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꽃 2022.5.1.

사람노래 . 마리아 지빌라 메리안



볼 수 있는 너는

눈을 떴구나

몸눈 마음눈 사랑눈

잎눈 꽃눈 겨울눈


느낄 수 있는 너는

속을 열었네

꿈속 마음속 생각속

풀속 흙속 바닷속


그릴 수 있는 너는

빛을 틔웠어

눈빛 마음빛 살림빛

숲빛 붓빛 하늘빛


풀벌레는 풀밭에 살아

벌나비는 꽃을 사랑해

풀꽃나무는 푸르게 우거지고

사람은 모두랑 어울리며 환해



1647년에 ‘마리아 지빌라 메리안’을 낳은 어머니는 ‘아버지 마테우스 메리안이 나중에 얻은 가시내’였고, 아버지라는 사람이 죽자 그 집안에서 쫓겨났기 때문에. 보잘것없는 자리(신분)에 하잘것없는 살림에 아무것도 없는 몸으로 스스로 모든 삶을 일굽니다. 오늘날 독일에서는 500마르크짜리 종이돈에 얼굴이 깃들었는데요, 이분이 조그마한 벌레 삶을 헤아리며 그림으로 남기던 때에는, “애벌레나 구더기들이 더러운 쓰레기에서 생겨난 악마”라고 여겼다지요. 마녀로 찍혀 죽을 수 있었고, 이분이 오래오래 지켜보며 빚어낸 책과 그림을 놓고 ‘거짓말’이라고 깎아내리는 터무니없는 말을 들으면서 쓴맛을 견디어내야 했답니다. 그러나 언제나 즐겁고 꿋꿋하며 사랑스레 온누리 벌레붙이를 사랑했고, 글하고 그림으로 벌레살이를 아로새겼습니다. 어마어마하다 싶은 가시밭길을 온몸으로 기꺼이 맞아들이면서 일흔 해를 살았다. 오늘날 풀벌레·풀꽃나무 그림틀을 제대로 세운 첫님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마리아지빌라메리안

#MariaSibyllaMeria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집노래

노래꽃 . 우분투북스 (나너우리)



나쁜 길도 아니고

나은 곳도 아니라

내가 나인 삶으로

네가 너인 오늘로


나는 또다른 너

너는 새로운 나

나랑 너는 우리

우리는 하늘빛 품어


하늘은 함박꽃 울타리

하늘은 하나인 너울

하늘은 바다를 안고

바다는 빗물로 하늘길


비가 내린다

함초롬히 적시는 비는

하늘도 너도 나도 빗질하며

고요히 빈 빛으로 간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대전을 빛나는 마을책집 가운데

하나인 우분투북스.


'우분투'란 이름을

곰곰이 생각하면서

이곳이 그동안

대전을 바탕으로 일군

책살림은 어떤 길을까 하고

헤아리면서

동시를 한 자락 적어 보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사람노래 .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나도 할 수 있어

나무타기쯤 헤엄치기쯤

너도 할 수 있니?

제자리돌기 거꾸로걷기


나는 언제나 하지

하늘바라기 별바라기 꽃바라기

너도 언제나 하니?

바람바라기 비바라기 잎바라기


손을 놀려 조물딱 짓고

발을 놀려 화다닥 뛰고

입을 놀려 까르르 수다

귀를 놀려 뭐든지 듣기


저기 봐 눈이 와

눈사람 굴리고 눈송이 뭉치자

저기 봐 새가 날아

활갯짓 나란히 언덕을 넘자



“긴버선(롱스타킹) 삐삐”로 알려진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님은 1907년에 태어납니다. 시골집에서 시골빛을 실컷 누리며 뛰놀았고, 일찌감치 아들하고 딸을 낳으며 글을 쓰는 일을 했는데, 일곱 살 딸아이가 아파서 누워 지내던 어느 날, 어머니한테 불쑥 ‘삐삐’ 이야기를 들려주기를 바랐다지요. 아이가 지은 ‘삐삐’라는 이름에 맞게 곧장 이야기를 엮어낸 린드그렌 님인데, 1944년에 눈길에 미끄러져 발을 다치는 바람에 자리에 드러눕고 보니, 예전에 딸아이한테 들려준 이야기가 생각나서 비로소 글로 옮겼다고 합니다. 모든 아이는 신나게 놀려고 태어났다는 줄거리를 글자락으로 상냥하면서 재미나고 눈물겨울 뿐 아니라 포근하게 담아내었습니다. 아이들은 마음빛으로 사랑을 펴기에 어른들을 일깨우고, 어른들은 아이다운 푸른숲을 돌보는 생각을 짓기에 비로소 온누리가 아름답다는 뜻을 널리 흩뿌렸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AstridLindgre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노래꽃

사람노래 . 윌리엄 스타이그



언니 마음에 동생이 있고

동생 눈빛에 언니가 살고

아이 숨결에 어른이 크고

어른 손길에 아이가 놀아


네가 꿈을 그리면

온마을 어디나 놀이터

온나라 언제나 숲길

온마음 어울려 사랑


생쥐와 고래는 동무야

여우와 거위는 이웃이야

너랑 나는 어깨동무이고

풀하고 꽃은 함께 즐거워


날개로도 하늘마실이고

맨몸으로도 구름길이지

겉으로는 그만 봐

속으로 노래를 읊으렴



1907년에 태어나 젊은날부터 예순 살을 넘도록, 그림꽃(만화·카툰)을 펼치던 윌리엄 스타이그 님입니다. 예순 살을 훌쩍 넘고서야 비로소 그림하고 글을 손수 짓고 엮어서 《당나귀 실베스터와 요술 조약돌》이며 《아벨의 섬》이며 《생쥐와 고래》를 선보였습니다. 할아버지가 되어서야 그림책·어린글꽃을 여민 손길은 늘 껍데기(겉·치레)가 아닌 속(마음·알맹이·고갱이)을 바라보자는 눈빛이고, 어린이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한결같이 푸른사랑으로 노래하는 하루일 적에 스스로 반짝이면서 아름답게 이 별을 가꾼다는 이야기입니다. 누구나 마음으로 마주하며 동글동글하기에 동무요, 저마다 생각으로 꿈을 그리기에 사랑길을 즐거우면서 씩씩하게 걸어간다는 삶을 부드러우면서 따뜻하게 펼쳤어요. 싸움꾼 우두머리(대통령)를 상냥하게 나무라면서, 아흔 살에도 슬기로운 어른 붓끝을 이 땅에 드리웠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노래 . 이소선



노래하고 싶은 순이는

모질고 아파서 울고

웃으며 일하려던 돌이는

차갑고 안타까워 울부짖고


땀흘린 값을 바랐고

함께 꿈을 그렸고

서로 든든히 기둥이었고

누구나 굳은살 손바닥이고


글 아는 이는 어째서

동무하기를 꺼릴까

글 모르는 삶이지만

살림짓고 사랑하는 하루야


집은 달라도 하늘은 같지

밥그릇 달라도 별빛은 같아

서울에서도 시골에서도

푸른손으로 일하고 놀거든



배우고 싶으나 배울 수 없는 터전에서 태어났습니다. 총칼로 짓누른 일본에 맞선 아버지는 일찌감치 끌려가 숨을 거두고, 어머니 혼자 집살림을 꾸리다가 이소선 님이며 오빠는 낯선 집을 떠돌며 겨우 얻어먹었습니다. 일찍 짝을 만나고 아이를 낳았으나 짝꿍은 집안을 팽개치면서 때리기 일쑤였고, 혼자 아이들을 건사하며 바늘틀을 다루는 일꾼(미싱사)이 되었습니다. 이소선 님 아들 전태일 님은 하루 내내 뼈빠지게 일하고 굶는 어린 일순이·일돌이(공장 노동자)가 너무 많아 늘 속을 태웠고, 일터지기(공장주)는 으레 일삯을 빼돌렸으며, 나라(정부)는 모르쇠였습니다. 끝내 몸을 불사르며 ‘근로기준법’을 나라가 지키기를 바라는 한줄기 외침으로 이슬이 되며 어머니 이소선 님한테 이 길을 맡아 주기를 바랐고, 이소선 님은 아들이 남긴 뜻대로 ‘일하는 모든 이한테 어머니’로서 온삶을 바쳤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4월 30일 낮에

벌교에서 진주로 건너가며

‘이소선’을 쓰다.


이소선 님하고 전태일 님 삶은

‘노동운동가’가 아닌

‘일하는 이한테 어머니’이자

‘일하는 이한테 동무’였다고 느낀다.


전태일 님은 길(법)을 모르는

모든 일순이·일돌이한테

혼자 밤을 밝혀 깨친 길(법·근로기준법)을

풀어내어 들려주었고,

이소선 님은 홀로 낯선 서울에서

뼈빠지게 일하면서도 가난한

모든 일순이·일돌이한테

어머니라는 품이 되어 포근히 달래었다.


‘노동운동’이란 이름은 안 나쁘다.

그러나 이런 이름으로는

‘일하는 이한테 동무’가 되거나

‘일하는 이한테 어머니’가 될 수는 없겠지.


살림을 짓고 사랑을 하고 사람으로 서는

모든 길에는 ‘운동가’ 아닌

삶님·살림님·사랑님이란 이름으로 수수히

숲빛으로 마주한다고 느낀다.


나는 아직도 손빨래를 하고

부릉이(자가용)를 안 몰면서

뚜벅뚜벅 걷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