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말 좀 생각합시다 10


 햇빛 햇살 햇볕


  해에서 흐르는 기운을 여러모로 가릅니다. ‘햇빛’이 있고, ‘햇살’이 있으며, ‘햇볕’이 있어요. 세 낱말은 쓰임새가 다르고 뜻이 달라요. 그러니, 이렇게 세 갈래로 꼴을 다르게 해서 쓰지요.


  햇빛은 말꼴대로 ‘빛’을 가리킵니다. 빛이란 무엇일까요? 빛깔이나 무늬를 알아보도록 하는 밝은 기운입니다. 햇살은 말꼴대로 ‘살’을 가리킵니다. 살이란 무엇일까요? 빛이 퍼지는 줄기를 살이라고 합니다. 햇볕은 말꼴대로 ‘볕’을 가리킵니다. 볕이란 무엇일까요? 지구라는 별에서 사는 모든 목숨이 따뜻하도록 하는 기운입니다.


  그러니, 햇볕을 놓고 ‘밝다’라든지 ‘눈부시다’라는 낱말로 나타낼 수 없습니다. 햇살이나 햇빛을 놓고 ‘따뜻하다’라든지 ‘뜨겁다’라든지 ‘포근하다’라는 낱말로 나타낼 수 없어요.


  말을 쓸 적에는 생각을 해야 합니다. 어느 말 한 마디가 어떻게 태어났는가 하는 대목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왜 이렇게 말을 가르거나 나누어서 먼먼 옛날부터 쓰는가 하는 대목을 찬찬히 헤아려야 합니다.


  어느 때에 따갑거나 눈부시다고 느낄까요? 해가 곧게 내쏘는 기운을 느낄 적에 따갑거나 눈부시겠지요. 바로 햇살이 따갑거나 눈부십니다. 어느 때에 밝거나 맑거나 어둡거나 흐릴까요? 해가 비추는 빛에 따라서 밝기가 달라질 테지요. 어느 때에 따뜻하거나 춥거나 포근하거나 아늑하거나 서늘할까요? 햇볕이 어느 만큼 내리쬐느냐에 따라서 느낌이 달라질 테지요.


  해바라기를 가만히 하면서 해하고 얽힌 낱말을 생각하면 됩니다. 해님을 가만히 마주하고, 해님을 기쁘게 사랑하며, 해님을 넉넉히 품에 안으려는 마음으로 ‘해맑’고 ‘하얀’ 말마디를 생각하면 됩니다. 4348.10.11.해.ㅅㄴㄹ



따스한 햇살 한 줌

→ 따스한 햇볕 한 줌

《이채훈-클래식 400년의 산책》(호미,2015) 154쪽


햇살이 뜨거운 초여름

→ 햇볕이 뜨거운 첫여름

《유홍준-나의 문화유산답사기 8》(창비,2015) 350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 좀 생각합시다 9


 가정식백반


  ‘가정식 백반’이라는 한국말은 없습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이런 알쏭달쏭한 말이 널리 쓰입니다. 게다가 이 말이 아주 알맞거나 좋은 말이라고 여기는 사람도 부쩍 늘어납니다. 먼저 ‘가정식’이라는 말은 한국말사전에 없는데, ‘가정(家庭) + 식(式)’이기 때문이고, 중국 한자말 짜임새입니다. ‘백반(白飯)’은 “흰밥”을 뜻하는 한자말이며, 중국에서 들어온 낱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부터 한겨레는 ‘흰밥’을 먹는 일이 매우 드뭅니다. 흰밥은 궁중이나 부잣집에서 먹었고, 손수 흙을 가꾸어 나락을 일구던 시골사람은 ‘누런밥’을 먹었습니다. 시골사람은 쌀을 빚을 때가 아니면 겨를 함부로 벗기지 않습니다. 갓 거둔 햅쌀이라면 겨가 있는 채로 밥을 지어도 맛있습니다. 떡을 찌거나 쌀을 빚을 적에는 겉꺼풀뿐 아니라 속꺼풀도 많이 벗겨서 하얗게 되어야 다루기에 수월합니다. 이와 달리 밥을 먹을 적에는 겨만 살짝 벗길 적에 훨씬 고소하면서 맛이 나을 뿐 아니라 몸에도 도움이 되지요.


  떡을 찌거나 술을 빚는 나락은 ‘흰쌀’입니다. 밥을 끓이는 나락은 ‘누런쌀’입니다. 이때에도 ‘백미(白米)’나 ‘현미(玄米)’가 아닌 ‘흰쌀’이랑 ‘누런쌀’이에요. 그런데 ‘백미·현미’라든지 ‘백반’ 같은 낱말은 조선 양반 사회에서 일제강점기를 거치는 동안 지식인이나 관청에서 두루 썼지요. 그무렵에는 정치나 행정이나 문화나 사회 모두 ‘한자말만’ 썼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흐름은 오늘날까지 그치지 않아서 ‘밥집’이 아닌 ‘백반집’ 같은 이름으로도 남고, 요즈음에는 ‘집밥’이 아닌 ‘가정식백반’이라는 이름으로까지 퍼집니다.


  집에서 짓는 밥은 ‘집밥’입니다. 밖에서 사먹는 밥은 ‘바깥밥’입니다. 가게에서 지어서 파는 밥은 ‘가게밥’입니다. 그런데 이런 밥을 놓고 ‘집밥·바깥밥·가게밥’ 같은 한국말을 제대로 쓸 줄 아는 사람은 드물고, ‘가정식백반·외식·식당밥’ 같은 말만 자꾸 퍼집니다. 4348.10.4.해.ㅅㄴㄹ



눈앞에 아무도 없다고 생각하라는 아, 이런 가정식백반 같은 충고들

→ 눈앞에 아무도 없다고 생각하라는 아, 이런 집밥 같은 도움말들

→ 눈앞에 아무도 없다고 생각하라는 아, 이런 집밥 같은 살가운 말들

→ 눈앞에 아무도 없다고 생각하라는 아, 이런 집밥 같은 포근한 말들

《이현승-생활이라는 생각》(창비,2015) 40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 좀 생각합시다 8

 

 한자말을 쓰지 말자?

 

  나는 한자말을 안 씁니다. 나는 언제나 한국말을 씁니다. 한국말로 녹아든 ‘한자로 지은 낱말’이나 ‘일본에서 들어온 낱말’이나 ‘영어에서 온 낱말’이라면, 모두 똑같이 한국말이기 때문에, 이러한 한국말은 언제 어디에서나 즐겁게 씁니다. 다만, ‘한자로 지은 티’가 풀풀 나는 한자말은 굳이 안 씁니다. 왜냐하면, 나로서는 내 온 사랑을 듬뿍 담아서 즐겁게 쓰면서 기쁘게 삶을 노래하도록 생각을 북돋우는 한국말을 알기 때문입니다.


  한자말을 쓰든 안 쓰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영어를 쓰든 안 쓰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어떤 낱말을 골라서 쓰든, 우리는 서로 마음과 마음으로 만날 수 있으면 돼요. 우리는 서로 마음이랑 마음으로 아끼고 보듬으며 어깨동무할 수 있으면 돼요.


  눈을 감고 바라보셔요. 무엇이 보일까요? 눈을 감은 눈으로는 무엇을 볼 수 있을까요? 두 눈을 감고 서로 바라본다면, 네 얼굴이나 키나 몸짓은 하나도 알 수 없을 뿐 아니라, 처음부터 아예 생각조차 하지 않습니다. 두 눈을 감고 서로 마주한다면, 네가 아무리 부자이거나 가난뱅이라 하더라도 대수롭지 않을 뿐 아니라, 이 대목도 처음부터 아에 생각하지 않습니다.


  말을 나눌 적에도 언제나 겉모습이 아닌 마음을 읽을 수 있어야 합니다. ‘한자말을 덕지덕지 넣는 말투’인가 ‘토박이말이라고 하는 말로 꾸민 말투’인가를 살필 일은 없습니다. 어떤 낱말을 골라서 쓰든 낱말 하나는 그 사람 삶이고 몸짓입니다. 그 사람 스스로 삶하고 몸짓을 바꾸거나 고치지 않고서야 그 사람 말은 달라지지 않습니다.


  한자말을 쓰지 않는 일을 하는 일은 부질없습니다. 우리는 서로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말을 찾아서 즐겁고 기쁘게 이야기를 나누면 됩니다. 아이들하고 아름답게 나눌 말을 즐겁게 헤아려 보셔요. 시골 할매랑 할배하고 사랑스레 주고받을 말을 기쁘게 헤아려 보셔요. 우리 이웃하고 나눌 말을 가만히 살펴요. 내 마음이 네 마음에 닿고, 네 마음이 내 마음에 닿을, 마음꽃을 피울 말을 생각해서 써요. 그러면 됩니다. 4348.10.1.나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 좀 생각합시다 7


 빵 만들기


  밥은 ‘짓’습니다. 또는 밥은 ‘합’니다. 그래서 ‘밥짓기·밥하기’ 같은 말을 씁니다. 밥은 ‘만들’지 않습니다. 옷이나 집도 ‘짓는다’고 합니다. 옷이나 집은 ‘만들’지 않아요. 그런데 요즈음 “주먹밥을 만든다”라든지 “짜장면을 만든다”라든지 “쌀로 만드는 요리”라든지 “맛있는 밥을 만들자” 같은 엉뚱한 말이 자꾸 퍼집니다.


  주먹밥을 할 적에는 “주먹밥을 뭉친다”처럼 써야 올바릅니다. 이미 지은 밥을 뭉쳐서 주먹밥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짜장면은 어떻게 말해야 할까요? 짜장면은 ‘볶는다’나 ‘끓인다’고 말합니다. 또는 “짜장면을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쌀로 하는 요리”나 “쌀로 짓는 요리”라 해야 올바르고, “맛있는 밥을 하자”나 “맛있는 밥을 짓자”라 해야 올발라요.


  서양에서는 예부터 ‘빵’을 먹습니다. 한겨레는 빵을 먹은 지 얼마 안 됩니다. 빵을 놓고는 어떻게 말해야 할까요? 빵은 밥과 달리 짓거나 한다고 하지 않습니다. 빵은 으레 “빵 만들기”나 “빵 만드는 법”처럼 말하기 일쑤입니다. 그러면, 생각해 볼 노릇입니다. 빵을 만들 수 있을까요?


  조각가나 예술가가 있어서 돌이나 나무나 시멘트나 쇠붙이 따위로 뚝딱뚝딱 ‘만든다’면 “빵 모습인 조각 작품을 만든다”고 할 만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입에 넣어 먹을 빵이라면, “빵을 굽다(빵굽기)”처럼 말해야 합니다. 빵은 굽지요. 만들지 않고 ‘굽다’라는 낱말로 나타내야지요. 과자도 빵처럼 ‘굽는다’고 해야 합니다. 공장에서 기계로 척척 찍는다면 이때에는 ‘만들다’를 쓸 테지만, 사람이 손으로 빚어서 먹는 빵을 가리킬 적에는 아무 낱말이나 쓰지 않아요. 반죽을 주물러서 예쁜 모습이 되도록 한다면 ‘빚다’라는 낱말을 써 볼 수 있습니다. 4348.9.24.나무.ㅅㄴㄹ



제빵사가 빵을 만들기 위해

→ 제빵사가 빵을 구우려고

《장마르크 레비르블롱/문박엘리 옮김-프랑스 아이의 과학 공부》(휴머니스트,2015) 95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금행복하자 2015-09-24 09:07   좋아요 0 | URL
그렇지요~ 빵은 굽습니다~ 요즘 동사들이 너무 무작위로 사용되는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요런 현상도 영어식 표현이 아닌가 조심스레 생각해봅니다.
영어로 짓는다를 어떻게 쓸까요. 딱히 요거다 하는 단어가 없어요~~

숲노래 2015-09-24 09:41   좋아요 0 | URL
한국말도 영어도 일본말도
모두 성격이 달라요.
그래서 영어나 일본말을 한국말에 1:1로 맞출 수 없듯이
한국말도 영어나 일본말로 1:1로 맞출 수 없어요.

낱말 하나로는 맞출 수 없고
문장으로 어떻게 쓰느냐를 놓고서
번역을 해야 할 테지요.
 

말 좀 생각합시다 6


 며느리배꼽·며느리밑씻개


  일제강점기 무렵부터 잘못 옮긴 이름이 퍼지는 바람에 아직 제대로 바로잡히지 못한 풀이름으로 ‘며느리배꼽’하고 ‘며느리밑씻개’가 있습니다. 나라와 겨레마다 숱한 이야기가 있기에 일본에서는 ‘의붓자식의 밑씻개(ママコノシリヌグイ)’ 같은 이름을 쓸는지 모르나, 한국에서는 이를 굳이 ‘며느리밑씻개’로 쓸 까닭이 없고, 이 풀과 비슷하면서 다른 풀을 놓고 ‘며느리배꼽’으로 쓸 일이 없습니다. 처음부터 이 나라에 없던 일본 풀이름인 만큼 억지스레 ‘며느리가 밑을 씻는 이야기’라든지 ‘며느리 배꼽하고 얽힌 이야기’를 지어야 하지도 않습니다.


  한겨레는 한겨레대로 오랜 나날 이 땅에서 흙을 일구고 살면서 수많은 풀에 다 다른 이름을 붙였습니다. 일본 식물학자가 붙인 풀이름을 따서 ‘며느리배꼽’처럼 쓸 까닭이 없이 ‘사광이풀’이나 ‘참가시덩굴여뀌’ 같은 이름을 고이 물려받아서 쓰면 됩니다. ‘며느리밑씻개’ 같은 이름을 우악스레 쓸 일이 없이 ‘사광이아재비’나 ‘가시덩굴여뀌’ 같은 이름을 살뜰히 이어받아서 쓰면 돼요.


  어른이 보는 식물도감이든 아이가 보는 그림책이나 동화책이나 동시집이든, 제 이름을 제대로 적어 넣을 수 있어야지 싶습니다. 아이들이 읽을 글을 쓰는 어른은 생각을 슬기롭게 키우고 살찌우도록 말밑과 말결을 잘 살펴야 합니다. 4348.9.18.쇠.ㅅㄴㄹ



말도 풀이라고 생각할래요 / 며느리배꼽이나 노루귀 같은 예쁜 말만 키워 / 입 밖으로 내보낼래요

→ 말도 풀이라고 생각할래요 / 사광이풀이나 노루귀 같은 예쁜 말만 키워 / 입 밖으로 내보낼래요

→ 말도 풀이라고 생각할래요 / 참가시덩굴여뀌나 노루귀 같은 예쁜 말만 키워 / 입 밖으로 내보낼래요

《김륭-프라이팬을 타고 가는 도둑고양이》(문학동네,2009) 42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