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증 쓰는 손길

 


  영수증을 갖춘 헌책방이 있고, 영수증을 안 갖춘 헌책방이 있다. 영수증을 갖춘 헌책방에서는 영수증에 고무도장을 찍고는 손으로 글씨를 써서 내어준다. 영수중을 안 갖춘 헌책방에서는 흰종이에 손으로 정갈하게 글씨를 써서 내어준다.


  영수증을 받으면서 고맙고 즐겁다. 영수증 한 장에 깃든 헌책방 일꾼 손길을 느끼면서 반갑고 새롭다. 영수증 한 장이지만, 나로서는 사랑편지 받는듯 가슴이 뭉클뭉클 뛴다.


  영수증을 받으며 가만히 생각한다. 헌책방 일꾼은 나한테 영수증을 주고, 나는 흰종이에 싯노래 한 자락 적바림해서 내밀면 좋겠네. 그래, 요즈음 들어 자꾸자꾸 싯노래 읊을 수 있는 까닭은, 헌책방마실을 할 적마다 헌책방 일꾼 손품 깃든 영수증을 받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내가 찾아가는 헌책방에 어떤 책빛 서리는가를 헤아리며 싯노래 한 자락 적는다. 흰종이에 차근차근 싯노래 적으며 꿈꾼다. 이 싯노래로 내 마음 따사롭게 보금고, 내 싯노래 받을 헌책방 일꾼한테 맑은 숨결 스며들 수 있기를. 4346.5.7.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3-05-07 10:58   좋아요 0 | URL
손글씨로 쓴 영수증 한 장,을 받으면서
사랑편지 받는 듯 가슴이 뭉클뭉클 뛰신다는 글에
제 마음도 뭉클뭉클 뜁니다. ^^

숲노래 2013-05-07 11:34   좋아요 0 | URL
좋은 마음을 주고받을 때에는
사랑이 피어나는구나 싶어요
 

 

 

 

책빛

 


  다 다른 해에 태어난 다 다른 책이 다 다른 빛깔을 보여준다. 다 다른 크기와 다 다른 모양새로 나온 책들이 알록달록 빛나는 책탑을 이루며 차곡차곡 쌓인다. 높다라니 쌓인 책탑 뒤에는 어떤 책들이 어떤 무늬와 빛깔로 있을까. 책탑 뒤에는 어떤 책들이 오래도록 숨죽인 채 책손 손길을 기다릴까.


  책은 책으로 있는 동안에도 빛난다. 책은 책손 손길을 타면서 새롭게 빛난다. 책은 책 하나 사랑하는 사람들 손에 이끌려 새로운 책시렁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새삼스럽게 빛난다.

  읽힐 때에 비로소 책이라 하는데, 읽히지 않을 때에도 모두 책이다. 왜냐하면, 읽히지 않은 책은 없으니까.


  읽혔다 하는 책 가운데 속내와 사랑과 마음까지 샅샅이 읽힌 책은 얼마나 될까. 첫 줄부터 끝 줄까지 훑는 일이 책읽기가 아니다. 줄거리 줄줄 꿰는 일이 책읽기가 아니다. 책에 서린 삶을 읽을 때에 책읽기가 된다. 책에 깃든 숨결을 읽을 때에 책읽기가 된다. 책에 감도는 사랑을 읽을 때에 책읽기가 된다.


  몇 줄을 읽든 대수롭지 않다. 여러 차례 읽거나 스물 서른 마흔 차례 읽든 대단하지 않다. 가슴으로 읽고, 마음으로 새기며, 사랑으로 헤아릴 때에, 비로소 책읽기가 이루어진다. 책빛은 책읽기를 누리는 사람들 눈망울에서 곱게 드러난다. 4346.5.6.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라딘 지점과 동네책방과 헌책방

 


  전남 순천에서 가장 오랜 역사 자랑하던 새책방 〈일광서점〉이 문을 닫는다. 그러면, 순천사람은 어디에서 새책을 장만할까. 아직 모든 새책방이 문을 닫지는 않았으니, 다른 책방으로 나들이 가면 될 테지만, 순천에서 〈일광서점〉이라는 데가 문을 닫았다는 얘기는, 그만큼 사람들 발걸음이 책방하고 멀다는 뜻이다.


  책장사 하는 이들이 제대로 ‘책방에 투자를 안 해’서 책방이 문을 닫을까. 책장사 하는 이들은 책방에 어떤 투자를 해야 하고, 책방에 투자를 한다면 이 돈은 어디에서 얻을 수 있을까.


  지역에서 오래도록 사람들한테 책숨 불어넣던 책방들이 수없이 문을 닫았다. 이런 자리마다 교보문고 지점이나 영풍문고 지점이 들어서곤 했다. 요즈음에는 알라딘 지점이 곳곳에 생긴다. 참 빠르게 곳곳에 퍼진다. 큰도시인 부산 대구 울산 광주 같은 데뿐 아니라, 작은도시인 부천 전주 같은 데까지 알라딘 지점 여는 모습을 보노라니, 전라남도 순천에까지 알라딘 지점 열 수 있겠다고 느낀다.


  순천에 알라딘 지점이 들어선다면, 순천사람한테 좋거나 반갑거나 즐거운 일 될까? 순천에 교보문고 지점이 들어서면, 이런 지점이 순천사람 책삶 북돋우는 구실을 맡을까?

  순천에는 헌책방이 꼭 한 군데 있다. 〈형설서점〉이다. 시외버스역 가까이에 큰 매장 하나 있고, 순천 기적의도서관 옆에 예쁘장한 매장 하나 더 있다. 순천사람한테 가장 순천스럽게 책내음 나누어 주는 데라면, 5월 10일에 문을 닫는 새책방 〈일광서점〉하고, 씩씩하게 책살림 잇는 헌책방 〈형설서점〉이라고 느낀다. 그러나, 새책방은 자꾸자꾸 문을 닫는다. 시골사람이건 작은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이건, 책방마실을 하며 책을 사기보다는 인터넷 켜고 책을 산다. 몸으로 느끼는 책이 아니라, 손에 쥐기만 하는 책이 된다.


  사람들이 책을 좋아하기에 알라딘 지점이 자꾸자꾸 전국 곳곳에 문을 열 수 있는가? 사람들이 책을 덜 좋아하기에 전국 곳곳 크고작은 책방들 자꾸자꾸 문을 닫고 마는가? 교보문고 지점은, 알라딘 지점은, 어떤 책을 다루어 어떤 사람들한테 어떤 책을 읽히려 하는가? 4346.5.6.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을 어떻게 꽂는가

 


  도서관에서는 도서관분류법에 따라서 책을 꽂는다. 새책방에서도 도서관분류법을 얼추 따르면서 책을 꽂는다. 그러나, 헌책방에서는 도서관분류법을 쓰지 않는다. 헌책방마다 책을 꽂는 매무새 모두 다르다.


  도서관이나 새책방을 다니면서 ‘책 꽂는 매무새’나 ‘책 갖춘 모양새’ 다른 모습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모두들 거의 똑같은 나눔법에 따라 책을 나누어 꽂기 때문이다. 도서관에서는 만화책이나 사진책이나 그림책을 잘 안 갖추기 마련이고, 새책방에서는 비매품이나 공공기관 자료를 못 갖추기 마련이다. 도서관에서는 사람들이 자주 빌려서 보는 책을 으레 갖추고, 새책방에서는 사람들이 많이 사들이는 책을 으레 갖춘다.


  헌책방에서는 비매품이나 공공기관 자료도 갖춘다. 헌책방에서는 사람들이 많이 찾는 책도 갖추고, 사람들이 거의 안 찾지만 누군가 꼭 찾을 법한 책이면 으레 갖춘다.


  헌책방 책꽂이는 헌책방마다 다를 수밖에 없다. 서울과 인천과 부산과 광주와 대구와 순천과 춘천과 강릉과 통영과 청주와 전주와 수원과 의정부와 여수에 있는 헌책방은 저마다 다른 삶자락에 맞추어 서로서로 다른 책꼴을 갖춘다. 고을마다 공공기관이 다르다. 고을마다 사람들 삶이 다르다. 고을마다 지역 문인이 다르고, 고을마다 학교와 시설과 모임이 다르다. 그러니, 고을마다 드나드는 책이 다르고, 어느 헌책방이건 저마다 뿌리를 내린 곳 빛깔과 무늬를 살피며 책꽂이를 보듬는다.


  개인 서재를 도서관분류법에 따라 갈무리하는 사람도 있으리라. 그러나 개인 서재를 도서관분류법에 따라 갈무리하면 좀 재미없으리라 느낀다. 저마다 다른 사람들은 저마다 다른 책멋에 맞추어 이녁 깜냥껏 책꽂이를 돌볼 때에 한결 재미있고 아름다우리라 느낀다.


  이 헌책방을 다니고 저 헌책방을 다니면서, 이곳에서는 이런 멋을 만나고 저곳에서는 저런 맛을 누린다. 다 다른 헌책방에서 다 다른 책내음을 맡는다. 4346.5.4.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다리

 


  새책방이나 도서관에서 사다리를 보는 일은 드물다. 헌책방을 찾아가면 아무리 조그마한 곳이라 하더라도 으레 사다리를 본다. 왜 새책방이나 도서관에는 사다리가 없기 일쑤이고, 헌책방에는 사다리가 어김없이 있을까. 새책방이나 도서관도 책꽂이 꾸준히 늘리면서 ‘새로 나오는 책’을 더 차곡차곡 갖출밖에 없고, 이러다 보면 저절로 사다리 놓으면서 위쪽까지 살피도록 할 노릇 아닐까.


  사다리 없는 새책방과 도서관을 헤아려 보면, 새책방이나 도서관에서는 ‘새로 나오는 책이 늘어날’ 때에 ‘예전에 있던 책’을 줄이곤 한다. 날마다 새로 나오는 책 있으니, 새책방도 도서관도 책시렁 늘어나야 하지만, 한국에서 새책방이나 도서관은 책시렁을 좀처럼 늘리지 않는다. ‘오래도록 제자리 지키던 책’을 빼낼 뿐이다.


  헌책방도 ‘오래 묵은 책’을 치우곤 한다. 헌책방이라고 책을 자꾸자꾸 끝없이 쌓을 수 없다. 하는 수 없이 책을 비워 새로 들이는 책 꽂아야 한다. 그런데, 헌책방은 되도록 책을 덜 버리려 하고, 헛간을 늘려 ‘책방 책시렁에서 치워야 하는 책’이라든지 ‘새로 들이는 책’을 두려 한다. 책방에 빈틈 하나 없도록 빼곡빼곡 책시렁을 마련하고, 천장에 닿도록 책이 올라간다. 이러다 보니 헌책방에는 사다리가 있어야 한다. 헌책방 일꾼은 천장 높은 가게를 좋아한다. 헌책방 책시렁은 한 해 두 해 흐르면서 천장까지 닿는다.


  헌책방마실이 즐거운 까닭 곰곰이 돌아본다. 헌책방은 ‘처음 갖춘 책’부터 ‘새로 들이는 책’까지 알뜰살뜰 있다. 새책방과 도서관이 책을 안 아끼는 곳은 아니지만, 헌책방이 책을 아끼는 품이나 손길이란 매우 정갈하며 알뜰하다. 나는 헌책방마실 할 적마다 늘 이러한 품이나 손길을 느끼며 고맙다. 책 하나 만날 적에도 즐겁고, 책을 아끼는 품과 손길을 느끼면서 ‘책을 읽는 새로운 빛’을 받아먹는다.


  종이꾸러미도 책이고, 종이꾸러미 다루는 손빛도 책이다. 글월마다 글빛이 피어나고, 손길에서 손빛 새록새록 돋는다. 헌책방과 함께 오랜 나날 씩씩하게 살아온 사다리 나뭇결 쓰다듬으면서 책시렁과 책 모두 새삼스레 어루만진다. 4346.5.1.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헌책방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