 간단다. 누구는 몸을 녹여 흙으로 돌아가서 씨앗한테 넋이 깃들어 새롭게 풀꽃나무로 솟아나지. 누구는 몸을 녹여 흙으로 잠들어서 넋이 훨훨 날다가 새 몸뚱이한테 스며들어 새 목숨붙이로 살아나지. 누구는 몸을 녹여 고스란히 물이 되기에 샘도 내도 바다도 되다가 구름도 비도 되어 노래하지. 누구는 몸을 녹여 물빛으로 찰랑이다가 날개를 받아들이고는 온누리를 훨훨 날아오르며 눈부시게 놀지. 누구는 몸을 녹여 고요히 꿈누리로 찾아가면서 문득 깨어나 별이 되어 빛나지. 그런데 ‘몸을 녹이지 않으’려고 하면서 끝까지 ‘새로 태어날 곳’으로 안 가는 놈이 있어. 이놈은 잿가루가 되어 새로 태어날 생각을 잊은 채, 잿더미로 몸뚱이를 입히면서 마치 ‘살아가는 듯’ 꾸미더라. 잿빛은 두 가지야. 몸을 녹여 마음을 살리려는 길이 있고, 몸을 붙잡느라 마음을 잊어 그만 숨결을 잃어버리는 굴레가 있어. 너희가 뚝딱뚝딱 올려세우는 서울(도시)이 바로 ‘죽음잿빛’이야. 이 서울은 돈이 흐르고 이름이 넘치고 힘으로 겨루지. 보렴! 서울에 ‘살림’이나 ‘사랑’이나 ‘숲’이 있니? 죽은몸을 부여잡고서 넋없이 맴돌거나 떠돌거나 헤매는 ‘눈먼몸’만 흘러넘치지 않아? 이제는 시골조차 ‘서울바라기’를 하면서 살림을 버리고 사랑을 등지고 숲을 깔아뭉개더라. 너희는 별바라기·꽃바라기·비바라기·해바라기를 품으면서 ‘참나·바라기’로 가야 살아날 텐데. 2022.10.18.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마음노래

볼만하다



커다란 나무가 볼만하니? 자그만 나무가 볼만하니? 넌 나무를 ‘볼만한가 안 볼만한가’로 가를 수 있니? 누가 초라하니? 어떤 일이 보잘것없니? 어느 때 꾀죄죄하니? 누가 반갑니? 어떤 일이 즐겁니? 어느 때 신나니? 해볼 만한 일이란 없어. ‘하면서 배우는 일’만 있단다. 볼만한 모습이나 자리는 없어. ‘다 다른 숨결로 다 다르게 살아가는 모습하고 자리’가 있을 뿐이야. 지레 깎지 말고, 자꾸 추키지 마. 그대로 보고 느끼고 받아들이고 사랑하렴. 네가 그대로 보고 느끼고 받아들이고 사랑하면 다 사랑으로 바뀐단다. ‘사랑일 적’에는 ‘볼만한가 안 볼만한가’를 부드러이 녹여서 네 눈길을 틔운단다. 네가 사랑으로 달래기에 ‘할만한 일’이 아닌 ‘사랑스런 일’이 돼. 네가 사랑으로 가꾸기에 ‘쓸만한 것’이 아닌 ‘사랑스런 것’이 돼. 그러니까, 네가 짜증을 내면 ‘볼만한 무엇’은 ‘짜증스런 무엇’이 되지. 네가 골을 내면 ‘할만한 일’이 ‘골나는(성나는) 일’이 된단다. 네가 미움이란 씨앗을 심기에 무엇이든 ‘밉고’ 말아. 네가 버럭버럭 소리지르거나 틱틱거리기에, 무엇이든 바스라지거나 깨지거나 빛을 잃어. 서두르지 마. 걱정하지 마. 서두르니 다 바스라져. 걱정하니 몽땅 깨져. 구름을 보렴. 너희 삶터를 말끔히 씻어 주려고 바다에서 하늘로 올라간 물방울이 하얗게 뭉쳐서 춤추는 모습을 보렴. 네 마음이 별빛으로 구름빛으로 물들면서 반짝이도록 오로지 사랑을 그려서 담으렴. 2022.10.14.쇠.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마음노래



모든 말은 뜻이 하나가 아니야. 영어도 한자도, 너희가 쓰는 말도. 영어나 한자만 ‘한 가지 소리인 말’이 뜻이 여럿일까? 너희가 쓰는 말도 ‘한 가지 소리에 여러 뜻’인 줄 제대로 느끼거나 아니? ‘들어맞는 말’을 찾으려고 하지 마. ‘생각을 나타낼 말’을 골라서 쓰렴. ‘맞는 말’을 하려고 애쓰지 마. ‘생각을 그려서 나눌 말’을 부드럽게 상냥히 하렴. 너희가 쓰는 말을 처음 지은 사람은 마음을 소리에 담을 생각을 어떻게 했을까? 처음에는 한 곳을 가리킬 적에 하나로 쓰던 말일 텐데 누가 언제 어떻게 쓰임새를 넓히고 깊이 이끌었을까? 너희는 너희가 물려받아서 쓰는 말에 뜻·느낌·생각을 넓히거나 깊이 가꾸니? 아니면 둘레엣 쓰는 그대로 좇니? 너희는 너희 마음을 나타낼 말을 그때그때 새로 짓니? 아니면 다른 사람들이 엮어 놓은 말을 찾아보면서 짝을 맞추려고 하니? 왜 어느 낱말은 열·스물·서른·마흔·쉰 가지 뜻이나 쓰임새가 있을까? 너희는 어떻게 열·스물·서른·마흔·쉰 가지로 뜻·결·쓰임새가 다른 말을 마음껏 쓸 수 있을까? 네 마음은 네가 말로 터뜨리고 낯빛·몸짓으로 보여주기에 나눈단다. 네 마음은 스스로 고요히 사랑일 적에 가장 밝게 드러나서 굳이 말이 없어도 되지. 고요히 사랑이 아닐 적에는 찬찬히 노래하면서 사랑을 그릴 만해. ‘말’도 노래 가운데 하나란다. ‘사랑을 그리는 마음’이 없이 말을 혀에 얹으려고 하면, 딱딱하거나 차갑거나 메마르게 마련이다. 듣는 쪽에서도 느끼고 말하는 쪽에서도 느껴. 너는 네 말을 듣는 사람뿐 아니라, 너 스스로 딱딱하거나 차갑거나 메마르게 내모는 말을 하면서 즐겁니? 언제 어느 곳에서나 같아. ‘싫어하는’ 마음은 네 숨결을 스스로 ‘시시하게’ 갉는단다. 2021.12.29.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마음노래

악당



온누리는 그저 ‘삶’인데, 삶은 좋거나 나쁠 수 없이, 모두 새롭게 마주하면서 보고 느껴 배우는 나날인데, 너희가 ‘삶보기’를 안 하면서 “좋아! 싫어!”라든지 “좋아! 나빠!” 하고 자꾸 갈라서 싸우려는 마음이기에 ‘아군(우리 쪽)·적군(악당·저쪽)’으로 나누더구나. 왜 좋아야 할까? 왜 싫거나 나빠야 할까? 왜 저쪽을 나쁘거나 싫다고 여기면서 깎아내리거나 비웃거나 놀릴까? 너희는 ‘풍자(익살)’라는 한자말을 내세워서 ‘갈라치기(분열·분단·차별)’를 해대는데, ‘너랑 마음이 다른 사람’을 왜 나쁘다거나 싫다고 손가락질을 하니? ‘네 마음을 어느 누구도 깎아내리거나 얕보아야 하지 않다’면, 너도 ‘너랑 다른 마음’인 사람을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어깨동무하는 길을 새로 찾아서 열어야 하지 않을까? 이른바 ‘진보는 풍자 대상이면 안 되는’데, ‘보수는 풍자 대상이어도 될’까? 사람들이 어느 쪽에 서건 그들은 그들 마음 그대로 바라보아야 하지 않을까? 저쪽이 총을 들었으니 너희도 총을 들어야 하면, 누가 ‘나쁜놈(악당)’일까? ‘우리 쪽에서 드는 총’은 ‘착한일’이니까, 저쪽을 몽땅 때려부수고 죽여야 하니? 너희 그런 마음이 ‘농약’을 만들어서 ‘좋은풀(곡식·약초)’하고 ‘나쁜풀(잡초)’로 가르더구나. ‘학교를 다녀야 착하고 좋으’며, ‘학교를 안 다니거나 그만두면 나쁘다’고도 여기지. 네가 “삶을 안 보고서 ‘좋다·나쁘다’로 가르는 마음”이 ‘싸움(전쟁)’을 일으키고 나쁜놈(악당)을 만들어내지. 이런 네 마음은 ‘삶’이 없으니 ‘살림·사랑’도 ‘사람’도 없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마음노래

주시경



너희는 참 재미있어. 세종 임금이 ‘훈민정음’이란 글을 지었다지만, 정작 세종 임금을 비롯해서 글바치(지식인)·벼슬아치는 ‘훈민정음’을 안 썼고, 조선 500해 내내 다들 한문만 썼지. ‘글을 지었다’는데, 안 썼다면 참말로 ‘글을 지은 이’가 맞니? 너희는 ‘국한문’이란 어정쩡한 낱말을 쓰는데 ‘국·한문’에서 ‘국문(國文)’은 ‘일본글’이잖아? ‘국어 = 일본말’이지. 뻔히 보이는 이 얼거리를 왜 그대로 안 보고 안 생각하니? 임금·글바치·벼슬아치는 한문·중국말을 썼지만, 아이를 사랑으로 낳아 돌보며 손수 밥·옷·집을 짓던 숲사람·시골사람·흙사람은 ‘사투리(삶말)’를 스스로 지어서 썼어. 일본이 너희 나라로 쳐들어왔을 적에 너희는 ‘너희 글’이 없었고 ‘너희 말’은 있었어. 일본은 ‘글을 모르는 사람들이 쓰는 말’을 없애려고 ‘일본말·일본 한자말’을 너희 나라에 심으려 했지. 이때 주시경은 “말을 지키려면 말을 담는 글이 있어야 한다”고 깨달았고, 너희 나라에서 ‘글을 모르는 사람이 쓰는 말’을 담아낼 글은 한문이 아닌 ‘훈민정음’이어야 하는 줄 알아보았고, ‘중국말을 담는 소리’인 ‘훈민정음’을 ‘숲사람·시골사람·흙사람·들사람(백성·민중·평민)이 하는 말’을 담는 글로 삼으려고 ‘한글’을 처음으로 세우고 밑틀을 다져서 ‘한말을 한글로 담는 길’을 마련했어. 그런데 너희는 세종 임금만 말하고 기리더구나. ‘한글’을 세워서 너희가 “생각하고 마음을 그리는 살림길을 말로 담아내도록 연 사람”은 주시경인데, 너희는 왜 주시경을 잊고 잃니? 누가 주시경을 밀어없애고 세종 임금만 우러르면서 참모습을 감추니? 2022.10.8.흙.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