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070) -의 : 창작하려는 자의 새로운 눈뜨기

 

동화는 서사문학이라서 기본적으로는 소설 창작과 같은 맥락이지만, 독자 대부분이 어린이라는 점에서 창작하려는 자의 새로운 눈뜨기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황선미-동화 창작의 즐거움》(사계절,2006) 5쪽

 

  ‘서사문학(敍事-)’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기록문학(記錄-)’이라 풀이합니다. ‘기록하다’는 ‘적다’를 한자말로 옮긴 낱말입니다. 국어사전에서 다시 ‘서사(敍事)’를 찾아봅니다. “사실을 있는 그대로 적음”을 뜻한다 합니다. 그러니까, “꾸밈없이 쓰는 문학”을 서사문학이나 기록문학이라 일컫는 셈입니다.


  ‘기본적(基本的)으로는’은 ‘밑바탕은’이나 ‘밑틀은’으로 다듬고, “소설 창작(創作)과 같은 맥락(脈絡)이지만”은 “소설 쓰기와 같은 흐름이지만”이나 “소설 쓰기와 비슷하지만”이나 “소설 쓰기와 같다 할 만하지만”으로 다듬습니다. “독자(讀者) 대부분(大部分)이”는 “읽는 사람 거의 모두가”나 “읽는 사람이 거의 다”로 손보고, “어린이라는 점(點)에서”는 “어린이라는 대목에서”나 “어린이인 만큼”이나 “어린이이기 때문에”로 손봅니다. “창작(創作)하려는 자(自)”는 “글을 쓰려는 사람”이나 “동화 쓰는 사람”으로 손질하고, “새로운 눈뜨기가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새롭게 눈을 떠야만 한다”로 손질합니다.

 

 창작하려는 자의 새로운 눈뜨기가 이루어져야만
→ 글 쓰는 사람이 새롭게 눈을 떠야만
→ 글을 쓰는 사람은 눈을 새롭게 떠야만
→ 글을 쓰려면 새롭게 눈을 떠야만
→ 글을 쓸 때에 새롭게 눈을 떠야만
 …

 

  이 보기글을 쓴 황선미 님은 동화를 쓸 때에 이러한 글투로는 안 쓴다고 느껴요. 그런데 문학비평을 하거나 문학이론을 들려주는 자리에서는 어김없이 이러한 글투를 보여줍니다. 문학과 평론은 다르기 때문일까요. 문학을 하는 마음과 이론을 밝히는 넋이 다르기 때문인가요.


  어린이문학은 어린이가 읽는 만큼, 어린이가 잘 알아듣도록 쓰는 한편, 맑고 밝은 한국말을 살리려 힘쓰지만, 문학평론이나 문학이론은 어린이 읽는 만큼, 어른이 으레 쓰는 말투로 글을 써야 옳다고 느끼기 때문일까요. 그런데, 왜 어른들은 이와 같은 말투로 글을 쓰거나 글을 읽나요. 알맞고 바르며 쉽게 글을 쓰면 안 될까요. 어린이문학에서 쓰는 말투처럼 어른들도 삶을 밝히거나 나눌 때에 한결 아름다울 텐데요.


  어린이문학에서 글을 얄궂게 쓰면, 어린이가 얄궂은 말투에 길듭니다. 어른문학에서 글을 얄궂게 쓰면, 어른이 얄궂은 말투에 물듭니다. 어린이도 어른도 얄궂은 말투에 젖어들 때에 슬픕니다. 어린이도 어른도 아름다운 말투를 누리면서 착하며 참다운 말길 열 때에 즐겁습니다. 4346.4.6.흙.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동화는 꾸밈없이 적는 문학이라서, 밑바탕은 소설과 같다 할 만하지만, 읽는 사람이 거의 다 어린이인 만큼, 글을 쓰는 사람이 새롭게 눈을 떠야만 한다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자말 ‘존재’가 어지럽히는 말과 삶
 (163) 존재 163 : 이 존재는

 

어린이를 어떻게 설명하고 정의할 수 있을까. 어른과 더불어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고 있는 존재를 굳이 설명한다는 것은 쉬운 듯하면서도 간단치가 않다. 더구나 문학적 맥락에서 이 존재는 의문투성이 수수께끼처럼 그 속성을 깨닫기 어렵다
《황선미-동화 창작의 즐거움》(사계절,2006) 9쪽

 

  ‘설명(說明)하고’는 ‘이야기하고’로 다듬고, ‘정의(定義)할’은 ‘풀이할’로 다듬습니다. “사회의 일원(一員)으로 살아가고 있는 존재(存在)”는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이나 “사회에서 살아가는 이들”로 손볼 수 있고, “쉬운 듯하면서도 간단(簡單)치가 않다”는 겹말이에요. “‘쉬운’ 듯하다면서 ‘쉽지’ 않다”고 적어야 올바르지요. “문학적(-的) 맥락(脈絡)”은 “문학 흐름”을 뜻할 텐데, 이 자리에서는 ‘문학’이라고만 적을 때가 한결 잘 어울리겠구나 싶어요. ‘의문(疑問)투성이’는 ‘궁금투성이’로 손질하고, ‘속성(屬性)’은 ‘속내’나 ‘속모습’이나 ‘속살’이나 ‘참모습’으로 손질합니다.

 

 이 존재는
→ 이 어린이는
→ 이 아이들은
→ 이들은
 …

 

  보기글에서는 ‘존재’라는 낱말을 두 군데에서 씁니다. 두 군데 모두 ‘어린이’를 가리킵니다. 이렇게 ‘존재’라는 낱말로 ‘어린이’를 가리키고 싶다면 가리킬 수 있어요. 그런데, 굳이 어린이를 ‘어린이’라 안 쓰고 ‘존재’라는 낱말을 빌어 가리켜야 할는지 생각해 볼 노릇입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쉽게 생각을 나눌 만한데, 쉽게 이야기하지 않는 글로 어떤 생각을 나눌 만한지 돌아볼 노릇입니다.


  어른도 어린이도 이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목숨이고 숨결입니다.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고 있는 존재”에서는 ‘어린이’라 적어도 되는 한편, ‘사람’이나 ‘목숨’이나 ‘숨결’로 적을 수 있어요. 또는 ‘이들’이라 적어도 잘 어울려요. 문학으로 살피는 자리에서도 어린이는 ‘어린이’라 하면 됩니다. 또는 ‘아이’나 ‘아이들’이라 할 수 있어요. 이 자리에서도 ‘목숨’이나 ‘숨결’이라는 낱말을 넣으며 나타내어도 됩니다.


  생각을 조금 더 기울여 다른 말씨를 찾아봅니다. “이 넋은”이라든지 “이 빛줄기는”처럼 적으면서, 어린이를 고운 넋이나 빛줄기로 여기면서 가리킬 수 있습니다. “이 하늘 같은 숨결은”이라든지 “이 아름다운 목숨은”처럼 적어도 되고, “이 작은 목숨붙이는”이나 “이 어여쁜 사랑은”처럼 적어도 돼요. 빗대어 가리키려 한다면, 쉽고 맑으며 고운 한국말을 얼마든지 찾을 만합니다. 4346.4.4.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어린이를 어떻게 이야기하고 풀이할 수 있을까. 어른과 더불어 사회에서 살아가는 이들을 굳이 이야기하기란 쉬운 듯하면서도 쉽지가 않다. 더구나 문학에서 어린이는 궁금투성이 수수께끼처럼 속내를 깨닫기 어렵다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067) -의 : 집 앞의 눈

 

눈이 내렸습니다. 아저씨는 집 앞의 눈을 치웠습니다
《사노 요코/이선아 옮김-두고 보자! 커다란 나무》(시공주니어,2004) 16쪽

 

  집 앞에 눈이 내리니, 집 앞에 있는 눈을 치우겠지요. 집 뒤에 눈이 내리면, 집 뒤에 있는 눈을 치울 테고요. 눈이 쌓이기에 눈을 치웁니다. 눈이 쌓인 만큼, 눈을 치우기 앞서 눈을 굴려 눈사람을 빚고, 눈을 뭉쳐 눈놀이를 합니다.

 

 집 앞의 눈을
→ 집 앞에 있는 눈을
→ 집 앞에 쌓인 눈을
→ 집 앞에 내린 눈을
→ 집 앞에 소복한 눈을
→ 집 앞에 가득한 눈을
 …

 

 눈은 집 앞에 어떻게 있을까요. 눈은 그저 ‘있는’ 모습일까요, ‘쌓인’ 모습일까요, ‘내린’ 모습일까요. 또는, 눈은 ‘소복히’ 있을까요, ‘가득’ 있을까요.


  아마, 잔뜩 있을 수 있고, 한가득 쌓일 수 있으며, 조금 내렸을 수 있어요. 어떤 모습일는지 곰곰이 헤아려 봅니다. 얼마나 있거나 쌓이거나 내리는 눈일는지 생각해 봅니다. 4346.4.1.달.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눈이 내렸습니다. 아저씨는 집 앞에 내린 눈을 치웠습니다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도 익혀야지
 (950) 가운데 3 : 바쁘신 가운데

 

바쁘신 가운데 와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이시다 이라/김윤수 옮김-날아라 로켓파크》(양철북,2013) 243쪽

 

  ‘감사(感謝)합니다’는 ‘고맙습니다’로 바로잡습니다. 한국말은 ‘고맙습니다’이지만, 한국말을 알뜰히 쓰는 분이 자꾸 줄어들어요. 어른들은 아이들 앞에서도 아무렇지 않게 ‘바이바이’ 같은 말을 쓰는데, 즐거움이나 재미나 귀여움 삼아 이런 말을 쓴다 하지만, 아이들한테는 알맞지도 않고 올바르지도 않은 말을 함부로 길들이는 셈이 됩니다. 아이들한테 사탕 한 알 쥐어 주면서 “‘감사합니다’ 그래야지.” 하고 말하는 분들을 보면, 좋은 뜻은 알겠지만, 사탕 함부로 주니 안 달갑고, 말투 또한 슬기롭지 않으니 안 반갑습니다. 차라리 “‘잘 먹겠습니다’ 그래야지.” 하고 말하면, 그나마 말투는 받아들일 만한데요.

 

 바쁘신 가운데
→ 바쁘신 데에도
→ 바쁜 틈에도
→ 바쁜 짬을 내어
 …

 

  행사나 잔치가 있는 자리에 가면, 사회를 맡은 분들이 으레 “바쁘신 가운데”라느니 “바쁘신 와중(渦中)”이라느니 하고 말합니다. 워낙 굳은 말버릇이니 이렇게 말한달 수 있지만, 제아무리 굳거나 뿌리박은 말투라 하더라도, 올바르지 않거나 알맞지 않으면, 하나하나 가다듬을 수 있어야 합니다. 나쁜 법도 법이라 하지만, 나쁜 법은 ‘나쁜 법’이지 ‘법’이 아닙니다. 잘못 뿌리박힌 말투는 ‘그대로 써도 될 우리 말투’가 아니라, 알맞게 바로잡을 ‘잘못 뿌리박힌 말투’예요.


  이 보기글 같은 자리라면, “바쁜 일정(日程)에도”처럼 적을 수 있습니다. ‘와중’도 한자말이고 ‘일정’도 한자말이지만, ‘와중’은 “(1) 흐르는 물이 소용돌이치는 가운데 (2) 일이나 사건 따위가 시끄럽고 복잡하게 벌어지는 가운데”를 뜻해요. 이 뜻을 헤아리자면 ‘와중’을 넣는 말투도 알맞지 않습니다.


  그런데, 가만히 헤아리면, 한자말 ‘와중’을 “-하는 가운데”로 풀이한 말마디가 알맞지 않다 할 수 있어요. 잘못 풀이한 말마디라 할 만합니다. ‘와중’을 애써 ‘가운데’로 풀이했다고 볼 수 있지만, 이렇게 잘못 풀이할 바에는 그냥 한자말 ‘와중’을 쓰는 쪽이 낫다고 해야지 싶어요. 4346.3.31.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바쁘신 데에도 와 주셔서 대단히 고맙습니다

 

(최종규 . 2013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도 익혀야지
 (383) 가장 1 : 가장 큰 집들 가운데 하나

 

샤샬은 마을에서 가장 큰 집들 중 하나에 산다
《존 버거,장 모르/김현우 옮김-행운아》(눈빛,2004) 96쪽

 

  ‘중(中)’은 ‘가운데’로 손질해 줍니다. 한자 ‘中’은 한글로 적는다 해서 한국말이 되지 않아요.


  “가장 큰 집”은 하나입니다. 둘일 수 없습니다. ‘가장’은 “여럿 가운데 어느 것보다 더”를 뜻하거든요. 오직 한 가지를 맨 앞이나 위에 내세울 때에 쓰는 ‘가장’인 만큼 이 보기글처럼 쓸 수 없어요. 그러니 “가장 큰 집에 산다”처럼 적거나 “무척 큰 집들 가운데 하나에 산다”처럼 적어야 올발라요. ‘가장’하고 뜻이 같은 한자말 ‘제일(第一)’ 말풀이를 살피면 “여럿 가운데서 첫째가는 것”이라고 나와요. 한국말 ‘가장’ 아닌 한자말 ‘제일’을 넣는다 하더라도 “제일 큰 집들 중 하나”처럼 적으면 알맞지 않아요. ‘가장’이든 ‘제일’이든 오직 하나만 가리킵니다.

 

 가장 큰 집들 중 하나에 산다
→ 가장 큰 집에 산다
→ 아주 큰 집들 가운데 하나에 산다
→ 더없이 큰 집에 산다
 …

 

  보기글에서는 샤살이라 하는 사람이 사는 집이 무척 크다는 뜻에서 이와 같이 적었을는지 모릅니다. 그러면, “아주 크다”라든지 “무척 크다”라 적으면 돼요. 그나저나 “가장 무엇무엇한 것 가운데 하나”라는 말투를 왜 쓸까요. ‘무척’이나 ‘아주’나 ‘퍽’을 넣어야 알맞을 자리에 왜 ‘가장’이라는 낱말을 넣을까요.


  이 말투는 영어에서 비롯했으리라 생각합니다. 아이들한테 영어를 가르치는 교재를 보면 “가장 무엇무엇한 것 가운데 하나”라는 번역 말투를 찾아볼 수 있어요. 영어를 가르치면서 번역을 얄궂게 하는 바람에 어느새 퍼진 말투 가운데 하나로구나 싶어요.


  그러고 보면, 영어를 가르치는 자리에서는 으레 영어만 헤아리지 한국말은 거의 헤아리지 않아요. 영어를 잘 가르쳐야 한다고는 생각해도, 영어를 한국말로 옮길 적에 알맞고 바르며 슬기롭게 나타내도록 가르칠 생각은 안 하기 일쑤예요. 학교나 학원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분을 비롯해, 영어 교재 엮거나 쓰는 분들 모두 한국말 깊고 넓게 살피면서 배우기를 빌어요. 4338.1.3.달/4346.3.31.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샤샬은 마을에서 아주 큰 집에 산다


..

 


 우리 말도 익혀야지
 (687) 가장 2 : 가장 중요한 생태계의 하나

 

습지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중요한 생태계의 하나입니다
《강병국-원시의 자연습지, 그 생태보고서 : 우포늪》(지성사,2003) 139쪽

 

  “지구상(-上)에 존재(存在)하는”은 “지구에 있는”으로 풀면 됩니다. “생태계의 하나입니다”는 “생태계 가운데 하나입니다”로 고치면 되고요. ‘습지(濕地)’ 같은 낱말은 학문하는 사람들이 즐겨쓰는데, ‘늪’이라 적을 수 있어요. 한국말 ‘늪’을 알맞게 쓰며 학문밭 넓힐 수 있습니다. 우포‘늪’을 다루면서 정작 ‘늪’이라 말하지 않고 ‘습지’라고만 가리키는 모습을 보면, 어쩐지 서글픕니다.

 

 가장 중요한 생태계의 하나입니다
→ 아주 중요한 생태계 가운데 하나입니다
→ 아주 중요한 생태계입니다
→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한 생태계입니다
 …

 

  사람들은 어릴 적부터 말을 배웁니다. 학교에 가서 배우든 집에서 배우든 말을 배웁니다. 학교에서 가르치든 식구나 이웃이 가르치든 ‘어른이나 어버이가 아는 말’과 ‘어른이나 어버이가 쓰는 말’을 아이들한테 가르칩니다. 그래서 어른이나 어버이가 말과 글을 알맞게 잘 쓰면 아이들은 알맞고 바른 말을 배웁니다. 그렇지만 어른이나 어버이가 말과 글을 알맞게 못 쓰거나 엉뚱하게 잘못 쓰면, 아이들은 알맞지 못하거나 엉뚱한 말을 배우겠지요.


  요즈음 아이들은 영어도 배우고 한자도 배우며 온갖 것을 참 많이 배웁니다. 이 가운데 영어와 한자를 살펴보면, 아이들이 배우는 영어 말법이나 한자 뜻풀이는 예나 이제나 거의 마찬가지입니다. 스무 해 앞선 때 말법하고 요새 말법이 다르지 않겠지요. 1950년대 영어 말법과 2000년대 영어 말법은 똑같을 테고, 1900년대 영어 쓰임새와 2000년대 영어 쓰임새가 똑같겠지요.


  그러나, 한국사람이 쓰는 한국말은 1950년대와 1900년대와 2000년대가 너무 다릅니다. 아니, 한국사람은 스스로 한국말이 달라져야 한다고 잘못 생각합니다. 한국사람다운 말투를 버리거나 잊습니다. 한겨레다운 말법과 말틀을 쉬 내팽개칩니다. 아니, 처음부터 살피지 않고, 아이들한테 슬기롭게 물려주지 못해요. 얄궂은 낱말과 말투와 말법을 자꾸 만듭니다. 올바르지 않은 낱말과 말투와 말법을 무턱대고 씁니다. 한국사람 스스로 한국말을 망가뜨려요. 한국땅 어른과 어버이는 한국말을 제대로 갈고닦지 않아요.


  외려, ‘얄궂게 쓰는 말’조차 새로운 흐름에 맞는 낱말이거나 말투이거나 말법인 듯 받아들입니다. 아이들한테 ‘얄궂게 쓰는 말’을 물려주고 말아요.


  말이란 흐르기 마련이라 나날이 조금씩 바뀝니다. 그런데 왜 우리가 쓰는 이 나라 말만 ‘얄궂은’ 쪽으로 뒤틀리거나 비틀리거나 엉망이 되어야 할까요. 왜 한국말이 한국말다움을 지키지 못하고 영어를 닮거나 한문 틀에 매여야 하거나 일본 말투에 찌들어야 할까요.


  아이들이 깨끗하고 싱그러운 마음을 품기를 바란다면, 아이들이 슬기롭고 맑은 넋을 건사하기를 바란다면, 아이들이 착하고 아름답게 살아가기를 바란다면, 우리 어른들은 말부터 깨끗하고 싱그러우며 슬기롭고 맑은 한편 착하고 아름답게 추슬러야 한다고 생각해요. 어른들부터 똑바로 말하고 생각해야지 싶어요. 어른들부터 착하고 아름답게 살아야지 싶어요. 맑은 넋에서 맑은 말 태어나고, 맑은 말에서 맑은 삶 이루어집니다. 4340.1.24.물/4346.3.31.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늪은 지구에서 아주 중요한 생태계입니다

 

..

 

 우리 말도 익혀야지
 (938) 가장 3 : 가장 위대한 사람들

 

그는 가장 위대한 사람들 중 하나였어요
《브뤼노 몽생종/임희근 옮김-음악가의 음악가, 나디아 불랑제》(포노,2013) 168쪽

 

  ‘위대(偉大)한’은 ‘훌륭한’이나 ‘빼어난’이나 ‘뛰어난’으로 다듬고, ‘중(中)’은 ‘가운데’로 다듬어 줍니다.

 

 가장 위대한 사람들 중 하나
→ 아주 훌륭한 사람들 가운데 하나
→ 무척 뛰어난 사람들 가운데 하나
→ 몹시 빼어난 사람들 가운데 하나
 …

 

  보기글처럼 ‘가장’을 쓰면, 훌륭한 여러 사람들이 있는데, 이 가운데 한 사람이 아주 빼어나다는 뜻이 됩니다. 그리고, 여럿 가운데 한 사람이 가장 훌륭하다 한다면 “가장 훌륭한 사람이었어요”처럼 적어야 해요. 이러한 뜻이 아니라 한다면, “아주 훌륭한 사람들 가운데 하나”처럼 다듬어야 알맞습니다. 또는, “아주 훌륭한 사람이었어요”라든지 “무척 뛰어난 사람이었어요”처럼 단출하게 다듬습니다. 굳이 “아주 (무엇무엇한) (무엇) 가운데 하나” 꼴로 적지 않아도 됩니다. 4346.3.31.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는 아주 훌륭한 사람이었어요

 

(최종규 . 2013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