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가싯길 : 왜 어렵고 힘든 길을 가느냐고 묻는 분이 많다. 그러나 어렵거나 힘든 길을 굳이 골라서 가지 않는다. 가려는 길이니 그곳으로 갈 뿐이고, 가싯길이건 자갈길이건 헤치면 된다. 한참 돌아야 하니까 안 갈 까닭이 없다. 고개를 오르고 바다를 갈라야 하니 미룰 까닭이 없다. 이틀을 걸어야 하기에 안 가지 않는다. 열 해쯤 뚜벅뚜벅 걸어야 하기에 안 갈 일이 없다. 스스로 모든 하루를 새롭게 배우는구나 하고 여기니까 걸어가는 길이다. 배우지 않는다면 어느 지름길로도 안 간다. 난 빨리 갈 마음이 없다. 난 앞서갈 마음이나 뒤돌아갈 마음도 없다. 그저 배움길을 살림길로 삼아서 새길을 낸다는 마음으로 숲길을 거닐면서 사랑길을 찾는 마음길을 벼리고 말길을 가다듬고 글길을 여미면서 사람길을 누릴 뿐. 1999.2.8.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로봇 인권선언 : 누구나 몫을 누리기에 목숨이다. 흙하고 모래한테도, 빗물하고 바닷물하고 이슬한테도, 개미하고 벌하고 지렁이한테도 몫이 있다. 사람들이 서로 빼앗거나 다투거나 겨루거나 따돌리거나 괴롭히는 얼거리를 들여다보노라면, 이웃몫을 안 보는 얕은 마음이 도사린다. 요즈막에 ‘짐승몫(동물권)’을 말하는 분이 꽤 있다. 고기밥은 꺼리면서 풀밥을 먹는다는 분이 늘어난다. 그러면 ‘푸나무몫(식물권)’을 헤아릴 수 있을까? ‘물고기’가 아닌 ‘헤엄이’로 여길 줄 안다면, 풀이라고 해서 함부로 밥으로만 삼을 수 없는 노릇이다. “어떻게 풀한테까지 몫을 챙겨 줄 수 있느냐?”고 되묻는다면, 짐승몫을 어떻게 왜 따지는지 스스로 돌아볼 일이다. 고깃살 한 젓가락하고 풀잎 하나도 똑같은 숨결이다. 고기밥을 누리든 풀밥을 누리든, 우리한테 밥이 되어 준 모든 숨결한테 고개숙이고 고마워할 줄 알아야 사람이리라 본다. 예부터 숲에서 나무를 베어 집을 지을 적에 그냥 나무베기를 하지 않았다. 베려고 하는 나무한테 한참 절을 한다. 나무한테 오래오래 말을 걸었다. “그동안 이 숲에서 자라 주어 고마워. 네 몸으로 집을 지을게. 네 씨앗이 이곳에서 새롭게 싹터서 새나무로 자라도록 힘쓸게.” 하고 속삭이고 다시 속삭여서 나무가 받아들이고 난 뒤에라야 나무를 베었다. 풀밥을 먹을 적이든 고기밥을 먹을 적이든, 뭇숨결한테 고개숙이는 고즈넉한 마음부터 다스릴 일이다. 이렇게 마음을 다스리는 하루라면, ‘돌사람몫(로봇 인권)’을 헤아릴 수 있겠지. 테즈카 오사무 님은 《우주소년 아톰》이라는 그림꽃을 1950년대부터 그렸는데, 이 그림꽃에 ‘로봇 인권선언’을 담았다. 우리는 1950년이나 1960년에 ‘로봇 인권선언’은커녕 ‘나무 인권선언’은커녕 ‘헤엄이 인권선언’은커녕 ‘사람 인권선언’조차 밝히지 못 했다. 2020년을 넘었으나 아직 ‘사람 인권선언’조차 제대로 못 선다. ‘어린이몫’도 ‘어른몫’도, 무엇보다 ‘사람몫’마저 아직 까마득하다. ‘시골몫’이나 ‘숲몫’이나 ‘바다몫’을 헤아리는 이웃은 몇이나 될까? 내 목아지가 대수롭듯, 네 목아지가 대수롭다. 사람 목숨마다 값이 있듯, 푸나무와 숲짐승과 헤엄이와 모든 숨결한테도 값이 있다. 2021.12.20.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문해력 : 우리가 얼마나 우리말을 미워하는지 쉽게 찾아볼 만하다. 글을 ‘글’이라 않고, 말을 ‘말’이라 않는 모습으로도 알 만하다. 사람을 ‘사람’이라 하는가? 삶을 ‘삶’이라 하는가? 일을 ‘일’이라 하는가? 배움을 ‘배움’이라 하는가? 껍데기를 씌울 적에는 거짓말을 하거나 꾸미거나 감추거나 가리거나 속인다는 뜻이다. 생각을 ‘생각’이라 안 하니, 우리 스스로 새롭게 마음을 빛내는 씨앗을 심는 길을 잊고 잃는다. 사랑을 ‘사랑’이라 안 하니, ‘애정행각’이나 ‘연애’는 할는지 모르나, 언제나 다투거나 싸우다가 갈라지고 밉말(혐오표현)을 끔찍하게 쏟아낸다. 일본 한자말 ‘문해력’이란, “글씨 뜻”을 넘어서 “참뜻·속뜻”을 읽자고 하는 낱말이겠지. “사랑·살림·숲”을 읽는 눈·눈길·눈빛·눈망울을 살리자는 뜻일 테고. 그러면 일본 한자말 ‘문해력’이 아닌, 우리말 ‘글눈’이나 ‘글빛’이나 ‘글읽눈·글읽빛’처럼 새롭게 낱말을 여밀 수 있어야지 싶다. 어른부터 스스로 새말을 엮지 않는다면, 어린이가 무엇을 배울까? 새말이 없는 곳에서는, 그저 일본말이나 영어를 툭툭 베끼거나 훔치거나 따라하는 시늉에 길들 뿐이다. 글눈을 틔우려면 길눈을 밝힐 일이다. 길눈을 밝히려면 마음눈을 열 노릇이다. 마음눈을 열려면 사랑눈을 깨울 일이다. 사랑눈을 깨우려면 하루눈을 스스로 그릴 노릇이다. 2021.12.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버스에서 : 서울·큰고장이건 시골이건, 버스를 타면 다들 라디오나 노래를 틀어놓는데, 어린이 눈높이를 헤아리는 버스일꾼을 여태 못 보았다. 어머니 손을 꼭 잡고서 버스를 타던 1977년 두어 살 무렵에도, 혼자서 처음 버스를 타던 1982년에도, 푸른꽃날을 지나가던 1992년에도, 인천을 떠나 서울에서 살던 1995년에도, 싸움터(군대)에 들어가서 타던 1995∼97년 강원도 양구 시골버스에서도, 이오덕 어른 글을 갈무리하며 살던 충북 충주·음성에서 타던 버스에서도, 살림을 시골로 옮겨 전남 고흥에서 살아가는 2011년부터 타는 고흥 시골버스에서도, 이웃 순천이나 여수 시내버스에서도, 다들 정치 수다 라디오나 뽕짝이나 대중가요로 시끄럽다. 어린이노래를 튼 버스일꾼은 아직 못 보았다. 곰곰이 보면 교육방송조차 어린이노래를 잘 안 틀고, 어린이가 들을 글(동요 및 동시)을 읽어 주지 않는다. 빛(전파)을 다 어디에다가 버리는 노릇일까? 어린이가 삶눈을 북돋우고, 푸름이가 철눈을 익히도록 이끄는, 어른이 어른스럽게 생각을 살찌우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라디오도 노래도 아예 없다고 여길 만한 버스이다. 때리고 맞고 아프고 죽고 다치고 우는 사람들이 수두룩하게 넘치는 연속극·영화이다. 스스로 보금자리를 사랑으로 가꾸고 돌보는 이야기를 다루는 연속극·영화는 있기나 할까? 〈효자동 이발사〉나 〈집으로〉 같은 이야기는 가물에 콩 나듯 어쩌다가 나오다가 잊힌다. 그런데 이런 이야기가 늘 흐르고, 늘 퍼지고, 늘 태어나야 이 나라가 아름답지 않을까? 미워하고 싫어하고 꺼리고 등돌리고 죽이고 죽는 줄거리로 짜는 글과 그림으로 아이들한테 무엇을 물려줄까? 〈피아니스트의 전설〉이나 〈스윙 걸즈〉나 〈말괄량이 삐삐〉를 찍을 만한 마음이 깨어날 때에 비로소 어깨동무를 하겠지. 여느길(대중교통)을 타는 사람들이 웃음꽃과 눈물꽃으로 가슴을 적실 만한 이야기가 흐를 수 있어야, 이 나라에 꿈이 있다고 하리라. 2023.11.30.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을지재단 : 새뜸(언론) 하나를 거머쥐려고 했다는 ‘을지재단’이 도마에 오르는 듯싶은데, ‘뭐 이 따위 나라가 다 있느냐?’고 성낼 까닭은 터럭만큼도 없다. 그들 을지재단이 새뜸 하나를 집어삼키려고 나서지 않았다면, 그런 무리가 새뜸을 움켜쥘 속셈을 품도록 허술한 틀이 있지 않았다면, 그리고 오늘날처럼 누리판(인터넷세상)이 확 펴지 않았다면, 우리 스스로 거의 하나도 몰랐을 일이 아닌가? 더구나 그런 무리가 앞으로 두고두고 검은짓을 일삼지 않았을까? 이런 일이 불거질 때 잘 들여다볼 일이다. 검은짓을 일삼은 무리한테도 이바지할 수 있다. 제발 바보스런 짓을 스스로 멈출 수 있는 고빗사위로 삼을 만하다. 뭘 그렇게 허거프게 집어먹으려고 하는가? 나무 몇 그루 심을 마당을 거느리는 조그마한 집 한 채를 누리면 될 일이 아닌가? 지나치게 벌어들인 돈은 둘레에 있는 뜻있고 가난한 사람들한테 나누어 주면 아무 걱정도 근심도 말썽도 잘못도 없다. 움켜쥐려고 하니 말이 많고 말썽까지 일으킨다. 힘을 부리려 하니 스스로 무너진다. 돈을 어느 만큼 벌었다면, 참말로 옳고 바르게 둘레에 펴고서, 이녁은 시골 오두막 한 채를 거느리면서 조용하게 살아가면 아름답다. 그들뿐 아니라, 우리 모두 마찬가지이다. 2023.11.23.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