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노래 . 숲노래 마음노래

텃밭



알고 보면, 너희는 밭짓기를 안 하면서 넉넉하고 느긋하게 살아갈 수 있단다. 모든 들숲바다에서 철을 따라 돋는 잎을 누리고, 꽃을 누리고, 열매를 누리면 돼. 들숲바다에서 흐르는 숨결을 가만히 그때그때 받아들이면, 너희한테 아무런 걱정도 아픔도 괴로움도 멍울도 짜증도 없어. 너희가 무엇을 걱정하고 무엇 때문에 아프거나 괴롭다면, 철 따라 새롭게 흐르는 숨결을 안 누리는 탓이야. 새가 나무를 심니? 새는 열매를 먹고서 똥을 눌 뿐인데, ‘똥을 붙잡은 씨앗’이 흙으로 깃들어서 나무가 자란단다. 게다가 새는 열매를 쪼다가 으레 떨어뜨리지. 이렇게 떨어뜨린 열매에 있는 씨앗이 또 나무로 자라. 겨울에 먹을거리가 없어 걱정이니? 해를 먹고 물을 먹으면 돼. 겨울잠을 깊이 들어도 되고. 나비가 된 애벌레도 그저 잎을 기꺼이 스스럼없이 누릴 뿐인데 그토록 토실토실하게 살다가 나비로 거듭나지. 나비로 거듭나면 꿀하고 꽃가루 조금으로도 배가 불러. 너희는 알까? 몇 그릇씩 비워야 밥먹기이지 않아. 민들레잎 하나로 배부를 수 있어. 꽃송이를 바라보며 냄새만 맡아도 배부를 만하지. 마음이 사랑은 사람은 많이 안 먹어. 마음에 사랑이 없으니 자꾸 먹고 많이 먹지. 맵고 짜고 달게 먹는 버릇은 몸을 괴롭히는 짓이지. ‘맛있게 먹기’는 안 나빠. 다만 ‘밥맛내기’에 기운을 쓰는 만큼 ‘네 꿈그림’을 잊거나 등지기 쉽단다. 아무튼 텃밭짓기를 하고 싶으면, 마음에 드는 씨앗을 듬성듬성 심고서 날마다 이 곁에서 춤추고 노래하고 이야기판을 펴렴. 2022.10.19.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살림노래 . 숲노래 마음읽기

바람결이



바람결은 날마다 바뀐단다. 느끼니? 철에 따라도 바뀌고 모든 날에 따라서도 바뀌지. 넌 어쩌면 철갈이 바람을 느낄 수 있고, 때로는 ‘하루갈이’ 바람을 느낄 수 있어. 아침·낮·저녁·밤·새벽으로 바뀌는 바람을 느낄 수도 있고. 요새는 꽤 많은 사람들이 ‘때갈이 바람’이며 ‘하루갈이 바람’을 아예 못 느끼고 ‘철갈이 바람’마저 모르더라. ‘선풍기도 아닌’ 에어컨을 틀어놓는 길에 익숙하니, ‘덥다·춥다’ 두 마디만 할 뿐, ‘어떤 바람’인가를 느끼려 하지 않아. 보렴. 바람을 잊으면 하늘을 잃고, 하늘을 잃으면 별빛을 잊으면서 어느새 숨빛을 잃는단다. 넌 오늘 어떤 길을 가니? 네가 가는 길에는 어떤 바람이 흐르니? 너는 바람을 몸으로 느끼니? 네 마음은 바람결을 헤아리는 숨빛이니? 하루아침에 봄이 오거나 여름이 되거나 가을에 이르거나 겨울로 닿지 않아. 늘 천천히 스미지. 날마다 조금씩 물들어서 새철로 나아간단다. 하루도 이 같은 길이야. 아침이 확 낮이 되거나 저녁이 되지 않아. 늘 천천히 고르게 흐른단다. 철바람은 언제나 모든 숨결이 스스로 철들도록 스스럼없이 가만히 흐르지. 이 바람을 온몸·온마음·온눈으로 마주한다면, 너는 늘 홀가분하면서 새롭게 하루를 배우고 누려서 네 빛씨앗을 다스리는 숨결로 바뀐단다. 그리고, 낮이 밤으로 가고, 밤이 낮으로 가듯, 넌 얼마든지 오르내리는(춤추는·널뛰는) 마음일 수 있어. 오르내리건 춤추건 널뛰건 늘 웃어 보렴. 2022.8.21.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마음노래

잿빛



몸을 녹이면 ‘새로 태어날 곳’으로 간단다. 누구는 몸을 녹여 흙으로 돌아가서 씨앗한테 넋이 깃들어 새롭게 풀꽃나무로 솟아나지. 누구는 몸을 녹여 흙으로 잠들어서 넋이 훨훨 날다가 새 몸뚱이한테 스며들어 새 목숨붙이로 살아나지. 누구는 몸을 녹여 고스란히 물이 되기에 샘도 내도 바다도 되다가 구름도 비도 되어 노래하지. 누구는 몸을 녹여 물빛으로 찰랑이다가 날개를 받아들이고는 온누리를 훨훨 날아오르며 눈부시게 놀지. 누구는 몸을 녹여 고요히 꿈누리로 찾아가면서 문득 깨어나 별이 되어 빛나지. 그런데 ‘몸을 녹이지 않으’려고 하면서 끝까지 ‘새로 태어날 곳’으로 안 가는 놈이 있어. 이놈은 잿가루가 되어 새로 태어날 생각을 잊은 채, 잿더미로 몸뚱이를 입히면서 마치 ‘살아가는 듯’ 꾸미더라. 잿빛은 두 가지야. 몸을 녹여 마음을 살리려는 길이 있고, 몸을 붙잡느라 마음을 잊어 그만 숨결을 잃어버리는 굴레가 있어. 너희가 뚝딱뚝딱 올려세우는 서울(도시)이 바로 ‘죽음잿빛’이야. 이 서울은 돈이 흐르고 이름이 넘치고 힘으로 겨루지. 보렴! 서울에 ‘살림’이나 ‘사랑’이나 ‘숲’이 있니? 죽은몸을 부여잡고서 넋없이 맴돌거나 떠돌거나 헤매는 ‘눈먼몸’만 흘러넘치지 않아? 이제는 시골조차 ‘서울바라기’를 하면서 살림을 버리고 사랑을 등지고 숲을 깔아뭉개더라. 너희는 별바라기·꽃바라기·비바라기·해바라기를 품으면서 ‘참나·바라기’로 가야 살아날 텐데. 2022.10.18.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마음노래

볼만하다



커다란 나무가 볼만하니? 자그만 나무가 볼만하니? 넌 나무를 ‘볼만한가 안 볼만한가’로 가를 수 있니? 누가 초라하니? 어떤 일이 보잘것없니? 어느 때 꾀죄죄하니? 누가 반갑니? 어떤 일이 즐겁니? 어느 때 신나니? 해볼 만한 일이란 없어. ‘하면서 배우는 일’만 있단다. 볼만한 모습이나 자리는 없어. ‘다 다른 숨결로 다 다르게 살아가는 모습하고 자리’가 있을 뿐이야. 지레 깎지 말고, 자꾸 추키지 마. 그대로 보고 느끼고 받아들이고 사랑하렴. 네가 그대로 보고 느끼고 받아들이고 사랑하면 다 사랑으로 바뀐단다. ‘사랑일 적’에는 ‘볼만한가 안 볼만한가’를 부드러이 녹여서 네 눈길을 틔운단다. 네가 사랑으로 달래기에 ‘할만한 일’이 아닌 ‘사랑스런 일’이 돼. 네가 사랑으로 가꾸기에 ‘쓸만한 것’이 아닌 ‘사랑스런 것’이 돼. 그러니까, 네가 짜증을 내면 ‘볼만한 무엇’은 ‘짜증스런 무엇’이 되지. 네가 골을 내면 ‘할만한 일’이 ‘골나는(성나는) 일’이 된단다. 네가 미움이란 씨앗을 심기에 무엇이든 ‘밉고’ 말아. 네가 버럭버럭 소리지르거나 틱틱거리기에, 무엇이든 바스라지거나 깨지거나 빛을 잃어. 서두르지 마. 걱정하지 마. 서두르니 다 바스라져. 걱정하니 몽땅 깨져. 구름을 보렴. 너희 삶터를 말끔히 씻어 주려고 바다에서 하늘로 올라간 물방울이 하얗게 뭉쳐서 춤추는 모습을 보렴. 네 마음이 별빛으로 구름빛으로 물들면서 반짝이도록 오로지 사랑을 그려서 담으렴. 2022.10.14.쇠.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마음노래



모든 말은 뜻이 하나가 아니야. 영어도 한자도, 너희가 쓰는 말도. 영어나 한자만 ‘한 가지 소리인 말’이 뜻이 여럿일까? 너희가 쓰는 말도 ‘한 가지 소리에 여러 뜻’인 줄 제대로 느끼거나 아니? ‘들어맞는 말’을 찾으려고 하지 마. ‘생각을 나타낼 말’을 골라서 쓰렴. ‘맞는 말’을 하려고 애쓰지 마. ‘생각을 그려서 나눌 말’을 부드럽게 상냥히 하렴. 너희가 쓰는 말을 처음 지은 사람은 마음을 소리에 담을 생각을 어떻게 했을까? 처음에는 한 곳을 가리킬 적에 하나로 쓰던 말일 텐데 누가 언제 어떻게 쓰임새를 넓히고 깊이 이끌었을까? 너희는 너희가 물려받아서 쓰는 말에 뜻·느낌·생각을 넓히거나 깊이 가꾸니? 아니면 둘레엣 쓰는 그대로 좇니? 너희는 너희 마음을 나타낼 말을 그때그때 새로 짓니? 아니면 다른 사람들이 엮어 놓은 말을 찾아보면서 짝을 맞추려고 하니? 왜 어느 낱말은 열·스물·서른·마흔·쉰 가지 뜻이나 쓰임새가 있을까? 너희는 어떻게 열·스물·서른·마흔·쉰 가지로 뜻·결·쓰임새가 다른 말을 마음껏 쓸 수 있을까? 네 마음은 네가 말로 터뜨리고 낯빛·몸짓으로 보여주기에 나눈단다. 네 마음은 스스로 고요히 사랑일 적에 가장 밝게 드러나서 굳이 말이 없어도 되지. 고요히 사랑이 아닐 적에는 찬찬히 노래하면서 사랑을 그릴 만해. ‘말’도 노래 가운데 하나란다. ‘사랑을 그리는 마음’이 없이 말을 혀에 얹으려고 하면, 딱딱하거나 차갑거나 메마르게 마련이다. 듣는 쪽에서도 느끼고 말하는 쪽에서도 느껴. 너는 네 말을 듣는 사람뿐 아니라, 너 스스로 딱딱하거나 차갑거나 메마르게 내모는 말을 하면서 즐겁니? 언제 어느 곳에서나 같아. ‘싫어하는’ 마음은 네 숨결을 스스로 ‘시시하게’ 갉는단다. 2021.12.29.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