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전쟁범죄 2022.12.24.흙.



모든 사람은 “짓는 사랑으로 이곳에서 오늘을 살려”고 태어났어. “짓는 사랑으로 이곳에서 오늘을 사는 사람”은 늘 노래하고 놀고 일하고 이야기하고 춤추면서 즐겁단다. 모든 사람이 “짓는 사랑·이곳 오늘”을 마음으로 품을 적에는 ‘높낮이(계급·질서·신분)’가 없어. 그렇기에 ‘싸움(전쟁)’이란 말이 없고 ‘어깨동무(평화)’라는 말조차 없단다. 그저 모든 삶이 “짓는 사랑”이기에 언제나 고루 어우러질 뿐이야. ‘삶(살다)’이란 모름지기 ‘어깨동무’이기에 그저 ‘살다·삶’ 한 마디이면 ‘사랑’으로 가는 ‘살림’인 ‘사람’이란다. 그런데 삶이 아닌 죽음을 떠올린 마음이 나타났어. 근심걱정을 앞세우면서 죽음이라는 마음이 퍼지면, 사람들이 ‘삶’을 잊고서 ‘죽음’을 바라보고 ‘두려움씨앗’을 문득 심고 말아서 쉽게 휩쓸리는 줄 알아챘지. ‘죽음길’을 본 마음은 ‘둘레에 죽음씨앗을 뿌리’면, 스스로 ‘높자리(권력)’에 서서 숱한 사람을 ‘다룰’ 수 있고 ‘주무를’ 수 있는 줄 느꼈어. 높자리란 “짓는 사랑”이 아니기에 “이곳 오늘”이 없고 ‘삶’조차 없으니 ‘살림·사랑’이 메말랐어. 스스로 괴롭고 외롭지. 이들 높자리는 ‘심심’하기에 ‘싸움’을 떠올렸어. 스스로 놀 줄 모르기에 ‘허수아비가 되어 근심걱정으로 두려움씨앗에 스스로 허덕이는 사람’뿐 아니라 ‘높자리 우두머리’도 ‘싸움구경(스포츠 관람)’을 심심풀이로 해. 그리고 싸움(전쟁)을 일으키면 사람들은 더더욱 ‘삶’을 등지면서 ‘싸움연장(전쟁무기)’을 만들어서 더 다투더구나. 그렇기에 싸움터(전쟁터)에는 ‘사람다움’이 아예 없어. ‘사람다운’ 빛을 죽음으로 뒤덮으면서 ‘그들’과 똑같이 눈멀기를 바랄 뿐이란다. 2022.12.24.흙.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어른스럽다 2022.12.23.쇠.



“어른같지 않은 모습”을 자꾸 보는 어린이는 “어른이 되기 싫다.”고 여길 만해. “어른답지 않은 짓”을 으레 보는 푸름이는 “어른은 다 싫다.”고 말할 만해. “어른스럽지 않은 마음”을 흔히 보는 사람은 스스로 “어른이 안 될래.” 하고 생각하기도 하지. 그런데 너희는 ‘어른’이 어떤 모습·몸짓·마음인 줄 아니? “어른같지 않고, 어른답지 않고, 어른스럽지 않은 = 어른이 아닌 = 나이만 먹은 = 늙은·낡은·고리타분한·고약한·고린·고단한·괴로운”이란다. 너희가 보는 모든 “나이만 먹었을 뿐 도무지 어른이라 하기 어려운 모습·몸짓·마음”은 ‘늙은이·낡은이’란다. 그러니 제대로 보고 느끼고 알아서 생각하기를 바라. 너희는 “어른이 되어”야지. 너희는 “어른같이 삶을 가꾸고 살림을 짓고 사랑을 나눠”야지. 너희는 “어른답게 굴고·일하고·쉬고·놀고·살아”야지. 너희는 “어른스럽게 말하고 꿈꾸고 하루를 누려”야지. 너희는 ‘어른’으로 갈 노릇이야. 아이일 적에는 실컷 아이로서 놀고 뛰고 달리면서 새길로 나아가는 꿈을 그리렴. ‘어른’은 “씨앗을 심는 어진 사람”이야. 다만 그냥 심거나 마구 심으면 ‘어른 아닌 늙은이’란다. “씨앗을 오직 사랑으로 심으면서 마음을 어질게 다스리는 사람”이기에 ‘어른’이야. 둘레에 어른스러운 사람이 안 보인다면 네가 스스로 나서서 먼저 어른으로 서면 돼. 꽃씨도 말씨도 마음씨도 숨씨도 솜씨도 늘 어질게 사랑으로 심으렴. 그런데 하루아침에 어른이 되지는 않아. 그렇다고 오래 걸리지도 않아. ‘철’을 보고 느끼고 맞아들이면서 철빛을 헤아리는 마음으로 오늘을 누리는 사랑이기에, 천천히 어른스러이 반짝이는 길을 온몸·온마음으로 연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종이책 2022.10.28.쇠.


모든 이야기는 언제나 마음에 새기기에, 너희는 이 이야기를 말로 담아서 나타낸단다. 너희가 하는 말은, 너희가 여태 짓고 누리고 엮어서 편 이야기야. 너희가 읊는 말에는, 너희 삶이 고스란히 흘러. ‘좋은말·나쁜말’이나 ‘맞는말·틀린말’이 없이 ‘너희가 처음 태어난 날부터 오늘에 이르도록 살아낸 자취’를 말로 그려낸단다. 그래서 종이책이 없어도 너희는 오직 ‘말’만으로 모두 알 수 있고, 모든 일을 할 수 있고, 모든 슬기를 가르치거나 배울 수 있어. 그런데 이 ‘말’에 흐르는 삶빛을 두려워한 나머지 싹둑 꺾거나 자르려는 무리가 있더구나. 너희가 ‘말’을 잊어서 잃도록 짓밟고 길들이려는 굴레이자 사슬로 ‘글’을 짓더군. 자, 보렴. ‘글’이나 ‘글쓰기’를 밝히거나 가르치는 무리가 무엇을 하니? 그들이 삶짓기나 삶읽기를 하니? 아니지 않아? ‘말을 그려내는 글’이라면 얼마든지 지어서 쓸 노릇이야. 그러나 ‘말을 깎거나 치우거나 자르면서 굴레를 씌울 뿐 아니라 생각을 꺾거나 막는 글’이 판치더구나. ‘일다운 일’을 하거나 ‘사랑으로 살림을 짓는 길’이라면 오직 ‘말’이 흐르고, 이 말마다 이야기가 감돌지. 너희가 쓰거나 읽는 종이책은 ‘글꾸러미’이니? ‘이야기를 담은 말을 그려낸 사랑이라는 빛꾸러미’이니? 너희 둘레에 넘치는 ‘책’은 거의 다 사슬이자 굴레로 너희 스스로 가둔단다. 그렇다면 넌 어떡하겠니? 사슬이가 굴레이니 다 치우겠니? 아니면 너희가 ‘말을 담은 이야기로 빚은 책’을 천천히 하나씩 지어서 너희 스스로 읽고서 이웃이며 아이들한테 물려주겠니? ‘말’만 듣고 ‘말’만 하렴. 사랑이란 마음으로.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숲노래 마음노래 . 물을 담다


그릇에 물을 담아 보렴. 물은 어떻게 흘러서 그릇에 담기니? 물은 “아무런 꼴을 안 세우고서 어디에서든 ‘물결’ 그대로”이지? 물은 어디에서도 흉내를 안 내. 물은 어느 무엇도 따라하지 않아. 물은 그저 흐르고, 물결치고(춤추고), 노래하고, 가만히 스며서 깃들어. 물은 늘 새롭게 깃들어서 다르게 스미지. 물은 스며서 깃드는 곳마다 그저 물빛으로 있으면서 숨결을 살려준단다. 풀에 꽃에 나무에, 사람한테 새한테 벌레한테, 물은 늘 ‘그 목숨붙이’라는 숨결이 그대로 빛나도록 가만히 스며들어서 흐르지. 그런데 물은 가만히 모든 숨결에 다 다르게 흐르기에, 저절로 노래랑 춤을 펴서, 모든 숨결이 저마다 빛나도록 북돋운단다. 너희가 마음에 담은 생각을 펴려고, 소리로 옮겨 나타내는 ‘말’이지? 이 말을 눈으로도 보면서 나누려고 그리는 ‘글’이고. 그러면 너희는 마음에 어떤 생각을 담아서 말로 옮기니? 너희가 적어서 읽는 글에는 어떤 숨빛이 흐르니? 너희는 물방울이 스며들어서 삶을 북돋우듯, 너 스스로 네 숨결을 살릴 수 있는 말을 입으로 터뜨리니? 너 스스로 네 목숨이 삶으로 일어나는 춤노래를 펼 수 있는 글을 손으로 옮기고 눈으로 보면서 오늘 하루를 가다듬니? 마음이 어지럽거나 힘들거나 아프면, 천천히 물을 그릇에 담아 봐. 물이 어떻게 흐르는가를 지켜보고서 마셔 봐. 비가 오는 하늘을 바라보고, 빗물을 맨몸으로 맞다가 손바닥으로 모아서 마셔 봐. 바닷물에 풍덩 잠겨서 놀아 봐. 콸콸 넘치는 골짝물에 발을 담그고서 춤을 춰 봐. 2022.12.12.달.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숲노래 마음노래 . 바라지 않는다면


바란다면, 바라는 길로 한 걸음씩 옮기지. 바라는 마음이 얼마나 빛나는가에 따라서 다 다르게 바람을 이룬단다. 바라기에 바람처럼 이뤄. 가벼이 빛나는 마음이라면, 가벼이 부는 바람처럼 이루지. 환하게 밝히듯 가득가득 빛나는 바람이라면, 돌개바람처럼 크고 빠르게 이뤄. 바라는 마음이 없다면, 빛나지 않는 마음이기에 ‘바래어’ 간단다. 빛바래는 마음이니 이룰 길이 없고 갈 곳을 몰라 헤매더라. 오롯이 환하게 바라는 마음이기에 환하게 바람을 일으켜서 이뤄. 미워하거나 시샘하는 마음이기에 밉거나 시샘할 기운을 일으켜서 이뤄. 바람이 안 부는 날에 나뭇잎이 조용하지. 바람이 부는 날에 나뭇잎이 춤을 춰. 넌 바라니? 넌 스스로 바람이니? 넌 스스로 빛나는 바람이니? 넌 스스로 빛바랜 채 낡거나 늙어서 부스러지려는 몸이니? 네 마음을 어느 곳에 기울이니? 이루려는 길을 환하게 그려서 마음에 담으렴. 누가 옆에서 떠들거나 쑤석거린다고 핑계를 대지 마. 네가 네 꿈그림에 마음을 기울여야 너 스스로 꿈을 그리고 깨달아서 이루지. 너 스스로 꿈그림보다 둘레 흐름이나 눈치에 마음을 쓰기에 네 꿈그림이 빛바래면서 사라진단다. ‘바래지’ 않기를 바라. 바라고, 바람으로 불고, 바람을 일으키고, 바람으로 노래하고, 바라고 바라고 가없이 바라는 넉넉하면서 즐거운 빗방울이나 물방울이나 이슬방울이나 바닷방울처럼 스스로 맑게 빛나기를 바라. 네 몸이 왜 ‘물로 이룬 덩이’인지 바라보렴. 너희가 먹는 밥이 왜 ‘물로 이룬 덩이’인지 생각해 보렴. 2022.12.4.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