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2024.4.20.


믿고 거르는 번역가 : 나한테는 “믿고 거르는 번역가”가 대단히 많다. 낱말책을 쓰는 사람은 ‘한글책’은 웬만하면 거의 몽땅 읽어내려고 해야 하는데, ‘국내창작’뿐 아니라 ‘외국번역’도 나란히 살필 노릇이다. 1992년부터 두 갈래 한글책을 읽어 오며 느낀 바를 갈무리할 수 있다. “믿고 거르는 번역가”란, “이분은 또 엉터리로 옮겼구나 하고 처음부터 ‘믿는(?)’다는 뜻”인데, 네 가지를 들어 보겠다. 


㉠ ‘글쓴이 글빛’이 없고 ‘옮긴이 글버릇’만 있다 : 글을 쓴 사람은 모두 다른데, 다 다른 사람이 쓴 다 다른 글이 아니라, 어느 옮긴이가 적은 글결만 춤추니, 이런 글은 ‘옮김(번역)’이라고 말하기에 참 창피하다. 


㉡ ‘우리말’을 모른다 : 어찌 된 일인지, 우리나라에서 ‘번역가·통역가’라는 이름으로 돈을 버는 분들치고, 우리말을 꾸준히 새롭게 갈고닦거나 익히거나 배우는 분을 찾아보기 어렵다. 우리말을 모르는 깜냥으로 어떻게 ‘이웃글을 우리글로’ 옮기는가? 수수께끼이다. 이웃말을 아무리 잘 할 줄 알더라도 우리말을 엉터리로 쓴다면, 한 마디조차 제대로 못 옮기거나 틀리게 옮기거나 잘못 옮기기 일쑤이다. 


㉢ 이웃나라·우리나라 살림(문화)을 모른다 : ‘옮기다’란, 저곳에 있는 길과 삶을 이곳에 오도록 잇는 일이다. ‘오’도록 이으려면 ‘온(모든)마음’으로 마주하면서 받아들일 줄 알 노릇이다. 이웃나라 사람들이 어떻게 하루를 누리고 살면서 살림길을 이었는지 헤아리면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어떻게 하루를 짓고 사랑하면서 살림길을 이었는지 함께 짚을 적에 비로소 ‘옮길(번역·통역)’ 수 있다. 이웃나라 살림(문화)을 익히려는 품을 들이듯, 우리나라 살림을 익히려는 품을 깊고 넓게 들여야 한다. 두 나라 살림을 모르고서 어떻게 말을 옮기나? 두 나라 살림은 모르는 채 ‘이웃말’만 좀 할 줄 안대서 덥석 옮김님 노릇으로 밥벌이를 하는 분이 지나치게 넘친다.


㉣ 삶·살림(일상생활)을 모른다 : ‘글’은 ‘말’을 담은 그림이다. ‘말’은 ‘마음’을 담은 소리이다. ‘마음’은 삶을 새긴 자국이다. ‘삶’은 우리가 스스로 누리거나 보내거나 지내거나 맞이한 하루이다. 모든 말은 삶을 나타내게 마련이니, “말을 알고 싶다”는 뜻이라면, “마음에 담는 삶부터 알고 싶다”는 길을 걸을 노릇이요, 삶과 살림과 사랑과 사람과 숲부터 배우고 익히고 삭여서 알아보고서야, 비로소 말과 글을 다루는 일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옮김님(번역가)’은 ‘살림짓기’하고 너무 동떨어진 채 ‘바쁘게 일(번역작업)에 매달’리더라. 아기한테 천기저귀를 대면서 돌보고 먹여살린 적이 없다면 ‘기저귀’나 ‘아기’라는 낱말을 제대로 풀이하지 못 한다. 죽어라 글만 들여다보는 눈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2024.4.20.


슬럼프 작가 : 둘레에서 나한테 묻는 말을 곱씹노라면 온통 배울거리이다. 이 가운데 하나는 “안 추우셔요?”인데, “마음이 추우면 춥고, 마음이 따뜻하면 따듯합니다.” 하고 대꾸한다. 참말이다. 거짓말일 수 없다. 누구나 스스로 마음을 따뜻하게 다스리면 추울 수 없을 뿐 아니라, ‘추위’가 왜 우리 곁에 있는지 마음빛을 밝혀서 깨달을 만하다. 나는 으레 등짐을 영차 어깨에 얹고서 오래오래 걷는다. 그래서 둘레에서는 또 “안 무거우셔요? 안 힘들어요?” 하고 묻는다. 언제나처럼 빙긋 웃고서 “왜 스스로 몸한테 ‘난 힘들어’ 하는 말을 굳이 욱여넣으려고 하나요? 등짐이 무게로 얼마쯤일까 하고 헤아리기는 하지만, ‘무겁다’거나 ‘힘들다’고 여긴 날은 하루조차 없습니다. 그저 스스로 짊어지고서 걸어가자고 여기기에, 이렇게 짊어지고 걸으면서 즐겁게 살아갑니다.” 하고 속삭인다. 이리하여 적잖은 분들은 새삼 묻는다. “슬럼프 없어요? 어떻게 날마다 그렇게 글을 쓸 수 있어요?” “왜 ‘수렁(슬럼프)’에 잠겨야 하나요? 아기를 낳아서 돌볼 적에 ‘이 아이 못 돌보겠어!’ 하고 내팽개치는 일은 하루는커녕 눈꼽만큼도 있을 턱이 없어요. ‘이 사랑스러운 아이하고 언제나 신나게 노래하고 춤추어야지!’ 하는 마음만 있어요. 그래서 날마다 ‘쓸 글’을 쓸 뿐이고, 짬이 더 없으면 그만 쓰고서 집안일을 하고, 집살림을 하고, 아이들하고 얘기하거나 놀고, 저잣마실을 다녀오고, 바깥일을 보고, 풀꽃나무랑 얘기하고, 새가 베푸는 노래를 듣고, 풀벌레하고 개구리가 벌이는 노래잔치에 귀를 기울여요. ‘슬럼프 작가’란 거짓말일 뿐 아니라, ‘글을 쓰는 사람이 슬럼프가 있다’고 한다면, 그분은 여태까지 ‘글쓰기 아닌 글시늉’으로 사람들을 속였다는 뜻이라고 느껴요. 아이를 돌보다가 먼저 까무룩 곯아떨어지기도 했는데, 아이들은 저희끼리 신나게 놀고서 ‘곯아떨어진 아버지 곁’으로 와서 잘 자더군요. 우리가 스스로 하루를 그리고 꿈을 그리고 사랑을 그리면, 누구나 날마다 실컷 글을 쓸 수 있을 뿐 아니라, 살림을 아름답게 여기고, 온하루를 반짝반짝 빛내게 마련입니다.” 글을 한창 쓰다가 못 쓴다고 하는 분이 있다면, 글에 앞서 스스로 삶그림을 마음에 안 담았다는 뜻이라고 느낀다. 또는 글살림 아닌 집살림을 오롯이 품으면서 고즈넉하게 사랑씨앗을 심을 수 있으리라. 2024.4.20.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2024.4.20.


홍세화 똘레랑스 : 1999년 5월에, 홍세화 님이 《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을 가른다》라는 책을 냈다고 〈한겨레〉에 알림글이 떴고, 홍세화 님이 한창 〈한겨레〉에 글을 실었기에 꼬박꼬박 챙겨 읽었고 책도 사읽었다. 그무렵 나는 서울 이문동에서 ‘나름이(신문배달노동자)’로 일했다. 신문사 지국장님은 어느 날 나를 부른다. “야, 너 홍세화 좋아하냐?” “네? 글쎄요. 논설위원 김종철 님이라면 모르지만, 홍세화 씨 글은 영 시답잖은데요.” “그런데 왜 그 사람 책은 사서 읽냐?” “우리가 일하는 〈한겨레〉에 글을 쓰니까 읽어 봤지요.” “뭐야? 안 좋아해? 그럼 취소할까?” “뭘요?” “아니, 네가 좋아할 듯해서 자리를 너한테 주려고.” “무슨 자리요?” “한겨레신문 주주를 위한 강연회에 홍세화 씨가 나오는데, 나는 못 가는데, 내 자리를 너한테 주려고.” “음…….” “가 봐. 좋은 공부가 될 거야.” 신문사 지국장님 얘기를 듣고서 열흘 즈음 생각에 잠기면서 새벽마다 새뜸을 돌렸다. 그 자리에 가는 사람 가운데 ‘고졸’이기도 하고 ‘한겨레신문 배달노동자’라는 이름도 있어서, 나는 홍세화 씨한테 궁금한 말을 물어볼 수 있다고 했기에, 내가 그분한테 뭘 물어볼 수 있는 쪽틈인 1∼2분 사이에 무엇을 물어보고 따질까 하고 온갖 말을 추스르고 가다듬었다. 그리고 ‘홍세화 특별강의’가 있는 그날, 서울 공덕동 〈한겨레〉 일터로 갔고, 얼추 두 시간에 이르는 ‘혼말(혼자 들려주는 말)’을 꾹꾹 참아내듯 듣고서 홍세화 씨한테 물어보았다. “저는 이문동에서 〈한겨레〉를 돌리는 딸배입니다. ‘딸배’란 ‘신문배달부’를 가리키는 이름입니다. 홍세화 씨는 프랑스에서 ‘택시운전사’라고 하셨지만, 홍세화 씨가 쓴 글과 책을 읽어 보기로는 도무지 ‘택시운전사’ 같지 않고, 너무 배운 티가 나는 지식인하고 똑같습니다. 제가 일하는 한겨레 신문지국뿐 아니라 다른 한겨레 신문지국에서 일하는 딸배도 대학생이나 대학교·대학원을 마친 사람이 많고, 한겨레 딸배는 〈한겨레〉를 꼬박꼬박 챙겨 읽습니다. 그렇지만 다른 신문, 이를테면 ㅈㅈㄷ 딸배는 거의 고졸이나 중졸이나 무학자이고, 그분들은 ㅈㅈㄷ을 돌려도 신문을 아예 안 읽다시피 하고, 못 읽습니다. 그분들은 스포츠신문만 읽습니다. ㅈㅈㄷ을 돌리는 딸배이지만 막상 ㅈㅈㄷ이 무슨 목소리를 내는지 모릅니다. 제가 여쭙고 싶은 말이란, 홍세화 님이 ‘똘레랑스 똘레랑스’ 하시는데, 한겨레 딸배나 독자는 알아들을지라도 ㅈㅈㄷ 딸배를 비롯해서 다른 이웃은 못 알아들을 말입니다. 홍세화 님이 쓰는 글이 대단히 먹물스럽습니다. 왜 이렇게 글을 어렵게 쓰십니까? 중·고등학교만 마친 사람도 우리 삶터를 읽어낼 수 있는 줄거리를 담아서 쉽게 쓰셔야 하지 않습니까? 택시노동자였다면 택시노동자로서, 또 〈한겨레〉에 글을 쓰신다면, 글을 쓰는 사람으로서 말을 가려서 써야 하지 않습니까? 여기는 프랑스도 아닌 한국인데 왜 프랑스말을 씁니까? 적어도 한자말로는 ‘관용’이고, 우리말로는 ‘너그럽다’인데, 우리말 ‘너그럽다’를 쓸 생각은 없습니까?” 아마 1분 30초를 들여서 이 말을 쏜살처럼 얼른 외웠는데, 홍세화 씨는 ‘똘레랑스’는 ‘좋은 뜻으로 하는 말’이고, ‘우리가 배울 프랑스 문화’라는 대꾸로 어영부영 마쳤다. 너무 어이없어서 얼굴이 화끈했고, 서울 이문동 신문사 지국으로 돌아온 저녁에도 그저 씩씩거렸다. 신문사 지국장님이 묻는다. “야, 너 왜 그래? 뭔 일 있어?” “아뇨. 앞으로는 홍세화 씨 글은 못 읽겠어요.” “왜?” “그분은 우리 옆이 아니라 저 하늘 높이 계시더군요.” 이날 홍세화 특별강의 자리에 다녀온 이야기를 신문사 지국장님한테 들려주었다. “그래? 그랬냐? 허, 그러냐? 그렇구나. 사람은 글만 보고 판단하면 안 되겠구나. 미안하다. 괜히 너한테 거기 가라고 했구나.” “아닙니다. 저한테 그 자리에 가라고 해주셨기 때문에, 글만 읽어서는 몰랐을 속모습을 보았습니다. 오히려 엄청나게 배웠습니다. 글을 어떻게 써야 하고, 말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오늘 아주 눈물겹게 배웠습니다. 고맙습니다.”


+


흙으로 돌아간 홍세화 님이 고이 쉬시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흙이라는 품에 안기는 넋은, 풀벌레랑 이웃하면서 나무랑 속삭이는 푸른말과 숲말로 하루를 노래하시기를 바란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떡 하나 : 우리 옛말에 “미운 아이 떡 하나 더 준다”가 있다. 하늬녘 예수님이 멧숲에서 들려주었다는 “미우니 사랑하라”하고 같은 얼거리이자 뜻이다. 미운 아이한테 떡 하나를 더 줄 적에는 오롯이 사랑일 노릇이다. 사랑이 없이 떡을 한둘이나 서넛 더 준들 안 반갑고 안 즐겁다. 옹글게 사랑으로 떡 하나를 더 주기에 모든 앙금에 고름에 생채기를 씻는다. 그런데 수수한 한 마디인 “미운 아이 떡 하나 더 준다”나 “미우니 사랑하라”를 몸소 보이거나 가르치거나 들려주거나 펴는 어른이 참으로 드물다. 밉다고 여기는 쪽을 삿대질로 깎아내리는 꼰대가 넘친다. 미운 짓만 골라서 하는데 어떻게 사랑하느냐며 되레 따지는 꼰대가 넘실댄다. ‘예수님 말씀’이나 ‘하느님 말씀’이라고 하더라도 도무지 안 받아들이는 꼰대가 가득하다. 울고 보채기만 하는 아기한테 젖을 물리기에 어버이라는 삶이다. 말을 할 줄 모르면서 울고 보채는 아이를 그저 사랑으로 달래고 다독이기에 어버이라는 살림이다. 밉다고 여길 만한 일이 눈앞에 나타나거나 생길 적에, 곧장 마음에 사랑이라는 씨앗을 품고서 상냥하게 마주하면서 풀어내려는 길을 한 발짝 내딛는다면, 이때에 비로소 ‘어른’이라는 이름을 쓸 수 있다. 어른이 아닌 사람은 얼뜨기요, 철바보요, 칭얼쟁이일 뿐이다. 2004.1.3.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원수를 사랑하라 : 비나리집이라는 곳은 “밉놈을 사랑하라”를 제대로 가르치고 배울 수 있으면 넉넉하다. “밉놈을 사랑하라”를 가르치고 배울 수 없다면 비나리집이 아니다. 배움터도 매한가지이다. 어린이도 푸름이도 젊은이도 “밉놈을 사랑하라”를 제대로 보고 느끼고 알아차릴 수 있는 곳이라야 비로소 배움터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집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밉놈을 사랑하라”를 펴고 누리고 나누면서 익히는 자리가 바로 보금자리이다. 아주 쉽게 보기를 들자면, 설거지를 하다가 그릇을 깨어도 “밉놈을 사랑하라”를 떠올릴 일이다. 잘잘못을 가리지 않을 줄 알아야 한다. 옳거나 그르다고 가르지 않을 줄 알아야 한다. 누구는 맞고 누구는 틀리다고 따지지 않을 줄 알아야 한다. 요사이는 “틀리지 않고 다르다”라는 말이 제법 퍼지는데, 이 말이 퍼지기는 해도 “미우니 사랑하라”가 빠진 채 ‘다름’만 앞세운다면, 오히려 더 싸우고 자꾸 다투고 끝없이 티격태격으로 치닫고 만다. “미우니 미워한다”를 붙잡을 적에는 무슨 일이 벌어질까? “미우니 미워한다 = 미워할 일을 자꾸 마음에 그리면서 언제까지나 미워하고 다시 미워하는 굴레나 쳇바퀴”라고 여길 만하다. 밉짓을 하는 밉놈이 어느 자리에 있다고 여기기에, 요 밉놈을 끌어내리려고 하는 데에 늘 온마음을 쏟아버리고 만다. “미워서 미워한다”에는 아주 마땅히 ‘사랑’이 없는데, 사랑이 없는 쳇바퀴란, “남을 사랑하는 마음이 없다”가 아니라 “나를 스스로 사랑하는 마음이 없다”는 뜻이라고 느낀다. 우리가 저마다 스스로 사랑하는 마음으로 살아간다면, 바로 나부터 사랑할 테고, 바로 나부터 사랑하는 사람은 남을 안 사랑할 수 없다. 누구를 콕 집어서 미워하는 사람이란, 바로 그 사람 스스로 안 사랑하고 미워한다는 뜻을 드러내는 셈이다. ‘스스로 사랑’인 사람은 “미워서 미워한다”를 안 하는데, ‘스스로 사랑’인 사람은 무엇을 하느냐 하면, “스스로 사랑하는 하루를 그리고 짓고 나누기”를 한다. 오늘 하루를 스스로 사랑하면서 그리고, 오늘 하루를 스스로 사랑으로 짓고, 오늘 하루를 스스로 사랑으로 펼 적에는, 오롯이 사랑이 흐른다. 사랑이기에 사랑이다. 미움이기에 미움이다. 사랑은 사랑씨앗을 낳고, 미움은 미움씨앗을 낳는다. 저놈이 저딴 짓을 했으니 밉다고 여기는 곳을 자꾸 쳐다보는 사이에, 우리 스스로 오늘 하루를 잊고 오늘 스스로 그려서 지을 사랑까지 잃는다. ‘저놈’이 아닌 ‘저이’는 스스로 눈물로 씻고 무릎을 꿇고서 새사람으로 거듭나야 할 노릇이다. 나는 나 스스로 꿈을 그리고 사랑을 지으면서 살림길을 숲빛으로 펼 노릇이다. “미운놈을 미워하기”에 기운을 쏟느라 “스스로 사랑씨앗을 심는 오늘 하루”하고 한참 멀리 가고야 만다. 모든 일에 드러나는 겉모습과 속빛을 읽으려 할 적에는, 이 일을 읽고 나서 앞으로 나아가려고 하는 사랑을 마음에 생각으로 심을 노릇이다. ‘멧숲말씀’은 참말로 멧숲에 깃든 넋으로 푸르게 들려준 이야기이다. 우리가 누구나 멧숲에 깃들어 보금자리를 일구고, 멧새와 숲짐승을 이웃으로 삼는다면, “미우니 사랑하라”가 스스로 어떻게 살고 살림하는 하루를 짓는 길인지 참하게 알아보리라. 2024.2.4.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