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다는 마음



  나이를 한 살 더 먹기에 더 슬기롭지 않습니다. 돈을 더 많이 벌기에 더 너그럽지 않습니다. 글을 더 많이 썼기에 더 빼어나지 않습니다. 말을 더 잘 하기에 더 착하지 않습니다. 책을 더 많이 읽었기에 더 아름답지 않습니다. 땅을 더 거느리기에 더 넉넉하지 않습니다. 밥을 더 많이 먹었기에 더 배부르지 않습니다. 어떤 마음인가에 따라서 늘 달라지는 살림입니다. 읽는다는 마음이란, 우리 스스로 아직 모자라거나 어리숙한 줄 깨닫고 이를 채우거나 가다듬을 뿐 아니라, 우리 스스로 즐겁게 새로 지을 길을 갈고닦거나 가꾸려는 마음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한테는 책 하나조차 없어도 됩니다. 참답고 고우며 착하게 읽으려는 마음이 있을 적에는 우리 스스로 책이 되고 우리 스스로 책을 지으며 우리 이웃이 빚는 숱한 삶책을 받아들일 수 있어요. 2017.10.4.물.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넋/책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람을 쐬는 책



  사람은 바람을 마시면서 목숨을 잇습니다. 물이며 밥을 먹어야 몸뚱이가 산다면, 바람을 마시면서 마음이 살아서 하루를 짓는 길을 걸어간다고 느껴요. 아무리 깊은 곳으로 들어가도 바람이 흐르면 살 수 있습니다. 아무리 높은 곳으로 올라가도 바람이 흐르면 살 만합니다. 바람이 흐르지 않는 곳은 사람한테 무척 끔찍해서 죽음터가 됩니다. 흐르는 바람을 마시면서 흐르는 생각이 되고, 흐르는 생각이 흐르는 사랑으로 피어나니, 흐르는 이야기가 되도록 살림을 가다듬습니다. 사람이 지은 책은 사람 손길을 타기에 바람을 쐬면서 한결 싱그럽습니다. 바람을 마시면서 책이 오래오래 살고, 바람을 곁에 두면서 책마다 속살이 짙푸릅니다. 2017.9.18.달.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넋/책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관이 버린 책이 얼마나 많은데 ……



  저는 이른바 ‘문화재급’ 옛책을 헌책방에서 산 적은 없습니다. 값이 대단히 비싸니까요. 그러나 문화재급에 들지 않는 옛책은 헌책방에서 제법 장만했습니다. 그리고 이런 책들 가운데 ‘대학 도서관 도장’이나 ‘신문사 도장’이나 ‘문교부 도장’이 찍힌 책이 꽤 많아요.


  헌책방에서 이런 책을 살 적마다 여쭈어 보지요. 그러면 헌책방지기뿐 아니라 ‘대학 도서관·신문사 도서관·공공기관 도서관’에서 나온 책을 사는 단골 할아버지들이 곁에서 한 마디 하셔요. “도서관이 좁아서 버려. 요즘 사서들이 한문을 아나? 게다가 오래된 책은 큼큼한 냄새에 곰팡이도 있으니, 더 먼저 버리지.”


  도서관에서 값진 책을 짐차로 몇 덩이씩 내다 버리면, 이를 헌책방지기가 폐지처리장이나 고물상에서 먼지를 뒤집어쓰면서 캐내어 하나하나 손질하는데, 책을 좋아하는 분들은 이런 책을 주머니를 탈탈 털어서 장만하려고 합니다. 비록 도서관이 자리가 좁아서 버린다고 하지만, 이녁 집에 모시고 싶거든요. 이녁 집도 좁기는 매한가지일 텐데, 그래도 이 책이 버려지면 안 된다는 생각으로 쌈지돈을 터시더군요.


  대학 도서관이든 신문사나 공공기관 도서관이든 책을 버릴 수밖에 없는 우리 모습이 달라지지 않는다면, 틀림없이 뜻있고 값있는 옛책은 어느새 모조리 사라질 수 있습니다. 도서관은 책을 버릴 적에 헌책방을 안 불러요. 그냥 수거업자를 불러서 폐지처리장이나 고물상으로 곧바로 내보냅니다.


  저는 지난달에 어느 헌책방에서 ‘2017년 3월에 문을 닫은 어느 시골 초등학교 도서관에 있던 책’을 한 권 장만했습니다. 폐교가 되고 만 시골 작은 초등학교 도서관 도장이 찍힌 그 책은 제가 그리 안 좋아하는 책이지만, 전라도 어느 시골 작은 초등학교를 기리고 싶은 마음에 일부러 장만해 놓았습니다. 멀쩡한 ㅅ대학교 도서관이나 ㄷ신문사 도서관에서도 그곳 책들을 때 되면 몇 차씩 버리곤 하는데, 시골에서 학생이 줄어서 끝내 문을 닫아야 하는 작은 학교에서도 이곳 도서관에 있던 책은 모조리 폐휴지로 바뀝니다. 그나마 한국에는 헌책방이 있기에 헌책방지기가 이를 거두어 주면 겨우 살아날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도서관에서 책을 다루거나 건사하는 행정·정책이 달라져야 하리라 생각해요. 제발 도서관 건물도 늘리고 사서도 늘려서, 아무 책이나 함부로 버리지 않기를, 그리고 버려야 한다면 곧장 폐지처리장으로 보내지 말고, 헌책방지기를 불러서 ‘다른 사람이 건사하면서 살릴 수 있는 책은 살리’도록 해야지 싶습니다. 2017.9.6.물.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 언저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3&oid=020&aid=00030926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읽기 쓰기 새기기



  모든 책은 읽을 때가 있습니다. 어느 책이 갓 나올 무렵이 이 책을 꼭 읽어야 할 때가 되지 않습니다. 어느 책이 나온 지 여러 해나 스무 해쯤 흐르고서야 비로소 알아볼 수 있어요. 누구한테나 어느 책 하나를 알아볼 때는 다르기 마련이고, 꼭 알맞을 만하구나 싶은 때에 이 책을 손에 쥡니다.


  책을 읽은 느낌은 저절로 스며나와 글이 될 때가 있습니다. 책을 읽고서 곧장 느낌글을 쓸 수 있으나, 책을 다 읽고 나서 여러 해가 지난 뒤에야 글이 술술 풀릴 때가 있습니다. 때로는 열 차례나 스무 차례쯤 읽고 난 때라야 글이 흘러나올 수 있어요. 마음으로 감도는 느낌과 이야기가 태어나기까지 짧게 걸릴 수 있고 오래 걸릴 수 있어요.


  책을 읽거나 느낌글을 쓴 뒤에, 이 모든 살림과 이야기가 온넋으로 스며들어 마음에 새길 수 있자면, 그러니까 책으로 얻은 슬기가 우리 살림에서 시나브로 드러나서 꽃피우기까지는 얼마쯤 걸릴까요? 곧장 꽃피울 수 있을 테고, 차근차근 되새기면서 어느 날 문득 꽃피울 수 있어요. 어쩌면 쉰 해쯤 지나고서야 꽃피울 수 있겠지요.


  읽기도 쓰기도 제철(제때)이 있습니다. 제철은 이르지도 늦지도 않습니다. 제때는 빠르지도 더디지도 않습니다. 즐겁게 삭혀서 즐겁게 쓰면 되리라 생각해요. 무엇보다도 우리 곁에 이쁜 책이 하나 있어서, 이 책을 고운 길동무나 삶동무로 삼을 수 있으면 넉넉하리라 봅니다. 길동무는 우리를 채근하지 않아요. 삶동무는 우리를 다그치지 않아요. 책은 우리더러 빨리 읽거나 배우거나 삭이라고 나무라지 않습니다. 2017.8.25.쇠.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값 치르기



  마을책방이나 헌책방에 나들이를 가서 책을 장만할 적에 값을 따진 적이 없습니다. 저는 제가 읽을 책만 장만합니다. 저는 제가 읽고서 두고두고 건사하고픈 책을 장만합니다. 저는 제가 먼저 읽고 마음에 담은 뒤에 아이들한테 물려주면 좋겠구나 싶은 책을 장만합니다. 이런 책을 장만하다 보니 책값을 따로 들여다보아야 할 까닭이 없다고 느낍니다. 책값이 센 책이 있다면, 그 센 책값을 치를 수 있도록 즐겁게 돈을 벌자고 생각합니다. 책값을 100원이라도 에누리하는 곳이 있는가 하고 살피지 않습니다. 우리 보금자리에 둘 만한 아름다운 책을 살피는 데에만 마음을 기울이고 싶습니다. 아주 싼값에 볼 수 있대서 재미없는 영화를 볼 까닭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주 싼값에 먹을 수 있대서 맛없고 몸애 나쁜 밥을 먹을 까닭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름다운 영화를 즐겁게 장만한 돈을 치러서 보려고 해요. 맛나고 좋은 밥을 기쁘게 장만한 돈을 내고 먹으려고 해요. 사랑스러운 책을 신나게 일해서 장만한 돈을 주고 사들이려고 해요. 2017.7.8.흙.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