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파랗게 2023.1.3.불.



배고픔도 배부름도 없어. 배고프거나 배부르다고 여기는 마음이 있지. 가난도 가멸도 없어. 가난하거나 가멸차다고 여기는 마음이 있어. 크거나 높을 수 있을까? 작거나 낮을 수 있을까? 생각해 보렴. 겉으로 느끼거나 보는 길이 아닌, 숨결을 느끼고 보는 빛으로 품어 보렴. 너희는 ‘있지 않은 것’이 있다고 여기기에 그만 배고프거나 배부르게 느껴서 몸을 맞추려 한단다. 무언가 느끼거나 볼 적에는 무언가 다르게 느끼거나 보면서 새롭게 배우려는 길일 텐데, ‘느끼고 보아서 배웠’으면 그만 느끼고 볼 수 있어. “아, 배고픔은 이렇구나? 배부름은 이렇구나? 더위는 이렇구나? 추위는 이렇구나?” 하고 느끼고 보고 배웠으니, “자, 그러면 이제는 내 꿈그림으로 가자.” 하고 생각을 심으면 돼. 자꾸 더위·추위를 쳐다보려 하기에, 네 마음에 더위·추위를 심지. 힘이 든다고 여기니 네 마음에도 몸에도 ‘힘듦’을 심느라 스스로 못 하고 만단다. 힘이 들 적에는 “그래, 이럴 젝에 이렇게 힘이 드네.” 하고 느끼고서 “아무튼 나는 이 길을 가겠어.”나 “뭐, 그렇기는 해도 나는 이 일을 해야지.” 하는 생각을 심으니, 네가 마음에 심은 생각인 ‘한다’에 따라서 몸이 움직인단다. 저 하늘은 무슨 빛깔이야? 하늘을 이루는 바람은 무슨 빛깔이야? 하늘빛을 담는 바다는 어떤 빛깔이 넘실거리는 숨결이야? 하늘처럼·바람처럼·바다처럼 파랗게 적셔 봐. 하늘로·바람으로·바다로 가듯 파랗게 담아 봐. 마음에 몸에 온통 파랗게 숨빛을 입혀 봐.

.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들어주다 2023.1.6.쇠.



말이란, 마음에서 나오는 소리요, 마음을 담거나 옮긴 소리야. 네가 누구한테 말을 한다면, 넌 누구한테 네 마음을 들려준다는 뜻이지. 네가 누구한테서 말을 듣는다면, 넌 누구 마음을 듣는다는 뜻이야. “말을 나눈다 = 마음을 나눈다”이지. 다만, ‘속마음·속말 나누기’를 하려는 사람이 있고, ‘겉마음·겉말 나누기’를 하려는 사람이 있어. 속에서 흐르는 마음이라든지 속으로 가꾸는 마음이라면, 넉넉하고 따뜻할 테지. 겉으로 티내는 마음이라든지 겉으로 꾸미는 마음이라면, 매캐하고 초라할 테고. 너는 ‘속마음·속말’을 들으려는 귀나 마음이니? 아니면 ‘겉마음·겉말’을 듣고서 휘둘리거나 휩쓸리는 귀나 마음이니? 네가 하거나 듣는 말이 ‘속마음·속말’인지, 아니면 ‘겉마음·겉말’인지를 늘 살피기를 바라. 너는 네가 마음을 기울이거나 쓰는 결에 따라서 네 하루를 살아간단다. 네가 슬기롭게 마음을 기울이면, 네 말은 늘 슬기롭고, 네 말을 듣는 둘레·이웃·동무 마음에도 슬기로운 마음씨를 심지. 네가 어리석거나 어설프게 마음을 쓰면, 네 말은 늘 어리석거나 어설프니, 네 말을 듣는 누구나 마음에도 어리석거나 어설픈 마음씨를 흩뿌리지. 마음을 슬기롭게 담아서 곱게 들려주려 할 적에는, 너부터 바로 느끼고 알아차려서 가만히 들어주기를 바라. 맑고 밝게 흐르는 마음을 네가 기꺼이 이어서 새말·새마음으로 북돋울 만해. 잔꾀나 꿍꿍이나 검은셈이 넘실거리는 말·마음이라면 보드라이 달래어 잔꾀·꿍꿍이·검은셈이 사르르 녹아버리도록 이끌어 봐. 말·마음은 “잘 들어야” 하지 않아. “슬기롭게 들을” 노릇이고, “사랑으로 들을” 일이야. 슬기나 사랑이 아니라면 ‘들어주지’ 않기를 바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전쟁범죄 2022.12.24.흙.



모든 사람은 “짓는 사랑으로 이곳에서 오늘을 살려”고 태어났어. “짓는 사랑으로 이곳에서 오늘을 사는 사람”은 늘 노래하고 놀고 일하고 이야기하고 춤추면서 즐겁단다. 모든 사람이 “짓는 사랑·이곳 오늘”을 마음으로 품을 적에는 ‘높낮이(계급·질서·신분)’가 없어. 그렇기에 ‘싸움(전쟁)’이란 말이 없고 ‘어깨동무(평화)’라는 말조차 없단다. 그저 모든 삶이 “짓는 사랑”이기에 언제나 고루 어우러질 뿐이야. ‘삶(살다)’이란 모름지기 ‘어깨동무’이기에 그저 ‘살다·삶’ 한 마디이면 ‘사랑’으로 가는 ‘살림’인 ‘사람’이란다. 그런데 삶이 아닌 죽음을 떠올린 마음이 나타났어. 근심걱정을 앞세우면서 죽음이라는 마음이 퍼지면, 사람들이 ‘삶’을 잊고서 ‘죽음’을 바라보고 ‘두려움씨앗’을 문득 심고 말아서 쉽게 휩쓸리는 줄 알아챘지. ‘죽음길’을 본 마음은 ‘둘레에 죽음씨앗을 뿌리’면, 스스로 ‘높자리(권력)’에 서서 숱한 사람을 ‘다룰’ 수 있고 ‘주무를’ 수 있는 줄 느꼈어. 높자리란 “짓는 사랑”이 아니기에 “이곳 오늘”이 없고 ‘삶’조차 없으니 ‘살림·사랑’이 메말랐어. 스스로 괴롭고 외롭지. 이들 높자리는 ‘심심’하기에 ‘싸움’을 떠올렸어. 스스로 놀 줄 모르기에 ‘허수아비가 되어 근심걱정으로 두려움씨앗에 스스로 허덕이는 사람’뿐 아니라 ‘높자리 우두머리’도 ‘싸움구경(스포츠 관람)’을 심심풀이로 해. 그리고 싸움(전쟁)을 일으키면 사람들은 더더욱 ‘삶’을 등지면서 ‘싸움연장(전쟁무기)’을 만들어서 더 다투더구나. 그렇기에 싸움터(전쟁터)에는 ‘사람다움’이 아예 없어. ‘사람다운’ 빛을 죽음으로 뒤덮으면서 ‘그들’과 똑같이 눈멀기를 바랄 뿐이란다. 2022.12.24.흙.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어른스럽다 2022.12.23.쇠.



“어른같지 않은 모습”을 자꾸 보는 어린이는 “어른이 되기 싫다.”고 여길 만해. “어른답지 않은 짓”을 으레 보는 푸름이는 “어른은 다 싫다.”고 말할 만해. “어른스럽지 않은 마음”을 흔히 보는 사람은 스스로 “어른이 안 될래.” 하고 생각하기도 하지. 그런데 너희는 ‘어른’이 어떤 모습·몸짓·마음인 줄 아니? “어른같지 않고, 어른답지 않고, 어른스럽지 않은 = 어른이 아닌 = 나이만 먹은 = 늙은·낡은·고리타분한·고약한·고린·고단한·괴로운”이란다. 너희가 보는 모든 “나이만 먹었을 뿐 도무지 어른이라 하기 어려운 모습·몸짓·마음”은 ‘늙은이·낡은이’란다. 그러니 제대로 보고 느끼고 알아서 생각하기를 바라. 너희는 “어른이 되어”야지. 너희는 “어른같이 삶을 가꾸고 살림을 짓고 사랑을 나눠”야지. 너희는 “어른답게 굴고·일하고·쉬고·놀고·살아”야지. 너희는 “어른스럽게 말하고 꿈꾸고 하루를 누려”야지. 너희는 ‘어른’으로 갈 노릇이야. 아이일 적에는 실컷 아이로서 놀고 뛰고 달리면서 새길로 나아가는 꿈을 그리렴. ‘어른’은 “씨앗을 심는 어진 사람”이야. 다만 그냥 심거나 마구 심으면 ‘어른 아닌 늙은이’란다. “씨앗을 오직 사랑으로 심으면서 마음을 어질게 다스리는 사람”이기에 ‘어른’이야. 둘레에 어른스러운 사람이 안 보인다면 네가 스스로 나서서 먼저 어른으로 서면 돼. 꽃씨도 말씨도 마음씨도 숨씨도 솜씨도 늘 어질게 사랑으로 심으렴. 그런데 하루아침에 어른이 되지는 않아. 그렇다고 오래 걸리지도 않아. ‘철’을 보고 느끼고 맞아들이면서 철빛을 헤아리는 마음으로 오늘을 누리는 사랑이기에, 천천히 어른스러이 반짝이는 길을 온몸·온마음으로 연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종이책 2022.10.28.쇠.


모든 이야기는 언제나 마음에 새기기에, 너희는 이 이야기를 말로 담아서 나타낸단다. 너희가 하는 말은, 너희가 여태 짓고 누리고 엮어서 편 이야기야. 너희가 읊는 말에는, 너희 삶이 고스란히 흘러. ‘좋은말·나쁜말’이나 ‘맞는말·틀린말’이 없이 ‘너희가 처음 태어난 날부터 오늘에 이르도록 살아낸 자취’를 말로 그려낸단다. 그래서 종이책이 없어도 너희는 오직 ‘말’만으로 모두 알 수 있고, 모든 일을 할 수 있고, 모든 슬기를 가르치거나 배울 수 있어. 그런데 이 ‘말’에 흐르는 삶빛을 두려워한 나머지 싹둑 꺾거나 자르려는 무리가 있더구나. 너희가 ‘말’을 잊어서 잃도록 짓밟고 길들이려는 굴레이자 사슬로 ‘글’을 짓더군. 자, 보렴. ‘글’이나 ‘글쓰기’를 밝히거나 가르치는 무리가 무엇을 하니? 그들이 삶짓기나 삶읽기를 하니? 아니지 않아? ‘말을 그려내는 글’이라면 얼마든지 지어서 쓸 노릇이야. 그러나 ‘말을 깎거나 치우거나 자르면서 굴레를 씌울 뿐 아니라 생각을 꺾거나 막는 글’이 판치더구나. ‘일다운 일’을 하거나 ‘사랑으로 살림을 짓는 길’이라면 오직 ‘말’이 흐르고, 이 말마다 이야기가 감돌지. 너희가 쓰거나 읽는 종이책은 ‘글꾸러미’이니? ‘이야기를 담은 말을 그려낸 사랑이라는 빛꾸러미’이니? 너희 둘레에 넘치는 ‘책’은 거의 다 사슬이자 굴레로 너희 스스로 가둔단다. 그렇다면 넌 어떡하겠니? 사슬이가 굴레이니 다 치우겠니? 아니면 너희가 ‘말을 담은 이야기로 빚은 책’을 천천히 하나씩 지어서 너희 스스로 읽고서 이웃이며 아이들한테 물려주겠니? ‘말’만 듣고 ‘말’만 하렴. 사랑이란 마음으로.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